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4/2019 | 성령강림절 후 다섯째 주일

예루살렘 회의 The Council Of Jerusalem

사도행전 15:1-6

오늘 설교 제목을 ‘예루살렘 회의’라고 했습니다만, 영어로는 ‘Council’입니다. ‘협의회’ 혹은 ‘공의회’ 등으로 번역할 수 있는 말입니다. 설교 제목에는 생소한 ‘공의회’라는 말 대신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회의’라는 말을 사용했습니다. 교회가 교리적으로나 선교적으로 어떤 중대한 문제에 직면했을 때 지도자들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토론을 벌이고 입장을 결정하는 것을 ‘공회의’라고 합니다. 신학자들은 ‘예루살렘 공의회’가 열린 시기를 바울이 1차 전도여행을 마치고 시리아 안디옥으로 돌아와 다시 2차 전도 여행을 준비하고 있을 때로 보고 있습니다. 그 때가 대략 AD 49-50년경이었습니다.
 
예루살렘에 가면 ‘아르메니안 구역 (The Armenian Quarter)’이 있습니다. 예루살렘이 ‘크리스천 지역 (The Christian Quarter)’, ‘유대인 구역 (The Jewish Quarter)’ ‘무슬림 구역 (The Muslim Quarter)’ 이렇게 네 구역으로 나뉘어 있거든요? 복음이 이방 세계에 전파된 후, 예루살렘 성지를 찾아 나선 첫 순례자들 중에 아르메니아인들이 있었습니다. 아르메니아 (Armenia)는 일찍이 기독교를 국교로 정하고 국가적 차원에서 예루살렘에 관심을 쏟아 부었습니다. 아르메니아인들은 성지순례를 다녀오면 팔에 그 연도를 문신으로 새기고 평생 기념일로 삼을 정도로 열심이었다고 합니다. 이들은 자기 나라로 돌아가지 않고 유대 땅에 머물면서 수도원 공동체를 만든 것이, 오늘날 아르메니아인들이 예루살렘의 25%를 차지하고 있는 이유입니다.
 
이 아르메니아인들의 최대 성지로 여기는 곳이 있는데, 바로 아르메니안 구역에 있는 ‘성 야고보 교회’입니다. 이 자리가 바로 사도행전 15장에 나오는 ‘예루살렘 공의회’가 열렸던 곳이라고 합니다.
 
오늘 제가 여러분과 함께 나누고자 하는 중요한 문제는, 왜 사도행전 15장에 나오는 ‘예루살렘 공의회’가 중요한가, ‘예루살렘 공의회’는 우리에게 무슨 의미가 있는가 하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이 공의회가 하나님의 선교의 역사의 흐름을 바꾸어 놓았기 때문입니다. 비가 많이 내려 물줄기가 생겼습니다. 그 물줄기가 흘러가다가 장애물을 만납니다. 장애물을 만나면 물줄기의 방향이 이쪽으로 바뀔 수도 있고, 저쪽으로 바뀔 수도 있습니다. 그 물줄기의 방향을 결정한 곳이 ‘예루살렘 공의회’입니다. 그 때 ‘예루살렘 공의회’ 결정 덕분에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이 예루살렘을 벗어나 유럽으로, 아시아로, 아프리카로, 북 아메리카로, 남 아메리카로 복음의 강물이 흐르게 된 것입니다.
 
‘예루살렘 공의회’를 이해하는데 핵심적인 문제를 세 가지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첫째로, ‘예루살렘 공의회’는 시리아에 있는 안디옥 교회의 문제를 다루는 회의였습니다. 이 말은 그 회의에서 다루었던 문제가 비단 안디옥 교회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모든 교회의 문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도행전 11장에 키프로스와 구레네 사람들이 이방인들 (그리스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했다는 말씀이 나옵니다. 이 사람들은 일찍이 해외에 나와서 살고 있던 ‘디아스포라’ 유대인들입니다. ‘디이스포라’에게 주시는 하나님의 선물은 ‘코스모폴리탄적인 마음 (cosmopolitan mind)’이라고 지난 설교에서 말씀 드렸습니다.
 
키프로스와 구레네 출신 유대인들은 복음은 모든 사람들에게 전해져야 한다는 열린 마음을 가지고 있었던 사람들이었습니다. 성경에 ‘주님의 손길’이 그들과 함께 하셨으므로, 많은 사람들이 믿고 주님께로 돌아왔다고 했습니다. ‘주님의 손길 (the hand of the Lord)’이 그들과 함께 했다는 것은, 그리스 사람들이 교회로 들어오는 것이 하나님의 뜻이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안디옥 교회의 소식을 듣고 예루살렘교회는 큰 충격에 빠졌습니다. 이들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들이었지만 그들이 믿어왔던 유대교적 생각은 쉽게 바뀌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예루살렘교회는 안디옥교회의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조사관을 파견합니다.
 
우리는 이런 성경 말씀을 읽으면서, 다시 한번 정말 하나님께서 하시는 일에는 한치의 오차도 없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조사관으로 파견된 사람이 ‘바나바 (Barnabas)’라는 사람이었습니다. 성경 말씀을 보세요. 바나바가 어떤 사람이었습니까? “바나바는 착한 사람이요, 성령과 믿음이 충만한 사람이었습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주님께로 돌아왔습니다 (Barnabas was a good man, full of the Holy Spirit and strong in faith. And many people were brought to the Lord).” (사도행전 11:24) 바나바가 성령으로 충만한 사람이라는 구절이 눈에 들어옵니다. 바나바는 하나님의 마음을 잘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바나바가 본 안디옥 교회 현상은 전혀 우려할 만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안디옥 교회 현상을 심각하게 보고 있는 예루살렘 교회와 달리 바나바는 하나님의 은혜가 안디옥 교회에 내리고 있다고 보고서를 썼습니다. 만일 그 때 조사관으로 파견된 사람이 바나바가 아니었다면 그는 다른 식으로 안디옥 교회 현상을 봤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는 사이에, 안디옥 교회는 이방인 선교를 위해서 선교사를 파송 하기로 결정하고, 본격적으로 이방인 선교를 하겠다고 선언합니다. 선교사 파송된 사람은 그 교회 조사관으로 온 바나바와 바나바가 데려 온 사울이었습니다. 이 둘이 선교사로 나가 각 도시를 다니면서 복음을 전파한 것이 우리가 말하는 ‘바울의 제 1차 전도여행 (The First Missionary Journey of Paul)’입니다. 바나바의 고향인 키프로스 (Cyprus)를 거쳐서 터키 내륙으로 들어갔다가 다시 안디옥으로 돌아오는 전도여행이었습니다.
 
둘째로, ‘예루살렘 공의회’는 ‘율법주의’와 ‘복음주의’의 충돌로 말미암아 생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열린 회의입니다. “율법주의’는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늘 명심해야 합니다. 바나바와 사울은 1차 전도여행에서 돌아와 전도여행에서 있었던 하나님의 은혜를 교회에서 나누었습니다. 그리고 바나바와 사울 두 사람은 ‘제 2차 전도여행’을 준비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중대한 문제가 터졌습니다. 유대에서 온 형제들 몇 사람이 “모세가 가르친 풍습대로 할례를 받지 않으면 여러분은 구원 받을 수 없습니다 (15:1)”라고 교인들을 가르친 것입니다. 이들과 바나바와 사울 사이에 격렬한 충돌과 논쟁이 벌어졌습니다. 이 말씀이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Paul and Barna¬bas disagreed with them, arguing vehemently. Finally, the church decided to send Paul and Barnabas to Jerusalem, accompanied by some local believers, to talk to the apostles and elders about this question.” (15:2) 이렇게 안디옥 교회의 요청으로 ‘예루살렘 공의회’가 열린 것입니다.
 
