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가복음 10:35~45

35 ○ 그때에 세베대의 두 아들인 야고보와 요한이 예수 곁으로 와서 말했다. “주님, 저희 소원을 들어 주십시오.36 예수께서 물으셨다. “너희가 무엇을 원하느냐?37 그들이 말하였다. “주께서 영광의 자리에 앉으실 때, 저희 가운데 한 명은 주님의 오른편에, 또 한 명은 주님의 왼편에 앉게 해주십시오.38 예수께서 대답하셨다. “너희가 지금 내게 요청하는 것이 과연 무엇을 뜻하는 것인지나 알고 하는 말이냐? 너희는 내가 마셔야 할 쓴 잔을 마실 수 있느냐? 내가 받아야 할 고난의 세례를 받을 수 있느냐?39 그들이 대답했다. “예, 저희는 할 수 있습니다.” 그러자 예수께서 말씀하셨다. “그렇다. 너희는 내가 마시는 잔을 마시게 될 것이고, 내가 받는 세례를 받게 될 것이다. 40 하지만 너희를 내 오른편이나 왼편에 앉게 할 권한은 내게 없다. 그 자리는 하나님께서 이미 정해 놓으신 사람들에게 돌아갈 것이다.41 ○ 다른 열 제자들이 이 일을 듣고, 야고보와 요한에게 분노하자, 42 예수께서 그들을 불러놓고 말씀하셨다. “너희도 알다시피, 세상의 왕이나 위정자들은 백성들 위에 군림하면서 권력을 휘두른다. 43 그러나 너희는 결코 그래서는 안 된다. 너희 중에 누구든지 큰 자가 되기를 원하는 사람은, 먼저 너희를 섬기는 자가 되어야 한다. 44 , 너희 중에 으뜸이 되기를 원하는 사람은, 먼저 모든 이들의 종이 되어야 한다. 45 인자는 섬김을 받으러 온 것이 아니라 섬기러 왔고, 많은 사람들을 구하기 위하여 자기 목숨을 내어 주려고 온 것이다.(쉬운말 성경)

35 Then James and John, the sons of Zebedee, came over and spoke to him. “Teacher,” they said, “we want you to do us a favor.” 36 “What is your request?” he asked. 37 They replied, “When you sit on your glorious throne, we want to sit in places of honor next to you, one on your right and the other on your left.” 38 But Jesus said to them, “You don’t know what you are asking! Are you able to drink from the bitter cup of suffering I am about to drink? Are you able to be baptized with the baptism of suffering I must be baptized with?” 39 “Oh yes,” they replied, “we are able!”

Then Jesus told them, “You will indeed drink from my bitter cup and be baptized with my baptism of suffering. 40 But I have no right to say who will sit on my right or my left. God has prepared those places for the ones he has chosen.” 41 When the ten other disciples heard what James and John had asked, they were indignant. 42 So Jesus called them together and said, “You know that the rulers in this world lord it over their people, and officials flaunt their authority over those under them. 43 But among you it will be different. Whoever wants to be a leader among you must be your servant, 44 and whoever wants to be first among you must be the slave of everyone else. 45 For even the Son of Man came not to be served but to serve others and to give his life as a ransom for many.”(New Living Translation)

오늘 본문을 보면, 야고보와 요한이 예수님에게 영광의 자리를 구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그들은 예수님이 영광의 자리에 앉을 때, 자신들도 오른편과 왼편에 앉게 해달라고 요청합니다. 이에 예수님은 그들이 요청한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를 묻습니다마태복음에 기록된 동일한 기사는 야고보와 요한의 어머니가 예수께 한 아들은 주님의 오른편에 다른 아들은 왼편에 앉게 해달라고 요청을 합니다. 마태복음의 기사에서는 진한 모성애로 느껴지겠지만 마가복음과 마태복음은 예수께서 말씀 하시는 영광의 자리가 무엇인지를 깨닫게 합니다.

'출세 (出世) 하다'를 직역하면 '세상에 나온다'라는 뜻입니다. 숨어 살던 사람이 세상에 이름을 알리고, 사회적으로 높은 지위에 오르거나 유명해 지는 것입니다. 야고보와 요한이 예수께 청탁하던 영광의 자리였습니다. 그런데 야고보와 요한의 청탁을 받고, 주님은 다른 말씀을 하십니다. 너희가 내가 마시는 쓴 잔을 마실 수 있느냐? 내가 받는 세례를 받을 수 있느냐고 되물으십니다. 이 잔은 주님께서 당하실 고난을 의미했습니다. 하나님의 뜻에 순종할수 있는지 되물었던 것입니다.

