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교 모음
5/30/2021 | 베드로의 설교
부활절이 지나고(7) After Jesus’ Resurrection
사도행전 2:14-21
예수님의 말씀 중에 “새 술은 새 부대에 넣어야 한다(마태복음 9:17)”는 말씀이 있습니다. ‘새 술’은 발효하는 과정에서 개스가 많이 나오기 때문에 팽창력이 생깁니다. 그래서 ‘새 술’을 신축성이 적은 낡은 부대에 넣으면 ‘새 술’의 팽창력을 감당할 수 없어서 터지고 맙니다. 예수님의 말씀은 비유적인 의미에서 ‘새 술’과 같기 때문에 복음을 듣는 사람들은 ‘새 부대’가 되어야 합니다. 율법주의에 빠져 있거나, 전통에 얽매어 있거나, 편견에 사로잡혀 있거나, 자기 중심적인 사고에 빠져 있는 사람은 낡은 부대와 같은 사람이어서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감당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주님의 말씀을 들을 때마다 열린 마음을 갖도록 해야 합니다.
마가의 다락방에 모인 사람들에게 성령이 임했습니다. 그리고, 그 자리에 모인 사람들이 ‘native languages(난 곳 방언)’을 하게 되는 믿을 수 없는 일들이 벌어졌습니다. 누가는 이 일에 대하여 “성령께서 말하게 하시는 대로(as the Holy Spirit gave them this ability) 자기들의 언어와 다른 외국어로 말하기 시작했다(사도행전 2:4)”라고 기록했습니다. 그리고, 이 현장을 목격한 사람들은 이구동성으로 “보시오! 이 사람들은 모두 갈릴리 사람들이 아닙니까?” “우리는 이 사람들이 하나님께서 행하신 크신 일을 우리 말로 말하는 것을 듣고 있습니다.”(사도행전 2:11) “이게 도대체 어떻게 된 일이지요?” “이 사람들이 새 술에 취한 것 같습니다(They’re drunk on new wine., Christian Standard Bible, 사도행전 2:13)”라고 조롱하는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이 때 베드로를 비롯한 열 한 제자가 일어나 군중들을 향해 큰 소리로 말했습니다. “유대 사람들, 그리고 예루살렘 주민 여러분, 지금 우리에게 일어난 일에 대하여 여러분께 말씀드리겠습니다. 지금은 아침 9시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이 사람들은 여러분이 생각하는 것처럼 술에 취한 것이 아닙니다.”(사도행전 2:14-15) 베드로가 사도들을 대표해서 이렇게 설교를 시작했습니다.
지금부터 우리는 베드로가 무슨 말을 하는지 그 내용을 잘 들어야 합니다. 그런데, 베드로의 설교 내용도 중요하지만, 그 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베드로와 거기 모였던 사람들이 전과 비교해서 확실하게 달라졌다는 것입니다. 베드로는 보기와는 달리 겁이 많은 사람이었습니다. 자기에게 불리한 상황이 되자 예수님을 세 번이나 부인했던 일은 너무나 유명합니다. 그런데, 지금 베드로는 그 때의 베드로가 아닙니다. 두려움이 없는 용기 있는 사람으로 변화되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베드로는 예수님과 관계된 일을 조리 있게 말할 수 있는 사람이 되었습니다. 그는 아까도 말했지만, ‘갈릴리 사람(Galilean)’이었습니다. 이 말은 공부를 못한 무식한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그 당시 개념으로 해석하면, 율법을 모르는 사람들이라는 뜻입니다. 이 말씀을 한번 보시겠습니까? 사도행전 4:13에 있는 말씀입니다. “공의회 의원들은 베드로와 요한이 교육을 받지 못한 평범한 사람인 줄 알고 있었는데, 이렇게 담대하게 말하는 것을 보고 놀랐습니다. 그제서야 비로소 그들은 베드로와 요한이 예수님과 함께 있던 사람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 말씀이 New Living Translation에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The members of the council were amazed when they saw the boldness of Peter and John, for they could see that they were ordinary men with no special training in the Scriptures. They also recognized them as men who had been with Jesus.” 말씀을 잘 읽어야 합니다. 베드로를 위시해서 거기 모였던 사람들이 이렇게 용감한 사람들이 된 것은 단순히 겁이 없는 사람들이 되었다는 것이 아닙니다. 그들이 보여주었던 ‘the boldness(담대함)’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증거하는 일에 두려움이 없는 사람들이 되었다는 뜻입니다.
이 말씀과 함께 생각나는 말씀이 있었습니다. “Your love for one another will prove to the world that you are my disciples.” (요한복음 13:34) “너희가 서로 사랑하면 너희가 내 제자라는 것을 세상에 증명하게 될 것이다” 이런 말씀 아닙니까? 우리가 변화된 삶을 살면 그것이 곧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라는 사실을 세상에 증명하는 것입니다. 세상 사람들은 우리가 얼마나 성경공부를 열심히 하는지, 우리가 얼마나 기도를 많이 하는지, 우리가 얼마나 예배에 열심히 나가는지 모릅니다. 세상 사람들이 보는 것은 우리의 변화된 삶입니다. 세상 사람들은 우리의 변화된 삶을 보면서 “이 사람들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크리스천들이구나!”하고 알게 됩니다.
이제 구체적으로 베드로의 설교 내용을 분석해 볼까요? 첫째로, 베드로는 지금 우리에게 일어난 일은 갑작스러운 일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이미 이런 날이 올 것이라고 예언자 요엘을 통하여 말씀하셨다고 합니다. 베드로는 이렇게 말합니다. “마지막 날에, 내가 내 영을 모든 사람에게 부어 주겠다. 너희의 아들과 딸들은 예언할 것이요, 너희의 젊은이들은 환상을 볼 것이요, 너희의 늙은이들은 꿈을 꿀 것이다. 그 날에 내 남자 종들과 여자 종들에게까지 내 영을 부어 주겠다. 그러면 그들은 예언할 것이다.” 이 말씀은 요엘 2:28-32 말씀을 인용한 것입니다. 요엘(Joel)은 남왕국 유다에서 활동했던 예언자입니다. 요엘이 활동했던 시기를 바빌로니아 포로 시대이후로 보는 학자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전통적으로 요엘이 활동했던 시기를 대략 BC 835-796년경 유다의 8대 왕 요아스가 왕으로 있던 시기로 보고 있습니다. 유다 왕국이 BC 586년에 멸망했으니까 요엘이 활동했던 시대는 나라가 멸망의 징조를 보이고 있던 때라고 보면 됩니다. 베드로는 요엘 선지자가 예언한 대로 지금 우리에게 하나님의 영이 내려서 우리 중에 아들 딸들이 예언하고, 청년들이 환상을 보고, 노인들은 꿈을 꾸고 있다고 말합니다.