셋째로, 하나님께서 스스로 ‘예루살렘 공의회’를 준비하시고, 결론에 이르기까지 회의를 직접 운영하신 것을 놓치지 않아야 합니다. 여러분들 중 어떤 분들에게는 이런 말이 잘 이해가 안 되고 믿어지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성경을 조심해서 읽어보면 이 사실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안디옥 교회에 이방인들 (그리스인들)이 들어 온 것은 어떻게 잘 마무리가 되었지만, 그동안 예루살렘 교회는 많은 고민을 하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특히 바리새인 출신 신자들 중에 “이방인이 교회로 들어 온 경우 그들도 할례를 받아야 하며, 모세의 율법을 지켜야 합니다 (15:5)”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상당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예루살렘 공의회’에서, 세 사람의 발언이 있었습니다. 베드로와 바나바와 사울, 그리고 야고보입니다. 베드로는 예루살렘 교회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사람이었습니다. 그런데, 하나님은 바로 이 시간을 위해서 베드로의 마음을 이미 바꾸어 놓으셨습니다. 이방인 고넬료 (Cornelius, who was a captain of the Italian Regiment)의 집을 방문한 베드로의 말이 압권입니다. “여러분도 잘 아시겠지만 유대인이 이방 사람을 사귀거나 그의 집에 찾아가는 것은 유대 법에 어긋나는 일입니다. 하지만, 하나님께서는 저에게 어떤 사람도 속되거나 부정하다고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보여 주셨습니다......나는 참으로 하나님께서는 사람을 외모로 차별하지 않는 분이시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사도행전 10:28, 34)
 
회의 석상에서 양측 주장이 팽팽하게 맞섭니다. 성경에는 ‘많은 토론 (a long discussion, 15:7)’이 있었다고 했습니다. ‘discussion’ ‘debate’ ‘dispute’이라는 단어들이 사용된 것을 보면 쉽게 결론이 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 줍니다. 이 때 베드로가 일어나 이렇게 말합니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성령을 주신 것과 똑같이 그들에게도 주셔서 그들을 인정하셨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와 이방인들을 차별하지 않으셨습니다. 하나님께서는 그들의 믿음을 보시고 그들의 마음을 깨끗하게 하셨습니다. 그런데 지금 여러분은 어찌하여 우리 조상들이나 우리나 모두 질 수 없었던 짐을 이방인 신자들에게 지워서 하나님을 시험하려 하십니까? 우리는 그들과 마찬가지로 주 예수님의 은혜로 구원을 받는다는 사실을 믿습니다 (We believe that we are all saved the same way by the undeserved grace of the Lord Jesus).” (15:8-11)
 
베드로가 말을 마쳤을 때 회의장에 조용한 침묵이 흘렀습니다 (15:12). ‘조용하다’는 것은 회의에 참석한 사람들이 베드로의 말을 받아들였다는 뜻입니다. 어려운 말로 ‘암묵적 (暗默的)인 찬성’이라고 합니다. 말은 안 하지만, 찬성한다는 뜻입니다. 이어서 바나바와 사울이 전도여행 중에 하나님께서 이방인들 중에서 일하신 체험들을 이야기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야고보가 정리를 합니다. 야고보는 예수님의 동생인데, 언제부터인지 예루살렘 교회에서 베드로, 요한과 함께 ‘기둥 같은 사람 (who were reputed to be pillars, 갈라디아서 2:9)’으로 인정 받고 있었습니다. 그가 이렇게 말합니다. “하나님께서 처음으로 이방인들 중에서 자기 백성을 삼으시려고 그들을 찾아오신 이야기를 베드로가 잘 말해 주었습니다. 베드로의 말은 성경에서도 증거를 찾을 수 있습니다. 내가 판단하기로는, 하나님께로 돌아온 이방 형제들을 더 이상 힘들게 하지 말고, 그들에게 편지를 써서, 우상에게 바친 더러운 음식을 먹지 말 것, 음란한 행동을 하지 말 것, 목 졸라 죽인 짐승의 고기와 피를 먹지 말 것을 권면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15:19-20)
 
AD 50년에 열렸던 ‘예루살렘 공의회’는 이렇게 막을 내렸습니다. 이 때 만약 이방인들도 할례를 받아야 한다고 결정하고 유대인의 풍습을 따라야 한다고 결정했더라면, 오늘 우리는 유대인들처럼, 유대인들이 먹는 음식을 먹으면서 살아야 했을지도 모릅니다. 그렇게 되었더라면 복음이 전 세계로 전파되는데 얼마나 거추장스러운 장애물이 되었겠습니까? 하나님께서 친히 ‘예루살렘 공의회’의 물줄기를 그렇게 자기가 원하는 방향으로 바꾸어 놓으신 것입니다. 그리고, 그 일을 위해서 준비된 사람들을 사용하셨습니다. 베드로를 사용하셨고, 바나바와 사울을 사용하셨고, 야고보를 사용하셨습니다. 베드로는 그가 고백한 것처럼 로마 군인 고넬료의 집에 가는 일이 정말 하기 싫고 힘든 일이었습니다. 그 경험이 하나님의 일에 사용될 줄 그 당시에는 몰랐고 당황했을 것입니다.
스티브 잡스 (Steve Jobs)가 스탠포드대학 졸업식 연설에서 했던 연설문이 생각납니다. 최고의 연설입니다. “Again, you can’t connect the dots looking forward; you can only connect them looking backwards. So you have to trust that the dots will somehow connect in your future (다시 말씀드리지만, 이 점들이 앞으로의 인생에서 어찌 연결될지 알 수 없습니다. 그것들은 나중에 뒤돌아 보고서야 비로소 그 연관성들을 깨닫게 됩니다. 그러므로 그런 작은 점들이 어떻게든지 미래에 연관이 될 것이라는 확신을 가져야 합니다).
 
잡스가 말하는 ‘점들 (dots)’은 우리가 매일 경험하고 있는 의미 없는 일들일 수도 있고, 하기 싫은 일들일 수도 있습니다. 절망과 실패의 경험들일 수도 있습니다. 이것들이 그 당시에는 아무 의미가 없어 보이고, 나의 미래를 위해서도 도움이 될 것 같지 않아 보입니다. 그러나, 지내 놓고 보면 이 점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준비 시키시는 것도 이렇다고 생각합니다. 한 순간도 소홀히 하지 마십시오. 믿음이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말고 최선을 다하십시오. 그리고, 지금은 잘 모르겠지만, 지금의 이 점들이 서로 연결되어 하나님의 일에 반드시 사용된다는 믿음을 가지십시오.

7/7/2019 | 성령강림절 후 넷째 주일

건강한 교회의 모델 A Model For the Healthy Church

사도행전 11:19-26

오늘은 ‘성령강림절 후 넷째 주일’입니다. 오늘 여러분과 함께 나눌 말씀은 ‘교회’에 대한 말씀입니다. 오늘날처럼 ‘교회’에 대한 개념이 혼란스러운 때가 없었습니다. 우리는 ‘교회’란 건물이 아니라 사람이라고 배웠습니다. ‘교회’를 뜻하는 희랍어는 ‘에클레시아 (ἐκκλησία)’입니다. 이 말은 ‘하나님으로부터 부르심을 받은 사람들’이라는 뜻입니다. ‘에클레시아’라는 말을 우리교회에 적용한다면, ‘케임브리지교회’는 ‘하나님께 부르심을 받은 사람들로서 35 Magazine Street, Cambridge, Massachusetts에 있는 건물에서 정기적인 모임을 갖는 사람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만 말씀드려도 오늘날 교회들이 본래의 목적에서 얼마나 벗어나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우선 오늘날의 교회들은 그 목적이 무엇인지 혼란스럽습니다. 이 성경 말씀을 한번 보십시오. “그러므로 주님 안에서 갇힌 몸이 된 내가 여러분에게 권합니다. 여러분은 부르심을 받았으니, 그 부르심에 합당하게 살아가십시오. 겸손함과 온유함으로 깍듯이 대하십시오. 오래 참음으로써 사랑으로 서로 용납하십시오. 성령이 여러분을 평화의 띠로 묶어서, 하나가 되게 해 주신 것을 힘써 지키십시오. 그리스도의 몸도 하나요, 성령도 하나입니다. 이와 같이 여러분도 부르심을 받았을 때에 그 부르심의 목표인 소망도 하나였습니다. 주님도 한 분이시요, 믿음도 하나요, 세례도 하나요, 하나님도 한 분이십니다.” (에베소서 4:1-6) 이 말씀에서 말하고 있는 것이 무엇입니까? 우리는 같은 주님, 같은 믿음, 같은 세례, 같은 하나님, 같은 부르심을 받은 사람들이라는 것 아닙니까? 우리는 모두 같은 방향으로, 같은 목적을 가지고, 같은 길을 걷는 사람들이라는 것입니다. “성령이 여러분을 평화의 띠로 묶어서, 하나가 되게 해 주신 것을 힘써 지키십시오”라고 하지 않습니까? 그런데, 오늘날의 교회들은 이 하나의 목적과 방향과 사명을 잃어버렸습니다. 마치 교회마다 다른 길을 가는 것처럼, 교회마다 가는 방향이 다르고 목적이 다른 것처럼 되어 버리고 말았습니다.
 
오늘 저는 이런 교회의 정체성에 대한 위기감을 먼저 말씀 드리면서 성경에 나오는 ‘안디옥교회’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왜냐하면 이 ‘안디옥교회’가 건강한 교회의 모델이 어떤 것인지 그 모델을 보여 주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안디옥 (Antioch)’이라는 곳은 지금의 시리아 (Syria)에 있는 ‘안디옥’입니다. 성경을 읽다 보면 ‘비시디아 (Pisidia)’라는 지역에도 ‘안디옥’이라는 곳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둘을 구별하기 위하여 ‘시리아 안디옥’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안디옥교회는 어떤 교회였을까요? 제가 안디옥교회에 대한 성경 말씀을 정리해 본 결과 몇가지 중요한 사실들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첫째로, 안디옥교회는 ‘디아스포라 (diaspora)’ 교회였습니다. 스데반이 순교한 이후 교회에 대한 대대적인 박해가 시작되었을 때, 박해를 피해서 시리아의 안디옥으로 피신했던 디아스포라 유대인 크리스천들의 교회였습니다.
 