오늘 본문은 예수께서 자신이 당할 고난을 언급하며, 대제사장들과 율법 교사들에게 넘겨지며 그들이 죽이기로 결의하고 예수를 이방인들에게 넘겨주면 그들은 그를 조롱하고 침을 뱉고 채찍질하고 죽일 것이라는 사실을 말씀하고 난 후에 전한 말씀입니다. (33-34) 이 말씀은 예수께서 자신의 수난을 예언하는 마지막 단락입니다. 하나님의 뜻을 이루는 순례자가 걸어야 할 마지막 발걸음이었지만, 그 길은 단순히 유대인의 결말로 끝나지 않았습니다. 또한 제자들이 이해하고 있던 길도 아니었습니다. 주님은 세상의 가치관을 뒤집는 하나님의 나라의 가치관이 무엇인지 가르치셨으며, 그 핵심이 바로 거룩성과 섬김입니다.

요셉이 애굽의 총리가 된 것은 세상에서 출세한 것으로 보일 수 있지만, 요셉의 인생은 하나님의 구원이야기입니다. 요셉은 하나님의 약속 안에서 복 받는 삶이 아니라 하나님과 동행하는 삶을 선택했습니다. 그는 고난을 겪게 될 것을 알면서도 거룩한 삶을 살았습니다. 그 결과는 형들에게 죽임을 당할 뻔했고, 이방나라로 팔려가는 것이었습니다. 자신이 섬기던 주인의 아내가 유혹을 하자 이를 거절하고, 성결한 삶을 선택했는데 모함을 받고 억울하게 감옥에 갇히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하나님은 요셉의 인생에서 수많은 고난을 선으로 바꾸시고, 하나님의 의도에 따라 선한 결과를 만들어 주셨습니다. 거룩한 삶을 선택한 요셉은 하나님의 계획 안에서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삶을 걸었던 것입니다.

진정한 출세란 세상의 기준에 따라 높은 자리에 오르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삶을 따라 살아가는 것입니다. 진정한 출세는 하나님의 뜻에 따라 새로운 삶을 부여 받도록 다시 태어나는 것입니다. 인간의 삶에는 예상치 못한 고난이 찾아오기도 합니다. 성실하게 살아가는데 세상의 성공의 기준으로 보면 더딘 것 같고 충분하지 않은 것 같은 삶이라 여겨질 때도 있습니다. 욥도 심은 대로 거두는 법칙대로 모든 문제의 답을 얻을 수 없었습니다. 모든 것이 믿음 안에서 다 가능할 것처럼 보이지만, 예수 그리스도께서 보여주신 길은 세상의 소망이 아닌 영원한 소망을 바라보게 하는 것이었습니다. 이것이 주님께서 제자들에게 마지막으로 알려 주고 싶었던 교훈입니다.

첫째, 지위가 아니라 정체성입니다.

과거에 기독청년들에게 '고지론'을 외치던 때가 있었습니다. 세상의 각 분야에서 최고의 자리에 올라 영향력을 발휘하며 세상을 변화시키자는 취지였습니다. 그 후, 다른 한쪽에서는 '미답지론'을 외쳤습니다. 답이 없는 낮은 자리, 세상의 변두리로 가서 예수님처럼 살아가야 한다는 주장이었습니다. 지위가 높은 곳을 지향하는 믿음과 낮은 자리로 가라는 믿음 사이에 미묘한 긴장감이 흘렀습니다.

예수님은 소외된 사람들과 어울리며 모든 계층의 사람을 하나님의 자녀로 회복하고 화해하는 사역을 실천하셨습니다. 따라서 성도의 정체성은 예수님처럼 밀알이 되는 삶을 살아가는 자리에서 나오게 됩니다. 지위가 있는 자리나 낮은 자리나 주어진 환경에서 주님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것입니다. 성도는 주어진 삶에서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며 개혁과 변화를 이끌고, 동시에 소외된 자들에게 위로와 희망을 주는 사역을 지속적으로 실천해야 합니다.

본문에서 야고보와 요한 그들의 어머니는 당시 수도였던 예루살렘에 올라가시면 눈에 보이는 다윗 왕국의 영광을 회복하고 왕좌에 앉아 영광을 누리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습니다. 정치적으로 높은 지위를 보장받기 위한 요청이었습니다. 이에 예수께서 하신 대답은 다윗 성전의 보좌가 아니라 내가 마셔야 할 잔과 세례(38)을 받을 수 있느냐였습니다.