청년들을 볼 때 안타까운 것은 청년들이 환상을 보지 못하고 모두 눈 앞에 있는 현실에만 매달려 있는 것입니다. 청년들이 현실만 보고 있다는 말은 이 시대의 미래가 절망적이라는 뜻입니다. 맞습니까? 청년들이 현실에 집착하여 당장에 먹고 사는 문제, 생존의 문제, 직장의 문제에 집착할 수밖에 없는 지금의 현실이 원망스럽습니다. 청년들이 지금보다 더 나은 세상을 바라보고, 지금보다 더 사람 답게 사는 세상에 대한 상상력을 키우게 될 때, 역사는 발전하게 됩니다. 맞습니까? 제가 보기에 상상력을 키우는데 성경보다 더 좋은 책이 없습니다. 성경은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상상력과 환상을 보게 하는 책 아닙니까?
참 신기한 것은 베드로를 비롯한 거기 모인 사람들이 대부분 ‘갈릴리 사람들’이었잖아요? 그런데, 율법을 모르는 베드로가 어떻게 이렇게 자유자재로 요엘서에 나오는 말씀을 인용할 수 있었을까요? 그리고 자기들에게 일어난 일들을 요엘의 예언이 이루어진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었을까요? 예수님께서 하신 말씀이 생각납니다. “그러나 내 아버지께서 나의 이름으로 보내실 진리의 성령이신 보혜사께서 너희에게 모든 것을 가르치시며, 내가 너희에게 말한 모든 것을 생각나게 하실 것이다.” (요한복음 14:26) “내가 지금 너희에게 이 말을 하는 것은, 그 때가 되면 너희로 하여금 내가 너희에게 일러준 말을 생각나게 하려는 것이다.” (요한복음 16:4) 간단히 말해서 성령을 받으면 예수님께서 하신 말씀들이 생각난다는 말씀 아닙니까? 이 말씀은 자신의 삶 속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예수님의 관점에서’ 해석하게 된다는 말입니다. 지금 베드로와 거기 모였던 사람들에게 이런 일들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다음 주 설교에서 말씀드리겠습니다만, 이것이 성령께서 우리 안에서 하시는 일입니다.
둘째로, 베드로는 “누구든지 주의 이름을 부르는 사람들은 모두 구원을 얻는다(But everyone who calls on the name of the LORD will be saved., 사도행전 2:21)”라고 설교했습니다. “주의 이름을 부른다”는 말은 “Call on the name of the Lord”라는 말입니다. 위급할 때, 도움이 필요할 때, 예수님의 이름을 부르는 것을 말합니다. 어쩌면 이 말씀은 많이 들었던 말씀이고, 별 특별한 의미가 없는 평범한 말씀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습니까? 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이 한 구절을 위해서 예수님께서 십자가를 지셨고, 우리의 ‘주님’이 되신 것입니다.
로마서 3:21에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율법 없이도 하나님께로부터 오는 의가 나타났습니다. 이것은 율법과 예언자들도 증언한 것입니다(But now God has shown us a way to be made right with him without keeping the requirements of the law, as was promised in the writings of Moses and the prophets long ago).” 예수님 이전에 우리에게 주어진 구원의 길은 율법의 규정들을 완전하게 지키는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우리 안에 있는 ‘죄성(the sinful nature)’ 때문에 율법의 규정을 모두 지켜 구원을 얻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하나님께서 구원의 다른 길을 열어 주신 것입니다. 이 길이 바로 “누구든지 주의 이름을 부르는 사람들은 누구나 구원을 얻는 길’입니다. 히브리서 저자는 이 길을 ‘A NEW AND LIFE-GIVING WAY(새로운 생명을 얻는 길, 히브리서 10:20)’라고 했습니다. 베드로 역시 다윗의 시편(16:8-11)을 인용하면서 “God has shown us the way of life(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생명의 길을 보여주셨다, 사도행전 2:28)”라고 했습니다. 이것이 복음의 핵심(核心)입니다.
셋째로, 베드로는 “여러분이 십자가에 못박은 이 예수님을 하나님께서는 주와 그리스도가 되게 하셨다(사도행전 2:36)”고 설교했습니다. 그리고, 베드로는 더 직설적으로 이렇게 말합니다. “여러분은 ‘생명의 주님(the author of life)’을 죽였습니다. 하지만 하나님께서는 그분을 죽은 자들 가운데서 살리셨습니다. 우리는 이 일의 증인입니다.”(사도행전 3:15). 저는 이 말씀을 읽다가 본회퍼(Dietrich Bonhoeffer)의 말이 생각났습니다. “Silence in the face of evil is itself evil: God will not hold us guiltless. Not to speak is to speak. Not to act is to act (악의 면전에서 침묵을 지키 것 자체가 악이다. 하나님께서는 그런 사람에게 죄가 없다고 하시지 않을 것이다. 말하지 않는 것 자체가 말하는 것이며, 행동하지 않는 것 자체가 행동하는 것이다).” 베드로는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박은 일에 모두가 동조했던 사람들의 죄를 “너희가 생명의 주를 죽였다”는 말로 신랄하게 지적했습니다.
저는 베드로의 설교를 읽으면서 성령께서 그 시간에 베드로와 함께 하신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다른 말로 하면, 하나님께서 베드로의 설교를 사용하신 것입니다. 그 증거가 37절 말씀입니다. “사람들은 이 말을 듣고 마음이 찔렸습니다. 그래서 베드로와 다른 사도들에게 “우리가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라고 물었습니다.” 이 말씀이 New Living Translation에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Peter's words pierced their hearts, and they said to him and to the other apostles, ‘Brothers, what should we do(베드로의 설교가 그들의 마음을 찔렀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베드로와 다른 사도들에게 ‘형제여,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하고 말했습니다.” “마음이 찔렸다”는 말 대신 “They were deeply troubled(Good News Translation)”라고 번역한 성경도 있고, “They were deeply upset(GODS WORD Translation)”라고 번역한 성경도 있습니다. 이 말은 “그들은 매우 괴로워했다” 또는 “그들은 매우 속이 상했다”라고 번역할 수 있는 말입니다.
여러분은 어떻습니까? 성경을 읽거나, 아니면 설교를 듣는 중에 마음이 상했거나, 마음이 괴로웠거나 혹은 마음이 찔린 때가 있었습니까? 괜찮습니다. 이것은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회개의 마음을 주시려고 하시는 것입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아무렇지도 않은 것이 더 문제입니다. 보세요. 베드로의 설교를 듣고 마음이 상하고, 괴로웠던 사람들이 우리가 어떻게 하면 좋겠느냐고 묻지 않습니까? 베드로는 지체하지 않고 이렇게 말합니다. “회개하고 여러분은 각각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으십시오. 그러면 여러분의 죄는 용서받을 것이며, 성령을 선물로 받게 될 것입니다.” (사도행전 2:38).”