저는 이 사실을 가볍게 보지 않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처음부터 교회를 흩을 계획을 가지고 계셨습니다. 교회가 흩어지는 시점이 스데반의 순교였습니다. 만일 스데반의 순교가 없었고, 교회에 대한 박해가 없었더라면 교회는 흩어지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들은 성경에 나와 있는 대로 사도들의 가르침을 받고, 서로 교제하며, 기도에 힘썼을 것입니다. 물건들을 공동으로 사용하고 소유를 팔아서 필요한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었습니다. 그들은 교회 밖에 있는 사람들로부터 칭찬을 받았고 (사도행전 2:47), 구원 받는 사람은 점점 불어났을 것입니다. 박해가 시작되기 전에는 그들의 모임 장소는 ‘성전 뜰’이었습니다. 그들은 ‘성전 뜰 (the temple courts)’에서 날마다 모인 것입니다 (사도행전 2:46).
 
그러던, 어느 날, 스데반의 설교를 듣고 화가 난 유대인들이 스데반을 돌로 쳐 죽였고, 이것이 크리스천들에 대한 박해로 이어졌습니다. 위기감을 느낀 크리스천들은 시리아로, 소아시아 (지금의 터키)로 피난을 간 것입니다. 이런 일들이 모두 성경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런 성경 말씀을 읽을 때 확신처럼 마음에 드는 생각이 있습니다. “God is in control!”이라는 말입니다. 그 어떤 상황 속에서도 하나님은 일하고 계십니다. 하나님의 control을 벗어나서 일어나는 일은 아무 것도 없습니다. 특별히 ‘하나님의 사람들 (the people of God)’의 삶은 더욱 그렇습니다. 어떤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도 하나님은 일하고 계십니다. 예수님께서 그렇게 말씀하셨잖아요? “내 아버지께서 지금까지 일하고 계시니 나도 일한다 (My Father is always at his work to this very day, and I, too, am working, NIV.” (요한복음 5:17)
 
이방인의 나라, 시리아의 안디옥에 이렇게 해서 교회가 생겼습니다. 안디옥교회가 세워진 데에는 하나님의 목적과 계획이 있었습니다. 우리교회가 1978년에 이곳 케임브리지에 생긴 데에 하나님의 목적과 계획이 있었습니다. 우리교회만 그런 것이 아닙니다. 예수님의 이름으로 모이는 모든 교회들 속에 하나님의 목적과 계획이 들어 있습니다. 이 땅의 모든 교회들은 이 사실을 잊지 않아야 합니다. 그리고, 이 하나님의 목적과 계획에 충실하도록 계속해서 새로워져야 합니다.
 
둘째로, 안디옥교회는 ‘Cosmopolitan Church’였습니다. ‘cosmopolitan’이라는 말이 ‘우주적인’ ‘세계적인’이라는 뜻이 잖아요? ‘cosmopolitan’이라고 하면 ‘우주적인, 세계적인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라는 명사형으로도 사용합니다. 안디옥에 다양한 인종들이 모여 살았습니다. 그러다 보니, 안디옥의 사람들은 열린 사고를 하는 사람들이었습니다. “(시리아로 피난 간 디아스포라 크리스천들이) 오직 유대인에게만 말씀을 전했습니다. 그들 중에는 키프로스 (Cyprus)와 구레네 출신 사람 (Cyrene)이 있었는데, 이들은 안디옥에 이르러 그리스 사람들에게도 주 예수님에 관한 복음을 전했습니다. 주님의 손길이 그들과 함께 하셨으므로, 많은 사람들이 믿고 주님께로 돌아왔습니다.” (19-21절)
 
어떤 사람이 이런 제목의 글을 쓴 것을 보았습니다. “왜 디아스포라 크리스천들이 하필이면 시리아 안디옥을 피난처로 선택했을까?” 매우 흥미 있는 제목입니다. 그 글의 내용 중에 안디옥은 ‘cosmopolitan city’였다는 내용이 나옵니다. 그 당시 인구는 300,000-500,000 정도 되었다고 합니다. 안디옥에 생긴 디아스포라 크리스천들이 처음에는 그곳에 살고 있는 유대인들을 전도의 대상으로 삼았습니다. 그러나, 안디옥교회에 키프로스 출신 유대인과 구레네 출신 유대인이 들어 옴으로써 상황이 바뀌었습니다. 이 해외 생활을 했던 사람들을 통하여 그리스 사람들이 교회에 들어올 수 있는 문이 열린 것입니다.
 
저는 이런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우리 교회에 많은 청년들이 출석하여 믿음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이 청년들이 보스턴에서 생활하는 것은 좋은 학교에서 공부한다는 것이 전부가 아닙니다. 하나님께서 이 청년들에게 주시는 보이지 않는 선물이 있습니다. 그것은 조국을 떠나 이 보스턴에 와서 공부함으로써 세계를 마음에 품을 수 있도록 ‘cosmopolitan world’를 보고 경험하게 하시는 것입니다. 이 곳의 교수들이나 학자들이 얼마나 마음이 열려 있습니까? 다른 분야나 다른 이론에 대하여 서로 배우는 열린 마음들이 있지 않습니까? 이곳에서 공부하는 청년들은 이 마음을 배워서 열린 사고를 해야 합니다.
 
셋째로, 안디옥교회에서 처음으로 예수를 믿는 사람들이 누구인지 정체성이 확립되었습니다 (사도행전 11:26). 자기들끼리 “야, 우리들 이름을 정하자” 이래서 ‘크리스천’이라는 이름이 생긴 것이 아닙니다. 교회 밖의 사람들이 안디옥에 생긴 예수 믿는 사람들의 공동체에게 이름을 붙여 준 것입니다. 그 이름이 ‘크리스천 (Christians)’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이 이름이 예수 믿는 사람들을 깔보는 이름이라고 합니다. 저는 그 이름이 그런 이름이라는 어떤 증거도 성경에서 찾지 못했습니다. 오히려 성경에는 “그들은 모든 사람에게서 칭찬을 받았습니다 (사도행전 2:47)”라는 말씀이 나옵니다. 안디옥교회 사람들이 예루살렘 교회 사람들과 같은 모습으로 살았다면, 안디옥교회 사람들 역시 사람들에게 칭찬을 받았을 것입니다. ‘크리스천’이라는 이름은 부끄러운 이름이 아닙니다. 우리에게 이 이름이 주어졌다는 것이 얼마나 자랑스럽습니까? 그러나, 이름만 좋아서는 안 될 것입니다. 우리의 삶이, 교회 안에서나, 교회 밖에서 선하고 아름다워야 합니다. 하나님을 믿는 믿음을 교회 밖에서 그대로 실천해야 합니다. 우리가 믿는 성경 말씀을 나의 삶을 통해서 행동으로 나타내 보여야 합니다.
 
넷째로, 안디옥교회는 베푸는 교회였습니다. 한번은 ‘세계에 (in the entire Roman world)’ 큰 흉년이 들었습니다. 성경에는 글라우디오 (Claudius, AD 41-54까지 재위)가 황제가 되었을 때 흉년들이 들었다고 했으니까 서기 41년에 흉년이 들었던 것 같습니다. 그 때는 로마 제국 전체가 어려웠을 때였습니다. 그 때, 안디옥교회도 경제적으로 어려웠지만, 예루살렘교회를 돕기로 결정하고 바나바와 사울을 통해 헌금을 전달합니다. 한번은 바울이 이런 말을 합니다. “지금 나는 예루살렘에 있는 성도들에게 구제 헌금을 전하러 예루살렘으로 가는 길입니다. 그것은 마케도니아와 아가야 사람들이 예루살렘에 있는 가난한 성도들을 도우려고, 기쁜 마음으로 구제 헌금을 마련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들이 기쁜 마음으로 헌금은 했지만, 사실 그들은 예루살렘 성도들에게 빚을 진 사람들입니다. 이방인들은 유대인들로부터 영적인 복을 나누어 가졌으므로, 물질적인 것으로써 유대인들에게 나누어 줄 의무가 그들에게 있습니다.” (로마서 15: 25-27)
우리가 드리는 헌금 속에 하나님께 받은 은혜의 빚을 갚는다는 의미가 들어 있습니다. 이 헌금이 교회를 통해서 모아져서 좋은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것입니다. 가난한 사람들을 돕는 일에도 사용될 수 있고, 장학금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ReNEW Conference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고, 선교 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안디옥교회는 자기들이 영적인 빚을 지고 있는 예루살렘교회 교인들을 돕기 위해 헌금을 전달했습니다. 교회가 이런 생각을 할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멋진 일입니까? 이런 생각이 교회를 교회 답게 만드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안디옥교회는 성령의 음성에 순종하는 교회였습니다 (사도행전 13장). 온 교회가 기도하고 금식하는 중에 성령의 음성을 들은 것입니다. 이 말씀을 조금 일반적인 의미로 해석하면, 열심이 기도하는 중에 안디옥교회 교인에게 일치된 생각이 든 것입니다. 그 때 안디옥교회는 바나바와 사울, 두 사람이 교회를 섬기고 있었습니다. 두 사람이 안디옥에 1년 동안 머물면서 교인들을 가르쳤다는 말씀이 성경에 나옵니다 (사도행전 11:26). 그런데, 안디옥교회에게 성령께서 말씀하시는 것은 “이제 두 사람을 더 이상 이 교회에 있게 하지 말라”는 것이었습니다. 두 사람을 다른 곳으로 보내서 그 곳 사람들도 복음을 듣게 하라는 것입니다 (사도행전 13:2). 안디옥교회는 성령의 음성에 순종했습니다. 바나바와 사울, 두 사람도 이 성령의 음성에 순종했습니다.
 