본문에서 표현한 잔은 하나님의 손에 있는 고통에 관한 것입니다. 또한 세례는 슬픔과 관련된 죽음의 이미지입니다. 노아 시대의 홍수와 출애굽 당시 애굽 군대가 물에 수장되는 하나님이 죄에 대한 죽음을 상징하는 물의 이미지입니다. 이해가 달랐던 세베대의 아들들은 ', 저희는 할 수 있습니다.'라고 대답했지만(14:50 참조), 주님께서 당하신 고난 앞에서 그들은 그 잔을 피했습니다. 이후 하나님과 관계 속에서 성령을 통해 내적인 변화를 경험합니다. 주님의 십자가가 부활의 영광으로 드러난 것을 성령의 충만함을 통해 깨달은 야고보는 헤롯 아그립바 1세에 의해 순교한 첫 번째 사도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12: 2) 야고보는 복음을 전하다가 순교의 길을 걸었던 것입니다.

유진피터슨 목사님은 한길 가는 순례자라는 책에서 한방향으로의 오랜 순종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셨습니다. 그는 순례자에게 필요한 것은 올바른 방향과 그 길을 꾸준히 지속할 수 있는 힘이라고 강조합니다. 더불어 하나님의 말씀대로 따라 살면서 깊은 기도가 없이는 긴 순종으로 이어질 수 없다고 말합니다.

예수의 제자들 가운데 도마는 예수께서 어디로 가시는지 알지 못해 그 길을 좀 알려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이때 예수께서는 내가 곧 길이라고 대답하셨습니다. 그렇다면 제자들이 가야 할 방향은 이미 정해졌습니다. 필요한 것은 그 길을 꾸준히 지속할 수 있는 힘이 필요한 것입니다. 그래서 히브리서 기자는 인내로써 우리 앞에 당한 경주를 하며, 온전하게 하시는 이인 예수를 바라보라고 합니다. 달리는 경주자는 무거운 짐이 되는 죄를 벗어 버려야 합니다.

여러분은 순례자인가요? 외국생활에서 잠시 여행을 온 관광객과 현실을 살아내는 이민자들의 삶의 시선은 분명히 다를 것입니다. 관광객은 잠시 동안의 경험을 통해 그 땅을 바라보고 떠나지만, 이민자는 그 땅에서 살아가며 그곳의 목적과 의미를 깊이 생각합니다. 순례자도 이와 같다고 생각이 됩니다. 우리는 신앙 안에서 잠시 깨닫고 머물다 가는 자들이 아니라, 하나님의 나라를 향해 살아가는 순례자의 마음을 지니고 세상을 살아가야 합니다. 똑같이 이 땅을 밟고 있어도 향하는 시선과 마음이 달라야 합니다. 지금 우리는 어느 곳을 바라보며 살아가고 있습니까? 성도들은 하나님의 나라를 바라보며 영원한 소망을 향해 나아가야 합니다. 우리는 단순히 지나가는 관광객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주신 인생의 목표를 향해 매일의 선택에서 하나님의 뜻을 구하는 순례자가 되어야 합니다.

다윗은 블레셋 사람 골리앗과의 대결에서 믿음의 정체성이 분명했습니다. 성경은 다윗이 손에 막대기를 가지고 시내에서 매끄러운 돌 다섯 개를 골라 자기 목자의 주머니에 넣고, 손에 물매를 가지고 블레셋 사람에게로 나아갔다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삼상 17:40) 다윗은여호와의 구원하심이 칼과 창에 있지 아니함을 이 무리에게 알게 하리라. 전쟁은 여호와께 속한 것인즉 그가 너희를 우리 손에 넘기시리라” (삼상 17:47)고 선언했습니다. 다윗은 자신의 손에 들려 있는 것으로 사명의 자리까지 나아갔습니다.

둘째, 섬김의 자리로 나아가시기 바랍니다.

43 너희 중에 누구든지 큰 자가 되기를 원하는 사람은, 먼저 너희를 섬기는 자가 되어야 한다. 44 , 너희 중에 으뜸이 되기를 원하는 사람은, 먼저 모든 이들의 종이 되어야 한다. 45 인자는 섬김을 받으러 온 것이 아니라 섬기러 왔고, 많은 사람들을 구하기 위하여 자기 목숨을 내어 주려고 온 것이다.

어떤 자리에 서든지 하나님을 경외하고 이웃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실제로 내 손에 든 것을 나누시기 바랍니다. 예수님은 진정한 위대함이 권력이나 영광이 아닌, 다른 사람을 섬기는 것이라고 가르칩니다. 그리스도인들은 자신의 위치를 확보하려는 마음을 철저하게 내려놓고 섬김을 실천해야 합니다.

