누가복음 15:25-32

25 그 때, 큰아들은 밭에 있었다. 그가 돌아와 집 가까이 다가왔을 때, 음악 소리와 춤추는 소리를 들었다. 26 그는 종 하나를 불러 무슨 일인지를 물어보았다. 27 종이 ‘아우님이 돌아오셨습니다. 무사히 건강하게 아우님이 돌아왔기 때문에 주인 어른께서 살진 송아지를 잡았습니다’ 하고 대답했다. 28 큰아들은 화가 나서 집에 들어가려고 하지 않았다. 그의 아버지가 밖으로 나와 큰아들을 달랬다. 29 큰아들은 아버지에게 말했다. ‘보십시오. 저는 수 년 동안, 아버지를 섬겨 왔습니다. 그리고 한 번도 아버지의 명을 어기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아버지께서는 한 번도 저를 위해서 친구들과 즐기라고 염소 새끼 한 마리도 주신 일이 없었습니다. 30 그런데 창녀들과 함께 아버지의 재산을 다 써 버린 아들이 집에 돌아오니까 아버지께서는 그를 위해 살진 송아지를 잡으셨습니다.’ 31 아버지가 그에게 말했다. ‘아들아, 너는 언제나 나와 함께 있었으니 내가 가진 모든 것이 네 것이 아니냐? 32 네 동생은 죽었다가 다시 살아났고, 잃었다가 다시 찾았으니 우리가 즐거워하고 기뻐해야 하지 않겠느냐?’” (쉬운성경)

25 "Meanwhile, the older son was in the fields working. When he returned home, he heard music and dancing in the house, 26 and he asked one of the servants what was going on. 27 `Your brother is back,' he was told, `and your father has killed the fattened calf. We are celebrating because of his safe return.' 28 "The older brother was angry and wouldn't go in. His father came out and begged him, 29 but he replied, `All these years I've slaved for you and never once refused to do a single thing you told me to. And in all that time you never gave me even one young goat for a feast with my friends. 30 Yet when this son of yours comes back after squandering your money on prostitutes, you celebrate by killing the fattened calf!' 31 "His father said to him, `Look, dear son, you have always stayed by me, and everything I have is yours. 32 We had to celebrate this happy day. For your brother was dead and has come back to life! He was lost, but now he is found!'" (New Living Translation)

신약성경에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비유’가 모두 몇 개나 될까요? 정확하지는 않지만 약 40개 정도됩니다. ‘비유’가 무엇인지, ‘비유’에 대한 사전적 정의는 이렇습니다. “a short story that teaches a moral or spiritual lesson, especially one of those told by Jesus as recorded in the Bible(윤리적인 혹은 영적인 교훈을 가르치기 위한 짧은 이야기로 특별히 성경에 기록된 예수의 말씀 중 하나를 비유라고 한다).” (Oxford Learner's Dictionaries)

‘비유’는 그리스어로 ‘παραβολή(파라볼레, parabolē)’라고 합니다. ‘para-’라는 말은 ‘옆에, 나란히(alongside)’라는 뜻이고요. ‘bolē’라는 말은 ‘던지다(to throw, to cast)’라는 뜻이거든요? 두 말을 합치면 “옆에 나란히 놓다” “비교하다”라는 뜻이 됩니다. 어려운 영적인 진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들을 나란히 놓고 그 영적인 진리를 깨닫도록 하는 것입니다. 

여기에 굉장히 중요한 통찰(insight)이 있습니다. 생활 주변에서 아무렇지 않게 볼 수 있는 것들이 하나님을 드러낸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여자들이 부엌에 두고 빵을 구울 때 쓰는 누룩(yeast)이 있습니다. 누룩을 넣으면 밀가루가 부풀어 오릅니다. 예수님은 이 누룩을 보여 주시면서 하나님의 나라가 자라는 것이 꼭 이 누룩과 같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이 누룩처럼 작은 우리의 헌신과 기도를 통해서 하나님의 나라가 이루어져 나간다는 것입니다. 이 사실을 믿는 사람은 주변의 사소한 일에도 최선을 다합니다. 그리고 작은 일의 가치를 인정합니다.