위에서 제가 이런 문제를 제기했었습니다. “왜 하나님은 이방인 지역에 세워진 최초의 교회로 안디옥을 선택했을까?” 하는 질문이었습니다. 하나님께서 안디옥을 선택한 것은 안디옥이 ‘코스모폴리탄 도시 (cosmopolitan city)’였기 때문입니다. 그 도시의 ‘코스모폴리탄적’인 분위기가 안디옥교회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래서 안디옥교회가 열린 마음을 가지고 이방인들을 받아들인 것입니다. 이것은 예루살렘교회에서 볼 때는 큰 충격이었습니다. 그래서 예루살렘에서 조사관이 파견되어 이 현상을 조사하지 않았습니까? 만일 안디옥교회가 폐쇄적인 도시 분위기의 영향을 받았더라면 아마도 안디옥교회는 성령의 음성을 거절했을 것입니다. 절대로 바나바와 사울을 선교사로 파송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오늘날 정체성의 혼란을 겪고 있는 교회들이 정체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건강한 교회의 모델이 필요합니다. 안디옥교회는 성경이 제시하는 좋은 교회, 진정한 교회, 건강한 교회의 모델로서 부족함이 없습니다. 우리는 안디옥교회를 거울 삼아 오늘 우리교회를 돌아보면서 “우리교회는 건강한 교회인가?” 하고 질문해야 합니다. 그리고, 건강하지 못한 부분들이 있으면 함께 기도하고 지혜를 모아서 대안을 만들어야 합니다.

6/30/2019 | 성령강림절 후 셋째 주일

사울의 회심 Saul's Conversion

사도행전 9:1-9, 15-16

‘성령강림절’ 후 어떤 일이 있었는지 성경 (사도행전)을 찾아 보는 것은 매우 재미있고, 유익한 일입니다. 왜냐하면, 그런 일들을 통해서 하나님께서 하시는 일들을 생생하게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저의 앞으로의 설교계획은 이렇습니다. (1) 제자들에게  성령이 임한 사건 (사도행전 2장) (2) ‘아름다운 문’ 앞에서 일어난 사건 (사도행전 3장) (3) 신앙공동체의 출현 (사도행전 4장) (4) 사울의 회심 (사도행전 9장) (5) 안디옥 교회 (사도행전 11장) (6) 예루살렘 회의 (사도행전 15장) (7) 유럽으로 건너간 복음 (사도행전 16장) (8) 하나님의 전략적인 도시 고린도 (사도행전 18장)  (9) 복음의 변증론자
 
오늘 읽은 사도행전 9장은 사울의 ‘회심’에 대한 말씀입니다. ‘회심’이라는 말의 사전적인 의미는 ‘마음을 돌이켜 먹음’ ‘과거의 생활을 뉘우치고 신앙에 눈을 뜸’이란 뜻입니다. 한자로는, ‘回心’이라고 씁니다. ‘돌아올 회자’와 ‘마음 심자’입니다. 마음을 고쳐 먹고 돌아온다는 뜻입니다. 영어로는, ‘conversion’이라고 합니다. ‘바꾼다’는 뜻입니다, 성격이나 형태나, 기능이 바뀌는 것입니다. 또 죄인이었던 사람이 의로운 사람으로 바뀌는 거나 한 종교에서 다른 종교로 종교를 바꾸거나, 정치적인 신념이 바뀌거나 관점이 바뀌거나 할 때 ‘conversion’이라는 말을 씁니다. 또 자신의 종교에 대해 무관심하거나 불신하거나 반대했던 사람이 아주 열성적으로, 아주 호의적으로 바뀌었을 때도 ‘conversion’이라는 단어를 씁니다. 사울의 ‘회심’은 맨 마지막 정의가 맞을 것 같습니다. 사울이 회심했을 당시 ‘기독교’라는 말이 없었습니다. 유대교 내에서 이런 일이 일어난 것입니다. 사울은 처음에 나사렛 예수와 그를 따르는 사람들에 대해 반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사울이 성경에 처음 등장하는 것은 ‘스데반 (Stephen)’이라는 사람이 돌에 맞아 순교하는 장면에서입니다. 사울은 “저런 사람은 죽어야 마땅하다 (사도행전 8:1)”고 생각합니다. 이 말씀이 New Living Translation에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Saul was one of the witnesses, and he agreed completely with the killing of Stephen. A great wave of persecution began that day, sweeping over the church in Jerusalem; and all the believers except the apostles were scattered through the regions of Judea and Samaria (증인 중 한 사람인 사울은 스데반의 죽음에 완전히 동의했습니다. 그날 예루살렘의 교회에 큰 박해가 시작되었습니다. 사도들을 빼고는 모든 신자들이 유대와 사마리아로 흩어졌습니다).”
 
이렇게 예수님과 그를 따르는 사람들에 대한 지독한 반감을 가지고 있던 사울이 ‘다마스커스 (Damascus)’로 가고 있었습니다. ‘다마스커스’는 ‘시리아 (Syria)’의 수도입니다. 그의 손에는 대제사장의 편지가 들려 있었습니다. 옆에는 그를 수행하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다마스커스’에 거의 다 갔을 무렵에 갑자기 하늘에서 강한 빛이 사울에게 비쳤습니다. 깜짝 놀란 사울은 땅에 엎드렸습니다. “사울아, 사울아, 네가 왜 나를 핍박하느냐?” 하는 소리가 들렸습니다. 놀란 사울은 “주님은 누구십니까?” 하고 묻습니다. “나는 네가 핍박하는 예수다. 일어나서 성으로 들어가라. 네가 해야 할 일을 알려 줄 사람이 있을 것이다.” (4-6절) 이것은 하나님께서 사울을 부르는 소리였습니다. 재미있는 것은 사울만 이런 소리를 들었지, 같이 가던 수행원들은 무슨 소리인지는 듣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사울은 앞이 보이지 않았습니다. 사람들이 그를 부축하고 ‘다마스커스’로 들어갔습니다.
 
성경은 하나님께서 연출하시는 완벽한 드라마입니다. 한치의 오차도 없이 진행되는 하나님의 드라마입니다. 하나님께서 ‘다마스커스’에 미리 ‘아나니아 (Ananias)’라는 사람을 준비시켜 놓았습니다. 이 사람은 예수님의 제자였습니다. ‘아나니아’가 기도 중에 하나님의 음성을 듣습니다. ‘아나니아’는 “주님, 제가 여기 있습니다”라고 대답합니다. 주께서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일어나 ‘곧은 길’이라고 하는 거리로 가서 유다의 집에 묵고 있는 ‘사울’이라는 다소 사람을 찾아라. 그가 기도 중에 ‘아나니아’라는 사람이 찾아와 그에게 손을 얹어서 그의 시력이 회복되는 것을 보았다.” 주님의 충실한 제자 ‘아나니아’가 이렇게 대답합니다. “주님, 제가 그 사람에 관한 소문을 들었는데, 그가 예루살렘에 있는 주님의 성도들에게 많은 해를 입혔다고 합니다. 그가 이곳에 올 때 대제사장으로부터 신자들을 잡아갈 수 있는 권한을 받아 가지고 왔다고 합니다.” (사도행전 9:13-14)
 
주님이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가거라. 그는 이방 사람들과 여러 왕들과 이스라엘 백성 앞에서 나의 이름을 전하도록 선택된 나의 도구이다. 그가 내 이름을 위해 얼마나 많은 고난을 당해야 할지를 내가 그에게 보여 주겠다.” (사도행전 9:15-16) 이 말씀이 New Living Translation에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Go, for Saul is my chosen instrument to take my message to the Gentiles and to kings, as well as to the people of Israel. And I will show him how much he must suffer for my name's sake.”
 