베드로의 말을 듣고 그날 회개하고, 세례를 받고, 죄를 용서받고, 성령을 선물로 받은 사람들이 3,000명이었습니다. 전무후무(前無後無)한 일이었습니다. 이것은 베드로 개인의 능력이 아니라 성령께서 하신 일이었습니다. 그 때 회개했던 사람들이 초대교회의 신자들이 되었습니다. 신자의 삶은 자신의 죄를 회개하는 데서부터 출발합니다. 회개 없이 신자의 삶을 시작하고, 죄를 용서받는 일 없이 신자의 삶을 시작하는 것이 문제입니다. 왜 우리 중에 진실한 신자들이 많이 보이지 않습니까? 왜 우리 중에 크리스천으로서 영향력을 가진 사람들이 많지 않습니까? 바울은 신자에게서 ‘그리스도의 사람이라는 아로마(the aroma of Christ)’가 난다고 했는데(고린도후서 2: 15), 왜 우리 중에 ‘크리스천의 아로마’를 가진 사람들이 많지 않습니까? 회개가 없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은 회개하는 사람들에게 성령을 선물로 주시고, 새로운 삶을 시작할 수 있는 기회를 주십니다. 그리고, 그들과 함께 하나님의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가십니다.
5/23/2021 | 성령강림주일(1)
부활절이 지나고(6) After Jesus’ Resurrection
사도행전 2:1-13
지금 주일마다 ‘부활절이 지나고’라는 시리즈 설교를 하고 있습니다. 저에 관심은 예수님의 부활이 하나의 이벤트로 끝난 것이 아니라, 부활 이후에 성령을 통하여 하나님께서 이 역사에 계속적으로 개입하고 계신다는 것을 여러분과 함께 나누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역사(歷史) 뿐만 아니라 지금 이 시간에도 저와 여러분의 삶 속에 성령을 통하여 개입하고 계십니다.
오늘이 ‘성령강림주일’인데요. 영어로는 ‘펜테코스트 선데이(Pentecost Sunday)’라고 합니다. 또 많이 쓰지는 않지만 ‘휘트선데이(Whitsunday)’라고도 합니다. 예전에는 이 때 흰 옷으로 갈아 입고 세례를 받던 관습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희랍어로 ‘Πεντηκοστή(펜테코스테)'라는 말은 영어로 ‘fiftieth(50번째)’라는 뜻입니다. 예수님께서 부활하신 다음 날부터 계산해서 50일째되는 날을 말합니다. 우연인지 모르지만, 유대교에서는 이 날을 ‘오순절’이라는 명절로 지켜왔습니다. 유월절과 함께 최고로 큰 명절입니다. 유대인들은 이 날을 ‘샤부오트(Shavuot)’라고 해서 모세가 하나님으로부터 율법을 받기 위해 시내산으로 올라간 날로 기억합니다. 또 이 때는 첫 수확한 밀을 가지고 빵을 만들어 하나님께 바치는 날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바로 이 날이 성령께서 강림하신 날이 되었습니다.
오순절이 되면 많은 유대인들이 예루살렘을 방문했습니다. 그 때가 되면 예루살렘은 완전히 축제의 도시가 되었습니다. 오순절 날에 예수님의 제자들은 예루살렘에 있는 한 다락방에 모여 있었습니다. 전통적으로 그 방은 ‘마가의 다락방(Mark’s Upper Room)’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제가 이스라엘 성지 순례 중에 그 방을 가 보았습니다. 120명 정도가 충분히 앉을 수 있는 크기의 방이었습니다. 그 방은 이름 없는 방이었지만, 그 방에서 예수님은 제자들과 마지막 만찬을 하셨습니다. 그리고 그 방에 모인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성령이 내렸습니다. 그리고, 그 방은 믿는 사람들에게 잘 알려진 모임 장소였습니다. 한번은 베드로가 체포된 적이 있었는데, 그 때 신자들은 이 방에 모여 베드로가 석방되기를 위해 기도했습니다. 이 방은 특별한 것이 없는 방이지만, 이 방에서 일어났던 사건의 의미는 뭐라고 말할 수 없을 정도로 가치 있는 것이었습니다.
여러분, 생각해 보세요. 얼마 전까지만 해도 유대인들이 무서워서 문을 잠그고 숨어 있던 제자들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120명이나 되는 사람들이 한 곳에 모여 있다는 것은 보통 용기가 아니면 힘든 일이었습니다. 만일 이 곳을 유대지도자들이 급습을 하거나 로마의 군인들이 급습을 한다면,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이 한번에 완전히 제거되는 것입니다. 이런 위험을 무릅쓰고 11제자들과 예수님을 따르던 사람들이 모두 이 방에 모여있었습니다. 그 이유는 예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셨기 때문입니다. “내 아버지께서 약속하신 것을 너희에게 보낸다. 그러므로 너희는 위에서부터 오는 능력을 입을 때까지 이 성에 머물러라.”(누가복음 24: 49) 하나님의 역사는 늘 이런 사람들을 통해서 일어납니다. 몸을 사리고, 돌다리를 두드려보고 건너는 사람들이 아니라, 온갖 위험과 희생을 무릅쓰고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사람들을 통해서 일어납니다.
사도행전 5:32에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 짧게 지나가는 듯한 말씀이어서 읽는 사람들이 그다지 주목하지 않는 말씀입니다. “우리는 이 일의 증인입니다. 또한 하나님께서 자기에게 복종하는 사람에게 주신 성령 역시 그렇습니다.” 이 말씀이 New Living Translation에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We are witnesses of these things and so is the Holy Spirit, who is given by God to those who obey him.” 우리는 이 일을 목격한 증인들이고, 하나님께서 순종하는 사람들에게 주시는 성령도 이 일의 증인입니다” 이런 뜻 아닙니까?