헨리 나우웬(Henri Nouwen, 1932-1996, 네델란드)이라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 사람이 학자로서 얼마나 대단한 사람인지는 더 이상 말하지 않겠습니다. 이 사람은 예일 신학교의 종신 교수였습니다. 그리고, 하바드 신학교의 초빙을 받아 실천신학을 가르쳤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그는 갑자기 교수직을 버리고 캐나다 온타리오에 있는 ‘라르쉬 데이브레이크 공동체(The L'Arche Daybreak Community)’에 채플린으로 들어갔습니다. 그는 그 공동체에서 지체 부자유자들을 섬기면서 얻은 깨달음을 가지고 많은 책들을 썼습니다. 일반인들에게 잘 알려진 책으로 초기에 나온 책이 ‘예수의 이름으로(In The Name of Jesus, 1989)’라는 책입니다. 가장 나중에 나온 책 중의 하나가 ‘탕자의 귀향(The Return of The Prodigal Son, 1992)’이라는 책입니다. 

1983년, 프랑스를 여행하던 나우웬은 ‘라르쉬 공동체’에서 일하고 있는 친구의 사무실에 걸려 있는 렘브란트(Rembrandt, 1606-1668, 네덜란드)의 그림 ‘탕자의 귀향(The Return of The Prodigal Son)’이라는 그림을 보고 그 그림에 매료되고 맙니다. 그로부터 3년 후, 그는 러시아의 ‘에르미타주’ 미술관에서 렘브란트의 원작을 보게 됩니다. 그는 그 그림 앞에 몇 시간이고 앉아 햇빛의 각도에 따라 그림이 시시각각으로 바뀌는 모습을 지켜보면서 그림에 등장하는 각각의 인물이 담고 있는 의미들을 렘브란트와 자신의 삶에 투영시켜 정밀하게 해석하는 작업을 시작합니다. 이렇게 해서 출판된 책이 ‘탕자의 귀향’이라는 책입니다.

이 그림에서 가장 눈길이 가는 인물은 중앙에 있는 아버지입니다. 고령의 아버지이지만 아버지는 넓은 어깨와 가슴을 가졌습니다. 그 어떤 사람이라도 충분히 받아들일 수 있는 인자한 아버지의 모습입니다. 그리고 아버지가 어깨에 두른 빨강 망또는 아버지의 고귀한 신분과 권위를 나타냅니다. 그런데, 아버지의 눈에 초점이 없어 보입니다. 나우웬은 아버지의 눈이 눈물로 짓물러 거의 시력을 잃어버린 것 같아 보인다고 했습니다. 나우웬은 아들의 어깨 위에 놓여 있는 두 손이 서로 다른 크기와 모양으로 그려진 것을 주목했습니다. 마치 아버지의 오른손은 어머니의 손처럼 고운 반면에 아버지의 왼손은 투박하고 굵직한 힘줄이 보입니다. 마치 힘센 아버지의 손과 아들을 사랑과 용서로 감싸는 어머니의 손이 모두 보입니다.

그 다음으로 눈길을 끄는 사람은 아버지 품에 무릎을 꿇고 안겨 있는 작은 아들입니다. 아들의 머리는 짧게 깎은 것이 마치 어머니의 자궁 속에 들어 있는 태아(fetus)를 연상케 합니다. 타향에서 온갖 고생을 하다가 아버지의 집으로 돌아온 아들의 평안한 모습을 렘브란트는 그런 모습으로 표현하고자 했습니다. 이 아들은 아버지의 유산을 미리 받아 가지고 집을 나가 ‘방탕한 생활(prodigal living)’을 하다가 가진 돈을 모두 날렸습니다. 이 아들의 남루한 모습이 그의 방탕했던 생활의 결과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의 신발 한 짝은 벗겨져 맨발이었고, 다른 신발 한 짝도 뒤꿈치가 떨어져 나갔습니다. 

누가는 예수님의 이야기를 이렇게 기록했습니다. “그제서야 그는 제정신이 들어 말했다. ‘내 아버지의 품꾼들에게는 양식이 풍족하여 먹고도 남는데 나는 여기서 굶어 죽는구나. 일어나 아버지께 돌아가 말해야겠다. 아버지, 저는 하나님과 아버지 앞에 죄를 지었습니다. 저는 더 이상 아버지의 아들이라고 불릴 자격이 없습니다. 저를 아버지의 품꾼 가운데 하나로 여기십시오.’ 그 아들은 일어나 아버지에게로 갔다.” (누가복음 15:17-20)

아버지에게 받아온 돈이 아직 남아 있었을 때는 괜찮았습니다. 그런데, 돈이 떨어지고, 일자리를 구할 수 없게 되고 먹을 것이 없는 절망적인 상황을 맞이한 것입니다. 이 탕자의 이야기가 남의 이야기가 아니라 나의 이야기가 될 수 있고, 우리의 이야기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지 않습니까? ‘A Long Way Off(아득히 먼 길, 2014)’라는 제목의 영화가 있습니다. 이 영화 제목에 이런 부제를 붙였습니다. ‘The Modern Day Story of The Prodigal Son(현대판 탕자의 이야기)’이라고요. 그리고, 포스터에 이런 글이 쓰여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We all know one, have been one, or are waiting for one to come home (우리 모두는 그 한 사람을 알고 있거나, 그 한 사람이었거나, 그 한 사람이 집에 돌아오기를 기다리고 있다).”