세상에 이런 말씀이 어디 있습니까? 하나님께서 사울이라는 사람을 복음을 전파하는 도구로 사용하시겠다고 합니다. 그 말씀을 이해하는 데 큰 문제는 없습니다. 그런데, 그 다음에 나오는 말씀이 문제입니다. 그가 ‘내 이름 때문에’, ‘내 이름을 위하여’ 반드시 얼마나 많은 고난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 주겠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하나님의 선택입니다. 하나님의 선택에는 반드시 고난이 따릅니다. “I will show you how much you must suffer for my name’s sake”라고 하지 않았습니까? 하나님의 일을 실천하는 과정은 ‘꽃 길’이 아닙니다. 아무 문제가 없는, 사람들의 인정을 받고 칭찬을 받는 길이 아닙니다. ‘고난의 길’입니다. 여러분 중에 괜히 느낌으로, 막연하게 하나님께서 나를 선택하신 것 같다는 생각을 하고 있는 사람이 있습니까? 이런 사람은 먼저 여러분의 삶 속에 주님의 이름 때문에 받는 고난이 있는지 확인해 보십시오. 목사직, 교회에서 받는 장로직, 권사직, 집사직을 수행하는데 예수님의 이름 때문에 고난 받는 일이 있는지 자신을 돌아 보십시오. 우리는 반드시 “We must suffer for the sake of Christ (우리는 주님 때문에 고난을 받고 있습니다)” 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질문은 “왜 하나님은 사울 같은 사람을 선택했을까?” 하는 것입니다. 제가 얻은 결론은, 하나님은 그 때 사울 같은 사람이 필요했다는 것입니다. 첫째로, 복음을 정확하게 알고 있는 사람이 필요했습니다. 대충 알고 있는 사람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으로 구원 받는다는 것은 무슨 말인가? 그것은 율법을 실천함으로써 구원 받는다는 유대교의 구원과 무엇이 다른가? 복음은 그리스 철학과 어떻게 다르며, 그 당시 유행하던 ‘영지주의 (Gnosticism)’같은 사상과 어떻게 다른가 하는 것을 정확하게 보여 줄 수 있는 사람이 필요했습니다. 이런 목적으로 하나님께서 선택한 사람이 사울입니다.
 
어떻습니까? 저의 이 말에 동의하십니까? 사울은 바리새파 출신 유대인이었습니다 (빌립보서 3:5). 그의 고백처럼 그는 다른 누구보다도 열심히 유대교를 믿었고, 그 누구보다도 유대교의 전통을 지키는 데 열심이었습니다. (갈라디아서 1:13-14) 이런 사울이 예수님을 만난 것입니다. 덕분에 사울은 누구보다도 율법과 복음의 차이점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율법을 충실하게 지키면 구원을 얻는다는 유대교의 오류가 무엇인지 정확하게 알고 있는 사람이 바로 사울입니다. 그는 이 사실을 로마서와 갈라디아서에 기록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사울이 쓴 로마서 3:21-22 “그러나 이제는 율법 없이도 하나님께로부터 오는 의가 나타났습니다. 이것은 율법과 예언자들도 증언한 것입니다. 하나님께로부터 오는 의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을 통해 옵니다. 이 의는 믿는 사람이라면 누구에게나 주어지는 것이며, 사람을 차별하지 않습니다” 이 말씀을 읽을 때는 온 몸에 소름이 돋습니다. 이 말씀 속에 율법과 복음의 모든 것이 들어 있습니다. 그리고, 하나 더, 로마서 10:4 “그리스도는 율법의 마침입니다 (Christ is the end of the law)” 이 말씀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은 복음과 율법의 관계를 이해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사울은 ‘가말리엘 (Gamaliel)’이라는 탁월한 율법학자 밑에서 공부했습니다. 요즘도 그렇겠습니다만, 스승 밑에서 공부한다는 것은 단순히 학문만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스승의 사상과 학문하는 방법까지 배우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런 면에서 사울이 ‘가말리엘’은 밑에서 공부한 것은 일찍부터 하나님께서 계획하신 일이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나는 유대인입니다. 길리기아 지방의 다소 (Tarsus of Cilicia)에서 태어났지만 예루살렘에서 자랐고 ‘가말리엘’의 제자로서 그 밑에서 우리 조상의 율법대로 엄격한 교육을 받았습니다. 나는 오늘, 여기 모인 모든 사람들처럼 하나님에 대해 열심이 있었습니다.” (사도행전 22:3) 성경을 읽어보면 ‘가말리엘’이라는 율법학자가 어떤 사람인지 알 수 있습니다. 그는 유대 ‘산헤드린 (San-hed¬rin)’의 위원으로 모든 유대인들의 존경을 받는 사람이었습니다. 매우 합리적인 사람이었고, 예수님과 그 제자들에 대해서도 마음이 열려 있는 사람이었습니다 (사도행전 5:34-39) 제가 말하고 싶은 것은 사울이 ‘가말리엘’ 밑에서 공부하면서 이런 스승의 사상과 태도를 배웠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런 태도가 예수님의 사상과 메시지를 이해하는 일에 도움이 되고, 복음이 필요한 사람들의 사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울은 매우 열정적인 사람이었습니다. “율법을 지키는 것에 너무나 열심이었으므로 교회를 핍박하기까지 하였습니다. 내가 모세의 율법을 지키고 따르는 데 있어서는 그 어느 누구도 허점을 찾을 수 없을 정도였습니다 (I was so zealous that I harshly persecuted the church. And as for righteousness, I obeyed the law without fault).” (빌립보서 3:6) 사울 자신이 그렇게 말했습니다. “유대인들은 하나님께 대한 열심이 있습니다만, 그 열심이 지식에 기초하고 있지 않다는 것입니다.” (로마서 10:2) 유대교 신자로서 사울도 예외가 아니었습니다. 하나님은 사울이 가졌던 열심을 그리스도의 복음을 위한 열심으로 바꾸어 주셨습니다. 그 결과, 그는 어떤 사람으로 변화되었을까요?
 
여러분, 이 말씀을 한번 보십시오. “However, I consider my life worth nothing to me; my only aim is to finish the race and complete the task the Lord Jesus has given me--the task of testifying to the good news of God's grace (그러나, 나는 나의 삶에 연연하지 않습니다. 나의 유일한 삶의 목적은 주 예수께서 나에게 주신 과업을 완수하는 것입니다. 그 과업은 하나님의 은혜의 복음을 증거하는 것입니다).” (사도행전 20:24, New International Version) 주님이 주신 과업을 완수하는 것이 그의 유일한 삶의 목적이라고 말하지 않습니까? 그에게 더 많은 사람에게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파하는 것 외에 다른 삶의 목적이 없었습니다. 어떻습니까? 오늘 우리들에게 복음에 대한 이 열정이 있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사울의 회심은 모든 사람들에게 충격적인 사건이었습니다. 사울이 가는 곳마다 유대인들은 배신자 사울을 죽이려고 했습니다. 그가 예루살렘에 갔을 때는 그를 죽이기 전에는 먹지도 않고 마시지도 않겠다고 맹세한 40명의 자객들이 바울을 제거하는 음모에 가담했습니다 (사도행전 23:12-15). 교회 측에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교회는 사울의 회심을 의심했습니다. 신자들이 볼 때, 사울은 워낙 악명이 높은 사람이었습니다. ‘바나바 (Barnabas)’라는 신실한 사람이 사울을 추천하지 않았더라면 영영 교회는 사울을 받아들이지 않았을 지 모릅니다.
 
하나님은 사울 같은 사람이 필요했습니다. 복음을 정확하게 알고 있는 사람, 복음을 전파하는 일에 자신의 모든 것을 헌신할 수 있는 열정적인 사람, 동시에 마음이 열려 있는 사람이 필요했습니다. 1세기에 복음이 이방 세계에 전파되어야 하는 때에, 그리스의 철학과 타 종교와 하나님을 믿지 않는 문화 속에 복음을 전파하기 위하여 하나님은 사울 같은 사람이 필요했습니다. 그러면, 지금은 어떨까요? 교회의 메시지가 힘을 잃어가고, 크리스천의 영향력이 감소되어 가고 있는 이 때에, 하나님은 사울 같은 사람을 찾고 계시는 것 아닐까요? 복음을 잘 아는 사람, 마음이 열려 있는 관용의 사람, 그리고 복음에 대한 열정이 있는 사람, 하나님은 분명히 이 시대에도 이런 사람을 찾고 계십니다. 우리 주변에 이런 사람이 있는지 살펴 볼 필요 없습니다. 이렇게 기도하십시오. “하나님, 왜 저는 안 되겠습니까? 저를 이 일에 사용하여 주십시오. 저를 이 일에 적합한 사람으로 훈련시켜 주십시오.”

6/23/2019 | 성령강림절 후 둘째 주일

처음교회는 이런 교회였다 What Was The First Church?

사도행전 2:42-47

지금 저는 ‘성령강림절’ 후 어떤 일이 있었는가 하는 것을 추적하면서 주일마다 은혜를 나누고 있습니다. 지난 주에는 성전으로 들어가는 ‘아름다운 문 (The Beautiful Gate)’ 앞에서 구걸을 하고 있던 한 사람이 걷게 된 기적을 소개했습니다. 이 사람은 나이가 40세 정도된 (사도행전 4:22), 걷지 못하던 사람이었습니다. 이 사람은 늘 기도 시간에 성전으로 들어가는 문 앞에 앉아 구걸을 하고 있었습니다. 마침 그 시간에 베드로와 요한이 기도하러 성전에 올라가다가 이 사람과 눈이 마주칩니다. 베드로가 이 사람에게 이렇게 명령합니다. “은과 금은 내가 없지만, 내게 있는 것으로 네게 주노니, 나사렛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일어나 걸으라.” (사도행전 3:6) 즉시 이 사람이 일어나 걷는 기적이 일어났습니다.
 