자기 자신에게 속고 있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내가 교회에 나가니까, 내가 예수님을 믿으니까, 나는 하나님께 순종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렇지 않습니다. 비록 교회를 다니고는 있지만, 교회에 가서 예배를 드리고 설교 말씀을 듣고 있지만, 내 마음 속에 하나님께 불순종하는 것들이 얼마나 많은지 모릅니다. 문제는 하나님께서 그런 사람들에게 성령을 주시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순종하는 사람들에게 성령을 주시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순종하지 않는 사람들은 성령의 은혜가 무엇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갈라디아서 말씀에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 “성령을 따라 사십시오. 그러면 육체의 욕망을 따라 살지 않게 될 것입니다.”(갈라디아서 5:16) 모든 사람들이 성령을 따라 사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욕망을 따라 삽니다. 이 ‘욕망’이라는 말을 New Living Translation에서는 ‘the desires of the sinful nature(죄된 본성이 원하는 것)’라는 말로 번역했습니다. ‘본성’은 우리가 날때부터 타고난 성품입니다. 우리의 본성 중에는 좋은 것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우리의 본성이 원하는 것은 좋지 않은 것들입니다. 그래서 ‘the sinful nature(죄된 본성)’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여러분, 아직도 인간의 죄된 본성이 어떤 것인지 잘 이해하지 못하는 분들을 위해서 성경에 나온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sexual immorality(성적부도덕), impurity(정결하시 않음), lustful pleasures(쾌락), idolatry(우상숭배), sorcery(마술), hostility(적대), quarreling(다툼), jealousy(질투), outbursts of anger(분노), selfish ambition(이기적인 욕망), dissension(편가르기), division(분열), envy(시기), drunkenness(술취함), wild parties(흥청거리는 잔치) 그리고, 그 밖의 이와 같은 죄들이라고 했습니다.
우리 마음 속에 이런 것들이 들어 있습니다. 그런데, 맞잖아요? 우리가 이런 것들이 이끄는대로 살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살면서 어떻게 사람답게 살 수가 있겠습니까? 이렇게 살면서 어떻게 가치있고 보람있는 삶을 살 수 있겠습니까? 이렇게 살면서 어떻게 세상에 유익한 사람이 되겠습니까? 그래서 성경이 네 속에 있는 죄된 욕망을 따라 살지 말고 하나님의 성령이 이끄는대로 살아야 한다고 하는 것입니다.
예루살렘을 떠나지 말고 아버지께서 약속한 것을 받을 때까지, 그리고 위에서부터 오는 능력을 입을 때까지, 이 성을 떠나지 말라는 말씀에 순종해서 120명쯤 되는 사람들이 ‘마가의 다락방’에 모였습니다(사도행전 1:12-15). 그 때 모였던 사람들의 명단에 예수님의 열 한 제자의 이름이 나옵니다. 그리고, 예수님의 어머니 마리아와 예수님의 동생들이 그 자리에 있었다고 하고, 여자들이 그 자리에 있었다고 합니다. 이 사람들은 한 곳에 모여 꾸준히, 한마음으로 기도했습니다(These all with one mind were continually devoting themselves to prayer, 사도행전 1:14).
그 때 모였던 사람들이 뭐라고 기도했을지 한번 생각해 보십시오. “하나님 아버지, 주님이 하신 말씀 대로 저희는 이곳에 모였습니다. 여전히 저희는 두렵고 떨립니다. 주님께서 약속하신 성령을 내려 주십시오. 저희가 두려움 없이 담대하게 복음을 전파하는 사람들이 되게 해 주십시오.” 이렇게 기도하지 않았을까요?
이 기도가 끝나자마자 “갑자기 하늘에서 세찬 바람 소리 같은 것이 나더니, 사람들이 앉아 있던 집안을 가득 채웠습니다. 그리고 혀처럼 생긴 불꽃이 사람들 눈앞에 나타났습니다. 그 불꽃은 여러 갈래로 갈라져 그 곳에 모인 한 사람 한 사람 위에 머물렀습니다. 사람들은 다 성령으로 충만해졌습니다. 그리고는 성령께서 말하게 하시는 대로 자기들의 언어와 다른 외국어로 말하기 시작했습니다.”(사도행전 2:1-4)
누가는 그 자리에 모인 사람들에게 성령께서 임하신 장면을 비교적 상세하게 묘사했습니다. ‘하늘에서’라는 말은 이 모든 현상의 기원이 하나님께 있다는 것입니다. 이 현상은 이 땅에서 우리가 경험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이 자리에 임하신 것입니다. 그리고 ‘세찬 바람 소리’가 났다고 했습니다. 그리스 말로 ‘바람’을 ‘프뉴마(πνεύμα)’라고 합니다. 이 말은 ‘바람’이라는 뜻 외에도 ‘숨(breath)’ 혹은 ‘영(spirit)’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세찬 바람 소리’가 났다는 말은 그 자리에 성령께서 임하셨다는 말입니다.
그리고, ‘혀처럼 생긴 불꽃’이 나타나서 각 사람 위에 머물렀다고 했습니다. 성경에서 ‘불’이라는 말은 ‘능력’을 말할 때도 사용되고, ‘정결(purification)’을 말할 때도 사용됩니다. 모든 불필요한 것을 태워 없애는 것입니다. 여러분, 제자들이 그냥 예수님의 복음을 들고 세상에 나가서 전파하면 될 텐데, 왜 굳이 제자들에게 성령이 임해야 할까요? 사도행전 1:8에 이런 말씀이 나옵니다. “오직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너희가 권능을 받고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사마리아와 땅 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사도행전 1:8) 세상에 나가서 예수님의 증인이 되려면 ‘능력(power)’이 있어야 하는데, 제자들에게 그럴 능력이 없다는 말씀 아닙니까? 그래서 성령의 능력을 받아야 한다는 말씀 아닙니까?
하나님의 목적은 분명합니다. 제자들을 복음을 전파하는 도구로 만드는 것입니다. 영어 단어에 ‘이퀴프(equip)’라는 단어가 있지 않습니까? 하나님께서 보내신 불이 나타나 각 사람 위에 내린 것은 하나님께서 이 사람들을 ‘이퀴프’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일입니다. 하나님께서는 먼저 이 사람들을 정결하게 하셨습니다. 마치 ‘정금(pure gold)’을 얻기 위해서 금 속에 들어 있는 불순물을 태워 제거해야 하듯이, 하나님께서 이 사람들을 먼저 정결하게 하셨습니다.
예수님의 제자 중에 ‘안드레’라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안드레’는 예수님을 만난 후에 자기 형 시몬을 예수님께 데리고 왔습니다. 시몬을 보신 예수님은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네가 요한의 아들 시몬이구나. 앞으로 너는 게바라고 부르게 될 것이다(Your name is Simon, son of John - but you will be called Cephas which means Peter.”(요한복음 1:42) ‘게바(כיפא)’는 아람어로 ‘반석’이라는 뜻입니다. 그리스 말로는 ‘페트로스(Πέτρος)’라고 합니다. ‘요한의 아들 시몬’은 자연인 ‘시몬’을 말합니다. 이 ‘시몬’이 장차 ‘반석’ ‘바위’라는 뜻을 가진 ‘게바’가 된다는 것입니다. 당장에 ‘게바’가 되는 것이 아니라, ‘이퀴프’하시는 하나님의 손을 거치고, 정결하게 하시는 하나님의 손을 거쳐야 그 위에 교회를 세울 수 있는 ‘반석’같은 인물이 됩니다.