예수께서는 사람들에게 보이기 위한 자선이나 선행을 피하고, 하나님 앞에서 진실한 마음으로 행할 것을 강조하셨습니다. "오른손이 하는 일을 왼손이 모르게 하라"(6:3) 는 말씀은 우리의 섬김이 하나님께서 보시는 마음에서 우러나야 함을 의미합니다.

성경은 하나님께서 은밀한 중에 한 일을 다 보신다고 기록합니다. 잠언 19 17절은 "가난한 자를 불쌍히 여기는 것은 여호와께 꾸이는 것이니, 그 선행을 하나님께서 갚아 주시리라" 말씀합니다. 선행은 하나님과의 관계와 연관이 되어 있습니다. 우리의 섬김이 하나님께 빚을 지는 것이기에 반드시 갚아 주신다는 확신을 주십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우리의 선한 행위를 기억하시고 보상해 주신다는 뜻입니다. 하나님과 신뢰 관계 속에서 우리의 선행의 힘은 더욱 더 커질 것입니다.

"한국전쟁이 막 끝나가던 가을이었습니다. 미국의 오리건주 유게네 마을 회관에는 종교 영화를 상영한다는 광고가 붙었습니다. 마을 사람들은 즐겁게 인사를 나누며 영화를 관람합니다. 내용은 한국 전쟁이 낳은 고아들에 관한 영화였습니다. 이 영화가 끝나자 한 농부 부부는 그 아이들을 잊을 수 없었고, 영화를 잊으려 해도 영화가 잊어지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결국 이 부부는 직접 한국을 방문하게 됩니다. 와보니까 6.25 전쟁 직후의 한국은 정말 형편없었습니다. 영화에서 보던 대로 전쟁 고아들은 헤아릴 수도 없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이 농부 부부는 전쟁 고아 8명을 데리고 미국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이 사실이 신문에 나자 여러 단체에서 이들을 돕겠다는 일이 벌어지게 되었습니다. 그 후 이 농부 부부는 전쟁 고아들을 돕는 기관을 만들게 되는데, 그렇게 해서 만들어진 기관이 홀트 아동 복지재단입니다. 홀트씨는 선한 씨앗을 심은 것 뿐인데, 홀트 아동복지재단이라는 열매로 성장하게 된 것입니다. 1955년 해리 홀트(Harry Holt, 1905 ~ 1964)와 그의 부인 버다 메리언 홀트(Bertha M. Holt, 1904 ~ 2000)가 전쟁으로 인해 고통속에 있는 한국의 고아 8명을 입양한 것이 홀트아동복지회의 시작이 되었습니다. 이 노부부는 현재 한국에 묻혀 있지만 어려운 환경에 처한 아이들을 돕는 이 프로그램은 한국뿐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에서 참여하고 있습니다."

주님은 기적을 행하시고 사람들의 갈채를 받았지만 이 땅의 영광의 자리를 거부하고 섬기는 자의 본이 되셨습니다. 순례자의 길에서 주님의 십자가는 영광의 보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도 자기 십자가를 지고 예수님의 길을 따라가다 보면 영광의 보좌에 이르게 됩니다.

하나님께서는 그분의 나라를 세우는 우리에게 영원한 상을 예비해 주십니다. 따라서 히브리서 기자는 "그는 그 앞에 있는 기쁨을 위하여 십자가를 참으사 부끄러움을 개의치 아니하시더니 하나님 보좌 우편에 앉으셨느니라"(12:2)라고 말합니다. 바울 사도는 “내가 선한 싸움을 싸우고 나의 달려갈 길을 마치고 믿음을 지켰으니 이제 후로는 나를 위하여 의의 면류관이 예비되었으므로 주 곧 의로우신 재판장이 그날에 내게 주실 것이니 내게만 아니라 주의 나타나심을 사모하는 모든 자에게니라” (딤후 4:7.8)고 말씀하며, 성도들의 삶에 상급이 있음을 강조합니다.

우리는 현실속에서 뜻을 분명히 알 수 없는 모호한 문제를 만날 때도 있습니다. 한치 앞을 알 수 없는 두려움에 빠질 때도 있습니다. 홍해 바다가 앞을 가로 막기도 하고, 뒤에서는 애굽 군대가 쫓아오는 두려움에 빠질 때도 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처럼 애굽을 떠난 온 것을 후회하기도 하며, 기본적인 생존권에 대한 위협과 어려움이 있는 광야의 한복판에서 있을 때도 있습니다.

그러나 "먹든지 마시든지 무엇을 하든지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하라" (고전 10:31) 말씀을 기억하며, 우리의 삶이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도구임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이번 한주 동안도 섬김을 통해 우리 모두 영광의 자리를 준비하는 삶을 살기를 소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