‘탕자의 비유’를 조심해서 읽어보면 좀 이상한 생각이 듭니다. 작은 아들에게 돈이 떨어지자 때마침 그곳에 큰 흉년이 듭니다. 사람들은 이런 경우를 맞을 때 ‘엎친데 덮친 격’이라고 합니다. ‘설상가상(雪上加霜)’이라는 말도 합니다. 하지만, 크리스천의 눈으로 지금 작은 아들에게 일어나는 일들을 생각해 보세요. 그리고, 작은 아들이 하는 말을 들어 보세요. “내 아버지의 품꾼들에게는 양식이 풍족하여 먹고도 남는데 나는 여기서 굶어 죽는구나.” (17절) 아버지 집을 나간 그 작은 아들을 다시 아버지 집으로 돌아오게 하려는 하나님의 계획이 지금 작용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지 않습니까? 

키에르케고르(Søren Kierkegaard, 1813-1855, 덴마크)라는 사람이 있습니다. 탁월한 신학자이고 철학자입니다. 인류 사상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실존주의 철학을 주창하신 분입니다. 쇼펜하우어(Arthur Schopenhauer, 1788-1860),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Nietzsche, 1844-1900), 칼 야스퍼스(Karl Jaspers, 1883-1969), 하이데커(Martin Heidegger, 1889-1976), 카뮈(Albert Camus, 1913-1960) 등이 모두 키에르케고르의 영향을 받은 실존주의 철학자들입니다. 뿐만 아니라 키에르케고르는 현대 신학의 기초를 세운 신학자로 추앙을 받고 있습니다. 그의 저서 중에 ‘이것이냐 저것이냐(Either/Or, 1843)’ ‘공포와 전율(Fear And Trembling, 1843)’ ‘죽음에 이르는 병(The Sickness Unto Death, 1849)’ 등이 유명합니다. 그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The most common form of despair is not being who you are(가장 흔한 절망의 형태는 당신 자신이 아니라는 것이다).” 

비참해진 자신의 모습이 작은 아들을 절망하게 했습니다. 그가 절망의 자리에 머물러 있었더라면 그는 죽음에 이르는 병을 피할 수 없었을 것입니다. 그러면, 이 작은 아들이 절망의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 아버지의 집으로 돌아가게 한 그 용기는 어디서 온 것일까요? 키에르케고르는 이것을 ‘신앙의 도약(leap of faith)’이라고 했습니다. 우리가 궁금한 것은 그 무엇이 작은 아들로 하여금 절망의 자리에서 믿음으로 도약하게 했을까요? 

아버지 앞에 초라한 모습으로 돌아와 무릎을 꿇고 있는 작은 아들의 뒷모습에서 뭔가 이상한 것이 보이지 않습니까? 오른쪽 허리춤에 단도(a short sword)를 차고 있는 것이 보입니다. 왜 이 작은 아들은 단도를 차고 있을까요? 객지를 나돌다 보면 위험한 순간들이 많으니까 호신용으로 차고 있었을까요? 헨리 나우웬은 그의 책 ‘탕자의 귀향’에서 이 단도는 작은 아들에게 남은 마지막 자존심, 아들로서의 ‘정체성과 지위’를 상징한다고 해석합니다. 정말 탁월한 해석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습니까? 작은 아들은 갖은 고생을 하면서도 아버지의 아들로서의 자존심을 끝까지 지키기 위해 아버지의 집에서 가지고 나온 칼을 팔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이 자존심이 그를 아버지의 집으로 돌아가게 했습니다. “아버지, 저는 하나님과 아버지 앞에 죄를 지었습니다. 저는 아버지의 아들이라고 불릴 자격이 없습니다.” (19, 21절) 역설적으로, 이 말은 나를 아들로 받아 달라는 간청으로 들립니다. 아버지는 돌아온 아들에게 좋은 옷을 입히고, 손에 반지를 끼우고, 신발을 신기고 아들의 지위를 회복시켜줍니다. 