중요한 것은 하나님은 지금도 저와 여러분의 삶 속에서 이 일을 하고 계신다는 것입니다. 바닷가에 가면 예쁜 조약돌이 있습니다. 수많은 세월동안 거친 돌들이 파도에 씻기고, 모래에 씻겨서 예쁜 조약돌이 된 것입니다. 우리도 수없이 닳고, 깨지는 과정을 거쳐 마침내 하나님께서 쓰실 수 있는 도구들이 되는 것입니다. 이 모든 과정이 성령이 우리에게 임함으로써 시작됩니다. 그 다음에 나오는 말씀을 보십시오. “모인 사람들은 다 성령으로 충만해졌습니다. 그리고는 성령께서 말하게 하시는 대로 자기들의 언어와 다른 외국어로 말하기 시작했습니다. 예루살렘에는 세계 각 나라에서 온 경건한 유대인들이 머물고 있었습니다. 이 말소리가 나자, 많은 군중들이 모여들었습니다. 그들은 믿는 사람들이 자기네 나라 말로 말하는 것을 듣고는 모두 놀랐습니다.” (사도행전 2:4-6)
이것은 ‘위에서부터’ 일어난 일들이었기 때문에 우리가 이해할 수 없는 말씀입니다. 이 지도를 한번 보십시오. 오순절을 지키기 위하여 예루살렘에 왔던 사람들의 출신 지역을 그린 지도입니다. 성령으로 충만한 제자들에게 전혀 예상하지 않았던 일들이 일어났습니다. 성령을 받은 사람들이 ‘이 지역의 말들(native languages of those regions)’을 한 것입니다. 이것은 역(逆)으로, 이 지역에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이 전파된다는 것을 예고하는 것입니다. 저는 이 말씀을 읽으면서 그런 생각을 했습니다. “하나님께서 급하셨구나!” 지금은 선교사들이 파송되는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공부하고 언어를 공부합니다. 그러나, 그 때는 언어 훈련이 단번에 신속하게 이루어졌습니다. (다음 주일 설교로 계속 됩니다)
5/16/2021 | 승천주일
부활절이 지나고(5) After Jesus’ Resurrection
사도행전 1:1-9
사도행전은 누가복음과 함께 누가가 ‘데오빌로’에게 헌정한 예수님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누가는 2부작으로 예수님에 대한 이야기를 썼는데, 누가복음이 전편이고, 사도행전이 후편입니다. ‘데오빌로’는 우리 말로 ‘각하(The Most Excellent)’라는 말을 붙여야 하는 권력을 가진 사람이었습니다. ‘데오빌로’는 이름으로 보아 누가와 친분이 있는 헬라 사람이었을 것입니다. 그리고, ‘데오빌로’는 고귀한 신분의 사람이었고, 예수님에 대하여 관심이 많은 사람이었을 것입니다.
누가는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40일 동안 제자들과 함께 이 땅에 계시면서 무슨 일을 하셨는지 ‘데오빌로’에게 편지를 썼습니다. 예수님은 여러가지 방법으로(many infallible proofs) 제자들에게 자기가 살아 있다는 것을 보여주셨다고 합니다(3절). 그리고,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하나님의 나라에 대하여 말씀하셨다고 합니다(3절).
저는 이 말씀을 읽으면서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예수님께서 공적인 사역(public ministry)을 하실 때도 제자들에게 하나님의 나라에 대하여 많은 말씀을 하셨습니다. 겨자씨의 비유, 누룩의 비유, 그물의 비유, 씨뿌리는 사람의 비유, 밭에 숨겨진 보물의 비유, 진주의 비유, 달란트의 비유, 열 처녀의 비유 등 수많은 비유로 하나님의 나라에 대하여 말씀하셨습니다. 하지만, 부활하신 주님께서 하나님의 나라에 대하여 말씀하셨을 때, 예수님의 입에서 나오는 말씀의 무게가 달랐을 것입니다. 듣는 제자들에게도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예수님의 말씀이 더 깊이 마음에 들어왔을 것입니다. 제가 어떤 글에서 영어의 talk와 speak가 어떻게 다른가 하는 글을 읽었습니다. 우리 말로는 모두 ‘말하다’로 번역하는데, 그 글에 보니까 talk는 사적인 자리에서 대화한다는 의미로 사용하고, speak는 공적인 자리에서 말한다는 의미로 사용한다고 합니다.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하나님의 나라에 대하여 말씀하셨습니다. 이 말씀이 NIV 성경에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He appeared to them over a period of forty days and spoke about the kingdom of God.”
오늘 본문 말씀은 “예수님께서는 이 말씀을 하신 뒤에 그들이 보는 앞에서 하늘로 올라가셨습니다. 그가 올라가시는 모습은 구름에 가려 보이지 않았습니다(9절)” 이런 말씀으로 끝이 납니다. 여러분, 교회의 절기 중에 ‘Ascension Sunday(승천주일)’가 있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오늘이 바로 예수님께서 승천하신 주일입니다. 지난 13일(목요일)이 ‘승천일’이었고요. 일반적으로 개신교회에서는 ‘승천주일’을 잘 지키지 않습니다. 카톨릭 교회에서는 이 주일을 ‘예수 승천 대축일’로 지키고 있습니다. 독일을 비롯한 많은 유럽의 국가들이 ‘예수 승천일’을 공휴일로 지정하고 있다고 합니다. 북유럽의 국가들은 대부분 ‘예수 승천일’을 공휴일로 지키고 있다고 하는데요. 스웨덴에서는 ‘예수 승천일’이 되면 이른 새벽 3-4시경에 동네 숲을 산책하면서 새의 지저귐을 듣는것이 오랫동안 지켜온 풍습이라고 합니다. 이 새벽 산책을 스웨덴 말로 ‘욕우따(Gökotta)’라고 부른다고 하는데요. 제가 사전을 찾아 봤더니 이렇게 나와 있더라고요. ‘the act of getting up early specifically to go outside and listen to birdsong(밖에 나가 새가 노래하는 것을 듣기 위해서 이른 새벽에 일어나는 행위)’ 이 때가 되면 벌써 백야(白夜)의 시작으로 이미 하늘이 밝아진다고 하는데요. 스웨덴 사람들은 이 때 동서 방향에서 새가 지저귀는 소리가 들리면 좋은 소식이 온다고 하고, 남북방향에서 새소리가 들려오면 안 좋은 소식이 온다고 생각한다고 합니다.