이 사건의 여파가 생각보다 훨씬 컸습니다. 그런 이유로 저는 이 사건의 배후에 하나님께서 계시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뭔가 하나님께서 이 사건을 통해 하시고자 하는 뜻이 있다는 것입니다. 베드로는 사람들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당신들이 십자가에 못박아 죽인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이 이 사람을 걷게 했습니다. 그러므로 지금이라도 회개하고 하나님께로 돌아오면 여러분들의 죄를 용서 받을 것입니다.” (사도행전 3:19) 이 말을 들은 많은 사람들이 예수를 믿겠다고 했습니다. 벌써 그 때 신자들의 수가 5,000명을 넘었습니다 (사도행전 4:4).
 
그리고, 이 일 때문에 ‘유대 통치자들과 장로들과 율법사들이 예루살렘에 모였습니다. 대제사장 안나스를 비롯하여 가야바, 요한, 알렉산더, 그리고 대제사장 가문에 속한 사람들이 다 모였다고 한 것을 보면 아마도 ‘공회 (Sanhedrin)’가 열린 것 같습니다. 그만큼 유대 지도자들이 이 사람의 병이 나은 이 사건을 중요하게 보고 있었다는 증거입니다. 지금 예루살렘에 이 사건을 모르는 사람들이 없는데, 이 일을 잘못 대응했다가 나중에 큰 후환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던 것 같습니다. 산헤드린은 베드로와 요한 두 사람을 불렀습니다. 이 자리에서도 두 사람은 거침이 없었습니다. 베드로가 이렇게 말합니다. “(당신들은 예수님을 버렸지만) 예수님 외에는, 다른 어떤 이름으로 구원 받을 수 없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온 세상에 우리가 구원 받을 만한 다른 이름을 주신 적이 없습니다.” (사도행전 4:12) 예수님의 십자가의 죽음과 부활을 체험하고, 성령을 체험한 제자들은 이미 세상이 감당할 수 없는 사람들이 되어 있었습니다.
 
여러분, 이 말씀이 히브리서 11:38에 나옵니다. 믿음의 사람은 ‘세상이 감당치 못할 사람들’이라고 합니다. ‘감당하지 못한다’는 말은 내 힘으로 해결하기에 벅차다는 말입니다. 믿음의 사람들은 세상의 것에 연연하지 않고, 세상 것에 미련을 두지 않기 때문에 세상이 감당할 수 없는 사람들이었습니다. 굶주림이나, 박해나, 고난이나 시련이나 이런 것으로 믿음의 사람들을 굴복 시킬 수 없었습니다. 예수님의 제자들은 더 이상 겁과 두려움에 떠는 겁쟁이들이 아니었습니다. 그들은 세상이 감당할 수 없는 사람들이었습니다.
 
보세요. 이미 성령강림절에 제자들에게 성령이 임한 것을 보고 회개하고 예수를 믿기로 작정한 사람들이 3,000명이었습니다 (사도행전 2:41). 그리고, 성전 문 앞에 앉아 구걸하던 사람에게 일어난 기적을 보고 예수를 믿기로 작정한 사람들이 2,000명이었습니다. 신자의 수가 5,000명이 된 것입니다.
오늘 읽은 사도행전 2:42-47 말씀은 ‘처음교회’가 어떤 교회였고, 어떤 모습이었는지, 또 그 사람들이 모인 공동체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알 수 있는 소중한 말씀입니다. 이 말씀 속에 몇 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중요한 것들이 있습니다. 첫째로, 처음교회는 무슨 의도를 가지고 어떤 사람이 세운 교회가 아닙니다. ‘처음교회’는 자발적으로 (voluntarily) 만들어진 믿음의 공동체였습니다. ‘자발적으로’ 세워졌다는 말은 사람의 의도가 배제되고, 하나님의 의도가 반영되었다는 뜻입니다.
 
무엇이든지 ‘억지로 (reluctantly)’하는 일에는 기쁨이 없습니다. ‘억지로’하는 일에는 성과도 없습니다. 공부도 억지로 하는 공부는 재미도 없고, 실력도 늘지 않습니다. 우리 믿음생활이 그렇습니다. 스스로 하나님을 찾고, 스스로 성경을 읽고, 스스로 기도하고, 스스로 자원해서 봉사할 때 기쁨이 있고, 믿음이 성장합니다. 이 믿음이 진짜 믿음입니다.
 
이 말씀 한번 보세요. “그러는 동안, 유대와 갈릴리와 사마리아에 있는 교회들이 평화를 되찾았으며, 터전을 든든하게 잡았습니다. 교회는 주님을 두려워하며 성령의 위로를 받아 믿는 사람들의 수가 점점 늘어났습니다.” (사도행전 9:31) 이 말씀이 New international Version에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Then the church throughout Judea, Galilee and Samaria enjoyed a time of peace. It was strengthened; and encouraged by the Holy Spirit, it grew in numbers, living in the fear of the Lord.” 직역하면, “그러자 유대와 갈릴리 그리고 사마리아에 있는 교회들이 평안했습니다. 교회는 성령의 도움으로 강해지고 격려를 받았습니다. 교회는 주님을 두려워 하였으며 숫자가 불어갔습니다.”
 
여러분은 이 말씀을 읽으면서 무슨 생각이 듭니까? 이 말씀이 사도행전 9장에 있는 말씀이니까 처음교회가 시작된 지 꽤 시간이 지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 사이에 무슨 일이 있었을까요? 교회는 유대인들로부터 극심한 박해를 받았습니다. 그 중에 사울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이 사람이 극적으로 (dramatically) 회심(回心, conversion)했습니다. 예수 믿는 사람들 사이에 아주 악명이 높았던 사람이 예수님을 믿게 된, 믿을 수 없는 일이 일어난 것입니다. 예수 믿는 사람들도 처음에는 사울의 회심을 믿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바나바 (Barnabas)의 적극적인 추천으로 그의 회심을 인정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교회에 대한 위기적인 상황이 계속되고 있는 중에 사도행전 9:31 말씀이 기록된 것입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유대와 갈릴리와 사마리아에 있는 교회들이 평안을 찾았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교회들이 강하게 세워지고, 성령의 위로가 교회에 넘쳤다는 것입니다. 이런 위기적인 상황을 겪으면서도 교회는 오히려 수가 더 불어났다는 것입니다. 이 말씀을 어떻게 해석해야 합니까? 교회를 하나님께서 운영하고 계신다는 것 아닙니까? 교회가 ‘하나님의 주관 속에 (in God’s control)’ 있다는 것 아닙니까? 처음교회는 인간의 손에, 어떤 강력한 리더십을 가진 사람들의 손에 달려있지 않았습니다.
 
오늘 읽은 말씀 끝에도 이런 말씀이 나옵니다. “사도들을 통해 많은 기적과 표적이 나타났습니다. 그러자 모든 사람들에게 두려운 마음이 생겼습니다.” (43절) 여기서 ‘두려운 마음’이라는 말은 ‘reverential awe (하나님께 대한 경외심)’를 말합니다. 처음교회는 하나님의 주관 속에 있었습니다. 교회는 하나님을 두려워 했고, 교회는 박해 속에서도 평안했으며, 신자들의 숫자는 불어났습니다.
 
둘째로, 우리는 처음교회에서 무슨 일을 했는지 주의 깊게 살펴야 합니다. 그들은 사도들의 가르침을 받았습니다. 그들은 기도했습니다. 그들은 서로 교제했습니다. 어저께 새벽 기도 후에 이런 저런 얘기를 나누다가 제가 내일 설교에서는 말씀과 기도와 교제에 대하여 설교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그랬더니, 그 말을 들은 어느 자매가 “빅 스리 (big three)네요” 라고 말했습니다. 맞습니다. 말씀과 기도와 교제는 교회가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빅 스리’입니다.
제가 요즘에 새벽 기도 잘 나오다가 안 나오는 친구들을 보면 왜 안 나오느냐고, 잘 나오라고 합니다. 그랬더니, 어째 저를 슬슬 피하는 것 같습니다. 목사님으로부터 그런 말을 들으면 많이 부담스럽겠지요. 새벽 기도 전혀 안 나오는 친구들에게는 그런 말 안 합니다. 잘 나오다가 안 나오는 친구들에게 그렇게 말합니다. 그래도 부담스러운 눈치입니다.
 