마지막으로 봐야 할 사람은 그림 오른쪽에 서 있는 큰 아들입니다. 큰 아들은 두 손을 모으고 있습니다. 그의 치켜 올라간 눈썹에서 아버지에 대한 배신감과 질투와 분노, 상실감이 느껴집니다. 큰 아들이 아버지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보십시오. 저는 수 년 동안, 아버지를 섬겨 왔습니다. 그리고 한 번도 아버지의 명을 어기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아버지께서는 한 번도 저를 위해서 친구들과 즐기라고 염소 새끼 한 마리도 주신 일이 없었습니다. 그런데 창녀들과 함께 아버지의 재산을 다 써 버린 아들이 집에 돌아오니까 아버지께서는 그를 위해 살진 송아지를 잡으셨습니다.” (29-30절)

큰 아들의 말에 하나도 틀린 말이 없습니다. 큰 아들은 아버지의 말을 어긴 일이 없이 말 잘 듣는 아들로 살았습니다. 그런데 생각해 보니 아버지가 자기에게 해 준 일이 아무것도 없었습니다. 아버지 집에서 울려 퍼지는 음악 소리와 춤추는 소리도 짜증이 났습니다. 아버지 재산을 탕진하고 돌아온 동생을 그토록 감격스럽게 맞아주는 아버지의 처사도 못마땅했습니다. 그는 집을 나간 동생이 살아 돌아온 것이 전혀 기쁘지 않았습니다. 그의 감정은 메말라 있었습니다. 그는 아버지의 집에서 살면서도 그는 종처럼, 아들로 산 것이 아니라 종처럼 살고 있었던 것입니다.

아버지가 큰 아들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이 아버지의 말씀 한마디에 대반전(大反轉)이 일어납니다. “아들아, 너는 언제나 나와 함께 있었으니 내가 가진 모든 것이 네 것이 아니냐?” (31절) 그는 아버지의 집에서 아버지와 함께 살고 있으면서도 자기가 아버지의 아들이라는 사실을 잊고 살고 있었고, 한 번도 아버지의 것이 내 것이라는 생각을 못하고 살았습니다. 

문제는 우리 중에 많은 사람들이 큰 아들과 같이 종의 마음을 가지고 믿음생활을 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헨리 나우웬이 이렇게 말했습니다. “There are many elder sons and elder daughters who are lost while still at home(집에 머물러 살고 있으면서도 여전히 잃어버린 사람으로 살고 있는 수많은 큰 아들들과 큰 딸들이 있다).” 이 사람들은 그들이 얼마나 하나님의 축복 속에 살고 있다는 것을 깨닫지 못한 채 살아갑니다. 그들은 다른 사람들과 함께 울어주고, 함께 기뻐해 주는 삶을 이해하지 못합니다. 이런 사람들은 교회에 나와 있으면서도 하나님의 자녀가 된 은혜를 모르고 불평하고 주변 사람들에게 자주 짜증을 냅니다. 스스로가 아들이 아니라 종의 마음과 태도를 가지고 살고 있다는 것을 드러냅니다.

렘브란트의 그림 속에 제3의 인물이 있습니다. 아버지와 큰 아들 사이에 있는 모자를 쓴 사람인데, 이 상황에 전혀 어울리지 않는 사람입니다. 이 사람은 무표정으로 자리에 앉아 다리를 꼬고 앉아 있습니다. 이 사람이 누구일까요? 이 사람은 렘브란트 자신입니다. 렘브란트는 자기가 그 상황 속에 들어가 객관적으로 이 집안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관찰하고 싶었던 것 같습니다. 실제로 렘브란트의 생애를 연구하는 사람들은 그가 그린 ‘The Return of The Prodigal Son’처럼 기구하고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다고 합니다. 그는 그의 그림을 통해서 하나님의 품에 안기는 위로와 평안을 맛보려고 했던 것 같습니다. 

끝으로, 헨리 나우웬이 한 말을 소개함으로써 오늘 설교를 마치려고 합니다. “But what makes us human is not our mind but our heart, not our ability to think but our ability to love(하지만 우리를 인간이 되게 하는 것은 우리의 생각이 아니라 우리의 마음이다. 우리의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이 아니라 우리가 사랑할 수 있는 능력이다).” 나우웬은 ‘탕자의 귀향’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우리는 아버지의 품에 안긴 작은 아들이 되려고 해서도 안 되고, 큰 아들이 되려고 해서도 안 된다. 우리 모두는 탕자를 용서해주고 받아주는 아버지들이 되도록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