생각해 보니 저도 공식적으로 ‘승천주일’에 대하여 설교하는 것은 오늘이 처음인 것 같습니다. 우리가 고백하는 사도신경에 “하늘에 오르사, 전능하신 하나님 우편에 앉아 계시다가” 이렇게 예수님의 승천에 대한 고백이 나옵니다. 사도신경에 이 고백이 나오는 것은 그만큼 우리 믿음의 선조들이 예수님의 승천을 우리 믿음생활에 중요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받아들였다는 증거입니다.
‘예수님의 승천’이 갖는 중요한 의미는, 이미 사도신경에 나와 있듯이 승천하신 예수님께서 하나님의 우편에 앉으셨다는 것입니다. 이 말은 예수님께서 본래 앉으셨던 자리에 앉으셨다는 것입니다. 예수님은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나는 하늘과 땅의 모든 권세를 받았다(I have been given all authority in heaven and on earth).”(마태복음 28:18) “아버지께서 심판하는 모든 권한을 아들에게 맡기셨다(My father has given the Son absolute authority to judge).”(요한복음 5:22, 27) “썩어 없어지는 음식을 위해 일하지 말고, 영원히 있어서 영생을 주는 음식을 위해 일하여라. 내가 너희에게 그 음식을 줄 것이다. 하나님 아버지께서 내가 이런 일을 행하는 것을 허락하셨다(For God the Father has given me the seal of his approval).”(요한복음 6:27)
참 엄청난 말씀들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이렇게 질문할 수 있습니다. “왜 꼭 예수님을 믿어야 하지요?” “왜 예수님을 믿지 않으면 영원한 생명을 얻을 수 없지요?” 이런 질문에 대하여 예수님은 우리가 왜 예수님을 믿어야 하는지 설득하려고 하지 않으셨습니다. 그대신 이렇게 말씀을 선포하셨습니다. “너희는 영원한 생명을 얻기 위해서 나를 믿어야 한다. 하나님께서 내가 이런 일을 하도록 권한을 주셨기 때문이다(He has given me the seal of his approval).”
지금 제가 드리는 말씀은, 예수님께서 이렇게 어마어마한 권위를 가진 자리에 앉으셨다는 것입니다. 원래 그 자리가 예수님께서 앉으셨던 자리였습니다. 예수님께서 자기 자리에 앉으신 것입니다. 여러분, 중세기에 건축한 오래 된 교회를 방문해 보면 천정 위 반구형의 돔에 그리스도의 모습을 그린 그림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런 그리스도의 모습을 ‘판토크라토르(Pantokrator)’라고 하는데요. ‘전능하신 주’라는 뜻입니다. 복음서에 나오는 예수님은 모습은 아주 서민적인 모습이어서 우리에게 친근감을 줍니다. 오죽하면 예수님을 반대하는 사람들이 예수님을 ‘먹보(a glutton)’라고 비난하고, ‘술꾼(a drunkard)’이라고 비난했을까요(마태복음 11:19, 우리말 성경)? 이런 예수님의 인간적인 모습에 우리는 친근감을 느낍니다. 그런데요. 세상을 다스리는 ‘전능하신 주님’으로 하나님의 우편에 좌정하신 그리스도 앞에서 우리는 깊은 경외감을 느끼게 됩니다. 전능하신 주님이 세상을 다스리신다는 이 말보다 더 안심이 되고 위로가 되는 말씀이 있을까요?
여러분, 이 말씀을 한번 보십시오. “하늘은 주님은 것, 땅도 주님의 것, 세계와 그 안에 가득한 모든 것이 모두 주님께서 기초를 놓으신 것입니다. 자폰산과 아마누스산을 주님이 창조하셨으니, 다볼산과 헤르몬산이 주님의 이름을 크게 찬양합니다. 주님의 팔에 능력이 있으며 주님의 손에는 힘이 있으며, 주님의 오른손은 높이 들렸습니다. 정의와 공정이 주님의 보좌를 받들고, 사랑과 신실이 주님을 시중들며 앞장서 갑니다.” (시편 89:11-14, 새번역)
이 시편을 쓴 사람은 ‘에스라 사람 에단(Ethan the Ezrahite)’이라는 사람입니다. 에단은지혜가 많고, 시와 음악에 재능이 많았던 다윗 시대의 사람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에단은 존재하는 모든 것들의 기초(foundation)를 놓으신 분이 바로 주님이시라고 합니다. 그리고, 주님의 정의와 공정과 사랑과 신실하심(faithfulness)을 찬양합니다. 자폰산과 아마누스산과 다볼산과 헤르몬산은 이방나라에 있는 산들입니다. 이런 산들도 모두 주님이 창조하신 산들이기 때문에 주님께는 성(聖)과 세속(世俗)이 없다고 합니다. 주님은 하나님의 백성들뿐만 아니라 이 세상을 다스리고 계신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바로 이 말씀 속에 예수님의 승천의 의미가 숨겨져 있지 않을까요? 하나님의 우편에 앉으신 예수님은 온 세상을 다스리고 계십니다. 정의와 공정과 사랑과 신실함으로 다스리고 계십니다. 하지만, 당장 우리의 현실을 보면 주님의 다스리심이 잘 안 보일 수도 있습니다. 불의가 판을 치고 있는 것 같이 보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궁극적으로 세상은 주님의 통치하심 속에 있게 될 것입니다. 이것이 기독교 역사관입니다. 이 역사관을 잘 이해하는 사람은 하나님의 다스림 속에서 내가 감당해야 할 책임을 생각합니다. 어떻게 우리가 불의한 일에 가담할 수가 있겠습니까? 주님의 통치하심에 우리가 참여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골로새서에 있는 말씀을 하나 보겠습니다. “그의 능력으로 하늘과 땅에 있는 모든 것과 눈에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과 모든 권세와 지위, 주권, 능력이 생겨났습니다. 이 모든 것이 그리스도에 의해 창조되었으며, 또 그리스도를 위해 창조되었습니다. 그리스도는 모든 것이 생기기 전에 이미 계셨으며, 이 세상 모든 만물이 그분에 의해 유지되고 있습니다.”(골로새서 1:16-17) 우리는 눈에 보이지 않으니까 잘 모를 수 있습니다. 주님이 세상을 유지하고 계십니다. 이 말씀이 Amplified Bible에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In Him all things hold together. [His is the controlling, cohesive force of the universe.]” 주님이 이 세상을 붙들고 계십니다. 주님 때문에 이 세상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주님이 세상을 붙들지 않으시면 이 세상은 벌써 산산조각이 났을 것입니다. 하나님의 보좌 우편에 앉아 계시는 주님은 세상을 붙들고 계십니다. 그래서 세상이 유지되고 있고 저와 여러분의 삶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이것이 주님이 승천하신 이유입니다.