이 말씀을 한번 보세요. “All the believers devoted themselves to the apostles' teaching, and to fellowship, and to sharing in meals (including the Lord's Supper①), and to prayer.” (42절)/ ①Greek the breaking of bread 사도들로부터 교육을 받고, 교제하고, 음식을 같이 나누고, 기도하는 일을 누가 시켜서 한 것이 아니라 자기들 스스로 했다는 것입니다. ‘devote them-selves to’라는 말이 그런 뜻 아닙니까?
 
처음교회에서 일어났던 이런 일들이 참 경이롭습니다. 놀랍다는 말입니다. 누가 시켜서 한 것이 아니라 자기들 스스로 사도들을 붙잡고 우리를 가르쳐 달라고 부탁한 것입니다. 기도도 누가 시켜서 한 것이 아니라 그들 스스로 기도해야 하겠다고 생각하고 기도한 것입니다. 위에서도 말씀 드렸습니다. 스스로 하는 일에 기쁨이 있다고요. 스스로 하는 일에 열매가 있고 성과가 있다고요. 억지로 하는 일에는 기쁨이 없습니다. 제가 누구에게 새벽 기도에 나오라고 해서 나왔다고 해도 얼마나 화가 나겠습니까? “왜 목사님은 날 가지고 야단이야?” 이런 생각이 들지 않겠습니까? 많은 사람들이 기도하는 일을 힘들다고 생각하지만, 스스로 결정하고 기도하면 힘든 마음을 이길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우리가 처음교회를 보면서 눈 여겨 봐야 할 것은 44-45절 말씀입니다. “믿는 사람들은 다 함께 모여 모든 물건을 공동으로 사용하며 살아갔습니다. 그들은 재산과 모든 소유를 팔아서 필요한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었습니다 (And all the believers met together in one place and shared everything they had. They sold their property and possessions and shared the money with those in need).” 처음교회에서 있었던 일 중에 가장 놀라운 말씀입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요?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왜 이런 일이 처음교회에서는 가능했는데, 지금은 이런 일이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것입니다. 지금 누가 우리도 처음교회로 돌아가서 이렇게 살자고 주장한다면, 그 사람 미쳤다고 할 것입니다. 아무도 그 사람의 말을 따르지 않을 것입니다. 그 사람 이단(異端)이라고, 사이비(似而非)라고 할 것입니다. 제가 기억하기로 한국에서도 이런 시도를 했던 공동체가 있었는데, 독재 정권 시절에 공산주의자로 몰려서 곤욕을 치렀습니다. 그렇지 않았더라도 그런 시도가 오래 가지는 못했을 것입니다. 그 이유는 우리 속에 있는 ‘죄의 성품’ 때문입니다. ‘죄의 성품’이라는 것이 다른 것이 아닙니다. 자기가 가진 것을 자기 자신을 위해서 쓰려고 하는 이기적인 욕망을 말합니다.
 
주님은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너의 보물이 있는 곳에, 너의 마음도 있을 것이다 (For where your treasure is, there your heart will be also).” (마태복음 6:21) 정곡(正鵠)을 찌르는 말씀입니다. 우리의 보물이 우리 속에 있으면 우리의 마음도 그곳에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의 보물이 천국에 있으면 우리 마음도 천국에 있다는 것입니다. 처음교회 신자들의 보물은 자기 자신들에게 있지 않았습니다. 은혜를 받고 나니까 내 속에 있던 보물이 천국에, 하나님께서 기뻐하는 곳에 있게 되었습니다. 오늘 말씀을 보면 처음교회 신자들의 보물은 ‘필요한 사람들 (people in need)’에게 있었습니다. 물론 원래 그런 것은 아니었습니다. 하나님의 은혜를 체험하고 나니까 그런 사람들을 귀하게 형제와 자매로 받아들이게 된 것입니다.
 
보물이 자신에게 있는 사람은 자신에게 후하고 다른 사람에게는 인색합니다. 그러나, 보물이 예수님 말씀대로 천국에 있는 사람은 자신에게 인색하고 하나님의 일에 후하게 됩니다. 우리 주변에 자신에게 후하고 하나님의 일에는 인색한 사람들이 넘쳐납니다. 잠언에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 “흩어 남에게 나누어 주는데도 더 부유해지는 사람이 있고, 인색하게 아끼는데도 가난해지는 사람이 있다 (There is one who scatters, yet increases all the more, And there is one who withholds what is justly due, but [it results] only in want).” (잠언 11:24) 이 말씀의 핵심은 잘 살고 못 사는 것을 결정하는 것은 내가 아니라 하나님이시라는 것입니다. 이것도 ‘in God’s control’ ‘하나님의 주권’에 속한 문제라는 것입니다. 자기 재산과 소유를 팔아서 필요한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는 일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당장에 실천하려고 해도 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것 한가지는 꼭 알아야 합니다. 우리는 ‘우리가 가진 것 (wealth, treasure and resources)’을 올바르고 가치 있는 일에 사용해서, 나의 보물이 천국에 있다는 것을 증명해야 합니다. 이것이 우리가 처음교회로부터 배운 교훈입니다.

6/16/2019 | 성령강림절 후 첫째 주일

나사렛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In The Name Of Jesus Of Nazareth

사도행전 3:1-10

오늘은 ‘성령강림절’ 후 첫 번째 주일입니다. 지난 주일이 ‘성령강림절’이었습니다. ‘마가의 다락방’에 모여 기도하던 제자들에게 주님이 약속하신 성령이 임했습니다. ‘성령강림’이 단순한 해프닝이 아니었습니다. 오래 전부터 하나님께서 요엘 선지자를 통하여 ‘마지막 날’에 그런 일이 있을 것이라고 말씀하신 것이었습니다.

서기 33년 어느 날, 오후 3시쯤이었습니다. 그 시간은 유대인들이 기도하는 시간이었습니다. 사람들은 기도하기 위해 성전으로 올라가고 있었습니다. 성전으로 올라가는 문이 여러 개가 있었지만, 사람들은 ‘아름다운 문 (the beautiful gate)’을 제일 많이 이용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 문 앞에 기도하러 올라가는 사람들에게 구걸을 하는 사람이 앉아 있었습니다. 이 사람은 걷지 못했기 때문에 누군가가 날마다 그 시간에 이 사람을 메고 와서 그 자리에 앉혀 놓았던 것입니다. 마치 물건처럼, 저녁에는 누군가가 이 사람을 메고 가서 어디에 들여 놓았을 것입니다.

기도하러 성전에 올라가는 사람들에게는 아주 익숙한, 아무 것도 새로울 것이 없는 광경이었습니다. 아무 것도 새로울 것이 없는 평범한 것이라도 그 일에 하나님께서 개입하시면 그 평범한 것이 비범한 것이 됩니다. 이것을 ‘하나님의 개입 (God’s intervention)’이라고 합니다. 새로울 것이 없는 ‘평범(平凡)한 (ordinary)’ 우리의 삶이 하나님께서 개입해 들어오시면 ‘비범(非凡)한 (extraordinary)’ 것이 됩니다. 우리의 삶이 하나님의 은혜로 ‘비범한 삶’이 되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하나님께서 내 삶에 개입해 들어오시기를 열심이 기도하고, 열심히 성경을 읽고, 하나님의 은혜를 구하십시오.

베드로와 요한, 두 사람이 그 시간에 기도하기 위하여 성전으로 올라가고 있었습니다. 성전 문 앞에 앉아 있던 이 사람이 손을 벌리며 돈을 좀 달라고 구걸을 했습니다. 베드로와 요한은 그 사람을 눈 여겨 보면서, “우리를 보시오”라고 말했습니다. 이 말씀이 New Living Translation에 “Peter and John looked at him intently, and Peter said ‘Look at us’”라고 나와 있습니다. ‘intently’라는 말은 ‘강렬하게, 뚫어지게, 시선을 고정하고, 주목하여’라는 뜻입니다. 위에서도 말씀 드렸습니다. 왜 그 날 그 시간에 두 사람은 성전 문 앞에 앉아 구걸하는 이 사람을 그런 눈을 바라 봤을까요? 아니, 그보다 나머지 제자들은 그 시간에 어디에 있고, 베드로와 요한 두 사람만 기도하러 왔을까요? 바쁜 일이 있었을 수도 있고, 피치 못한 사정이 있었을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베드로와 요한 두 사람은 그 시간에 기도하려고 성전에 올라가다가 이 사람과 눈이 마주친 것입니다. 우리 눈에는 이 일이 우연처럼 보일 수도 있고, 별 의미 없는 일처럼 보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관점에서 보면 작고 사소한 일 속에서도 하나님은 일하고 계십니다.