지금 매주 수요일마다 히브리서 말씀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이번 주에 마지막 13장을공부합니다. 히브리서 말씀은 깊이 읽으면 읽을수록 그 말씀의 깊이와 저자의 말씀에 대한 뛰어난 상상력(想像力)에 깜짝 놀라게 됩니다. 보세요. “지금까지 우리가 말한 것의 요점은, 하늘에 계신 하나님의 오른쪽에 앉아 계신 대제사장이 우리와 함께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의 대제사장은 지극히 거룩한 곳인 성소에서 섬기고 계십니다. 그 곳은 사람이 세운 곳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세우신 거룩한 장막이요, 참 성막입니다. 모든 대제사장은 하나님께 예물과 제사를 드리는 일을 맡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의 대제사장도 하나님께 무엇인가를 드려야 했습니다.” (히브리서 8:1-3) 히브리서 저자가 가장 힘써서 말하고 있는 것이 예수님께서 가지고 계시는 ‘대제사장직’입니다. ‘대제사장’은 유대교의 제사 제도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는 사람입니다. ‘대제사장’은 일년에 한번씩 회중을 위한 제물의 피를 가지고 지성소에 들어가서 백성들을 위해 속죄 제사를 드렸습니다. 히브리서 저자의 말입니다. “그렇다면, 우리의 대제사장이신 예수님은 무슨 일을 하시는가? 예수님은 하나님께서 세우신 참 성막에 들어가서 우리를 위해 무엇인가 하나님께 드리는 일을 하고 계십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this One also have something to offer. NKJV).”
엄청난 말씀입니다. 지금 히브리서 저자는 독자들에게 눈에 보이지 않는 영적 세계의 그림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하나님의 보좌 우편에 앉아계시는 예수님은 대제사장으로서 하늘에 있는 하나님께서 세우신 ‘the true tabernacle which the Lord erected, and not man (인간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세우신 참 성막)’에서 우리를 위해 하나님께 뭔가 제물을 드리고 계신다고 합니다. 그 제물이 무엇일까요? 바울은 그 제물에 대하여 이렇게 말했습니다. “그분은 죽으셨을 뿐만 아니라, 다시 살아나 하나님의 오른편에 앉아 계시면서 우리를 위해 중보 기도를 하고 계십니다.” (로마서 8:34) 예수님은 지금 우리를 위하여 중보기도의 제물을 계속 하나님께 드리고 계시다고 합니다. 주님의 중보기도 덕분에 이 세상이 유지되고 있다는 생각이 들지 않습니까? 이 사실을 아는 사람들은 주님의 사역에 동참해서 의와 공정과 사랑과 신실하심이 이루어지는 세상이 되기를 기도해야 합니다. 주님의 중보기도에 참여하여 주님과 함께 세상을 붙드는 기도를 해야 합니다. 주님이 이 중보기도를 중단하지 않으시도록 기도해야 합니다.
코로나 시대가 이제 끝이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도에서는 하루에 30만명 이상의 감염자가 나오고 있습니다. 갠지스 강에 수 백구의 시체가 떠다닌다는 뉴스를 읽고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왜 미국 같은 나라는 백신을 구하지 못하는 가난한 나라들을 도와주지 않을까요? 사람의 생명을 놓고도 정치적인 유불리를 따지고 있나요? 그러면서 미국이 인권을 말할 수 있고, 정의를 말할 수 있을까요? 정의와 공정과 사랑과 신실한 세상을 위해서 중보기도 하시는 주님의 기도가 어서 속히 이루어지도록, 우리도 주님의 일에 참여해야 합니다. ‘예수님의 승천주일’에 주님이 주시는 메시지입니다.
5/9/2021 | 어버이주일/졸업예배
진리를 위해 몸 바치는 사람들 Those Who Devote Themselves To The Truth
요한복음 17:13-19
오늘은 어버이주일과 졸업예배를 함께 드리는 날입니다. 올해 우리교회 졸업생은 모두 28명입니다. 박사 5명, 석사 6명, 학사 16명, 고등학교 졸업이 1명입니다. 예전에는 졸업생들에게 ‘형설(螢雪)의 공(功)’을 쌓았다고 칭찬했습니다. ‘형’은 반딧불이라는 뜻이고, ‘설’은 눈이라는 뜻입니다. 예전에는 가난한 사람들은 여름이 되면 ‘반딧불이’를 잡아서 얇은 손수건이나 천에 싸서 희미하게 비치는 불빛으로 책을 읽고, 겨울에 눈이 온 날에는 방문을 열고 희미한 눈빛으로 책을 읽었습니다. 지금은 어려운 여건 속에서 좌절하지 않고 열심히 공부하여 성공한 사람들을 칭찬하는 말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올해 졸업하신 분들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부모를 떠나고 집을 떠나 이곳 보스턴에서 때로는 어렵고, 힘들고, 외로웠을 텐데, 이 어려움을 잘 이기고 졸업하게 되었습니다. 먼저는 오늘이 있게 하신 하나님께 감사드리고, 부모님께 감사드리시기 바랍니다. 우리 한국 부모님들의 자식 사랑은 유별나잖아요? 자식을 위해서 모든 것을 바치고 희생합니다. 부모님을 생각할 때마다 생각나는 시가 있습니다. 러디어드 키플링(Rudyard Kipling, 1865–1936, 영국)이 쓴 ‘O Mother O’ Mine(오 나의 어머니)’이라는 시입니다. 키플링은 1907년에 노벨 문학상을 받은 시인이며 소설가입니다. 그가 쓴 단편 소설 중에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는 ‘정글북’이 있습니다. 키플링은 어머니의 사랑과 눈물과 기도를 찬양했습니다. “I know whose love would follow me still(나는 누구의 사랑이 나를 따라올지 압니다).” “I know whose tears would come down to me(나는 누구의 눈물이 나에게 흘러올지 압니다).” “I know whose prayers would make me whole(나는 누구의 기도가 나를 구원할 지 압니다).”
여러분도 그렇지만 저도 부모님의 사랑과 눈물과 기도 덕분에 지금까지 살 수 있었습니다. 혼자 서재에 앉아 있을 때 문득 부모님 생각이 납니다. 제 서재에 몇 장의 부모님 사진이 있습니다. 부모님이 비교적 젊으셨을 때 저와 함께 찍은 사진들입니다. 제가 한국 방문했을 때 같이 사진을 찍자고 말씀드렸더니 그렇게 좋아하시더라고요. 바로 그 사진들입니다. 지금은 두 분 모두 돌아가셨습니다.