 “우리를 보시오!”라는 두 사도의 단호한 말에 이 사람은 “무언가 얻을 것을 기대하면서 두 사람을 쳐다보았습니다 (The lame man looked at them eagerly, expecting some money., 5절)”저는 이 순간이 바로 이 불쌍한 사람의 삶 속에 하나님께서 개입하시는 순간이라고 생각합니다. “은과 금은 내게 없으나, 내게 있는 것을 당신에게 주겠소. 나사렛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일어나 걸으시오.” (6절) “I don't have any silver or gold for you. But I'll give you what I have. In the name of Jesus Christ of Nazareth, get up and walk!” (New Living Translation)

엄청난 일이 일어났습니다. 베드로가 그 사람의 오른손을 잡아 일으켜 세웠습니다. 그 걷지 못하던 사람이 벌떡 일어나 걷기 시작하였습니다. 껑충껑충 뛰면서, 하나님을 찬양하였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두 가지 사실에 주목해야 합니다. 첫째는, 이 기적 속에 하나님의 의도와 목적 (God’s intention and purpose)이 들어 있다는 것입니다. 서기 33년 어느 날 오후 3시에 유대인들이 기도하러 성전에 올라가던 그 때 일어났던 이 기적은 우연히 어쩌다가 일어난 기적이 아니라, 하나님의 계획 속에서 일어난 일이었다는 것입니다.

제가 몇 년 전에 한국을 방문하면서 비행기 안에서 읽을 책을 한 권 가지고 갔습니다. 그 책이 톰 라이트 (Tom Wright)가 쓴 “톰 라이트가 묻고 예수가 답하다 (Simply Jesus)”라는 제목의 책이었습니다. 그 책을 읽으면서 정말 소름이 끼치는 말씀이 있었습니다. 요한복음 5장에, 예수님께서 베데스다 연못에서 38년된 병자를 고쳐 주신 말씀이 있습니다. 톰 라이트가 이렇게 말합니다. “베데스다 연못은 유대인의 성전으로 들어가는 ‘양의 문 (Ths Seep Gate)’ 바로 옆에 있는 문입니다. 베데스다 연못은 성전 바로 앞에 있는 연못입니다. 여기에 병자들이 누워 있었습니다. 예수님은 여기서 38년된 병자를 고치심으로 성전의 무능함을 만천하에 드러내신 것입니다. 성전이 할 수 없고, 바리새인들, 제사장들, 율법학자들이 할 수 없는 일을 내가 할 수 있다고, 버젓이 성전 앞에서, 공개적으로 또 의도적으로 (intentionally) 38년된 병자들 고치신 것입니다.”

사도행전의 기적 역시 ‘아름다운 문’ 앞에서, 바로 성전으로 들어가는 문 앞에서 일어났습니다. 사도들을 통해서 ‘나사렛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일어났습니다. 삽시간에 이 소문이 예루살렘에 퍼졌습니다. 사도들은 이 소문을 듣고 모여 온 예루살렘 주민들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나사렛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과 그 이름을 믿는 믿음으로 말미암이 이 사람이 일어나 걷는 기적이 나타났습니다.” (사도행전 3:16) 이 사람에게 일어난 이 기적은 복음을 전파하는 도구가 되었습니다. 바로 성전 문 앞에서 일어난 이 기적에 대한 소문은, 편협한 유대교에 대한 소문이 아니라, 세상 모든 사람들을 구원하시려고 하시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의 능력에 대한 소문이었습니다.

여러분, 같은 말씀을 성전 문 앞에서 구걸하던 사람의 입장에서 말해 볼까요? 우리가 예수님을 믿는 그 시간부터 우리의 삶의 의미가 달라집니다. 우리의 절망도, 우리의 아픔도, 우리의 불행도 우리가 예수님을 믿는 그 순간부터 의미가 달라집니다. 걷지 못했던 한 불행한 사람의 이야기가 이제 전혀 다른 이야기가 되었습니다. 사도 바울은 이 사실을 이렇게 기록했습니다. “하나님을 사랑하는 사람, 곧 그 이름을 믿는 사람들에게는 모든 것이 합력하여 선을 이룹니다 (And we know that God causes everything to work together for the good of those who love God and are called according to his purpose for them).” (로마서 8:28) 이 말씀은 다른 사람을 위한 말씀이 아니라 지금 나에게 주시는 하나님의 말씀입니다.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나의 불행한 이야기도 전혀 다른 아름다운 이야기가 될 수 있습니다.

둘째로, 이 기적이 처음으로 예수님 없이, 사도들을 통해서 나타났다는 사실입니다. 지금까지 모든 기적은 예수님을 통해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예수님께서 부활하시고 하나님께로 돌아간 후에 처음으로 이 기적이 사도들을 통해서 나타난 것입니다.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너희가 내 이름으로 세상에 나가서) 병든 자를 고치며 죽은 자를 살리며 나병환자를 깨끗하게 하며 귀신을 쫓아내라. 너희가 거저 받았으니 거저 주어라 (마태복음 10:8)”라고 말씀하셨고, 여러 차례 “아버지께서 나를 보내신 것처럼 나도 너희를 세상에 보낸다. 성령을 받으라. 너희가 누구의 죄든지 사하면 사하여질 것이요, 누구의 죄든지 그대로 두면 그대로 있으리라 (요한복음 20:21-23)”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주목해야 하는 것은, 걷지 못하는 이 사람이 일어나 걷게 된 기적이 성령강림절 후에 일어났다는 것입니다.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내가 아버지께로 가면 곧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내가 하는 일을 너희도 할 것이요 또한 그보다 큰 일도 하리라 (요한복음 14:12)”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오직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너희가 권능을 받고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사마리아와 땅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인 되리라 (사도행전 1:8)” 라고 말씀하셨는데, 이 말씀대로 사도들에게 하나님의 능력이 임한 것입니다.
 
이런 말씀을 읽을 때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과연 예수님을 믿는 나에게 이런 능력이 있을까?” 하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이런 능력이 오늘 나에게 있고, 우리에게 있습니다. 다만 이런 능력이 일상생활 속에서 나타나는 것을 경험하지 못할 뿐입니다. 여러분, 성경을 보십시오. 예수님께서 기적을 행하실 때 어느 한 곳에도 예수님께서 개인적인 목적으로 능력을 드러내신 적이 없습니다. 오히려 예수님은 개인적으로 내 속에 있는 능력을 드러내라고 하는 요구를 사탄의 음성이라고 생각하고 경계하셨습니다. 예수님의 가정은 경제적으로 매우 힘들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예수님께서 자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나님의 능력을 사용하시지 않았습니다. 예수님은 오직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는 일에만 하나님이 주신 능력을 사용하셨습니다.

저는 그렇게 믿습니다. 만일 그날 베드로와 요한이 사적(私的)인 목적으로 능력을 드러내려고 했더라면 아무 기적도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 확실합니다. 베드로와 요한은 그 점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은과 금은 내게 없지만, 내게 있는 것은 나사렛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 밖에 없다 (6절)”고 선언하였습니다.

오후 3시에 무심코 기도하러 성전에 올라가던 사람들이 이 광경을 목격했습니다. 예루살렘 사람이라면 늘 기도하러 성전에 올라가면서 봤던 ‘아름다운 문’ 옆에 앉아서 구걸하던 사람이 일어나 걸은 것입니다. 성경에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사람들은) 눈앞에서 벌어진 이 일로 인해 크게 놀라며 이상하게 생각했습니다 (When they realized he was the lame beggar they had seen so often at the Beautiful Gate, they were absolutely astounded!” (10절) ‘astound’라는 말은 놀라움으로 완전히 압도 당했다는 뜻입니다.

삽시간에 사람들은 베드로와 요한 두 사람을 보려고 몰려들었습니다. 이 때 베드로와 요한 두 사람이 이렇게 말합니다. “이스라엘 백성 여러분, 왜 이 일로 놀라십니까? 왜 그런 눈으로 우리를 보고 계십니까? 우리의 능력이나 우리의 경건함 때문에 이 사람이 걸을 수 있게 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 아닙니다. 예수님의 이름을 믿는 믿음 때문에, 여러분이 보고 아는 이 사람이 건강하게 되었습니다. 예수님의 이름과 그분을 믿는 믿음으로 이 사람이 완전한 치료를 받은 것입니다.” (사도행전 3:12, 16)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 “I always pray with joy being confident of this, that He who began a good work in you will carry it on to completion until the day of Christ Jesus (나는 늘 기쁨으로 확신을 가지고 여러분 모두를 위해 기도하고 있습니다. 여러분 안에서 선한 일을 시작하신 그분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오시는 마지막 그 날까지 그 모든 선한 일을 완성하실 것입니다).” (빌립보서 1:6) 하나님께서 우리 안에서 ‘선한 일 (a good work)’을 시작하셨고, 그 선한 일을 위해서 우리를 부르셨습니다. 우리는 이것을 ‘소명 (calling)’이라고 합니다. 빌립보서의 말씀을 잘 보십시오. ‘소명’을 주신 분도 하나님이시고, ‘소명’을 이루시는 분도 하나님이십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능력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을 믿는 믿음과 부르심에 대한 순종입니다. 이런 사람을 하나님은 그의 능력을 드러내는 통로로 사용하십니다. 왜 내 안에 능력이 없다고 단언합니까? 내 안에 ‘착한 일’을 계속해서 이루어 나가시는 하나님의 능력이 있습니다. 필요한 때에 하나님을 우리를 능력의 통로로 사용하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