혹시 여러분, 이런 말을 들어보셨습니까? 한자 말인데요. 공자의 논어 중 한시외전(韓詩外傳) 9권에 나오는 말입니다. “樹欲靜而風不止 子欲養而親不待(수욕정이풍부지 자욕양이친부대)”라는 말입니다. 번역하면 “나무는 고요히 있고자 하지만 바람이 멈추지 않고, 자식은 부모에게 효도를 하고자 하지만 부모는 기다려 주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공자가 자기 뜻을 펴기 위하여 제자들과 함께 천하를 떠돌고 있을 때였습니다. 어느 날, 어디선가 슬피 우는 소리가 들려왔습니다. 그래서 그 소리를 따라가 봤더니, 皐魚(고어)라는 사람이 그렇게 슬피 울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 이유를 물었더니, 고어가 이렇게 대답했다고 합니다. “저에게는 세가지 한(恨)이 되는 일이 있습니다. 첫째는 공부를 한답시고 집을 떠났다가 고향에 돌아가보니 부모는 이미 세상을 떠나셨습니다. 거기서 “수욕정이풍부지 자욕양이친부대”라는 말이 나왔습니다. 둘째는, 저의 경륜을 알아주는 군주를 어디에서도 만나지 못한 것입니다. 셋째는 서로 속마음을 터놓고 지내던 친구와 사이가 멀어진 것입니다.” 고어의 말이 끝나자 공자는 자기 제자들에게 “이 말을 명심해 두어라. 가이 훈계로 삼을 만하지 않은가!” 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이날 충격을 받은 공자의 제자 중 열 세명이 부모를 섬기기 위해 고향으로 돌아갔다고 합니다.
모든 부모들의 한결 같은 소망은 자식들이 건강하고, 경제적으로 힘들지 않게 살고, 세상에서 성공하는 것입니다. 한마디로 부모들이 바라는 것은 자식들이 잘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런 부모들의 소망을 ‘거룩한 소망’으로 승화(昇華)시켜야 합니다. 특히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크리스천으로서 무엇이 잘 사는 것인지, 어떻게 살아야 성공적인 삶을 사는 것인지, 심각하게 생각해야 합니다.
예수님께서 자기 제자들에게 그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너희는 무엇을 먹을까 무엇을 마실까 무엇을 입을까 염려하지 말고, 먼저 그의 나라와 의를 구하여라.”(마태복음 6:33) 예수님은 이 말씀을 통해서 너희는 다른 사람보다 더 많이 가지고 소유하는 것으로 만족하는 삶을 살지 말고, 하나님의 자녀로 살아가는데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알고 그것을 구하는 사람들이 되라고 말씀하신 것입니다.
오늘 요한복음 17장 본문 말씀은 예수님께서 세상을 떠나시기 전에 세상에 남아 있는 제자들을 위해 기도하신 것입니다. 예수님은 자기 제자들이 이 세상을 살면서 내가 누리던 기쁨을 누리게 해 달라고 기도하셨습니다(13절). 또 예수님은 자기 제자들을 악한 세력으로부터 지켜 주시기를 위해서 기도하셨습니다(15절). 그리고 예수님은 자기 제자들이 진리를 위해 몸을 바치는 사람들이 되게 해 달라고 기도하셨습니다(17, 19절). 우리가 예수님의 제자로서 기쁨을 가지고 사는 것은 중요합니다. 그리스도의 제자가 갖는 마크(표시) 중의 하나가 기쁨입니다. 어떤 상황 속에서도 그리스도의 제자들은 기쁨을 잃어버리지 않습니다(데살로니카전서 5:16). 또 그리스도의 제자들이 악한 세력으로부터 공격을 받을 때 하나님의 보호를 받는 일, 물론 중요합니다. 하지만, 그리스도의 제자들이 진리를 위해 몸을 바치는 것은 다른 어떤 것보다 중요합니다.
오늘 졸업하는 여러분들에게 바라는 것은 예수님의 제자로서 진리를 위해 몸을 바치는 사람들이 되라는 것입니다. 저는 미국 뉴스에도 관심이 있지만 한국 뉴스에도 관심이 많습니다. 그 뉴스를 볼 때마다 늘 안타까운 것이 “진실한 사람이 없구나!” 하는 것입니다. 무슨 위치에 적합한 사람을 찾지만 올바른 사람이 없습니다. 모두가 범죄투성이입니다. 크리스천과 넌크리스천을 막론하고 올바른 사람이 없습니다. 지금은 과거보다 개인의 비리를 찾는 기술이 발달했기 때문에 그렇기도 하지만, 정말 온전한 사람을 찾기가 어려운 것 같습니다.
주님은 우리를 향하여 “진리를 위해 몸을 바치는 사람들이 되라!”고 말씀하십니다. 예수님은 우리가 진리를 위해 몸을 바치는 삶을 살게 하려고 자기 몸을 제물로 바쳤다고 말씀하십니다(19절). “I give myself as a holy sacrifice for them so they can be made holy by your truth.” 이 말씀이 그런 뜻 아닙니까? 예수님은 왜 십자가 위에서 자신을 제물로 드렸습니까? 우리를 진리를 위해 사는 사람들이 되게 하려고 그런 것입니다. 그러니까 여러분, 한번 생각해 보세요. 자기에게 이익이 된다고 선뜻 불의한 일에 가담하는 사람들, 예수님은 그런 사람들을 위해 죽지 않으셨습니다.
히브리서 11:16에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 “그래서 하나님께서는 저들의 하나님이라고 불리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으시고(That is why God is not ashamed to be called their God)” 우리가 믿는 하나님은 인격적인 하나님이십니다. 여러분과 제가 가지고 있는 ‘personality’를 하나님도 가지고 계십니다. 적어도 우리가 하나님을 부를 때 하나님께서 우리의 하나님이라고 불리는 것을 기뻐하시는 사람들이 되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진리를 위해 살기 위해서는 먼저 무엇이 진리인지 진리를 분별할 수 있는 기준이 있어야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자기 자신을 기준으로 삼고 있습니다. 이런 사람들은 자기가 매우 진실하고 깨끗하게 살고 있는 것으로 착각합니다. 아닙니다. 우리 자신은 진리의 기준이 될 수 없습니다. 여러분, 성경에 이런 말씀이 있는 것을 아세요? “The heart is more deceitful than all else And is desperately sick; Who can understand it? I, the LORD, search the heart, I test the mind, Even to give to each man according to his way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his deeds.” (예레미야 17:9-10) 사람의 마음은 세상 어떤 것보다 타락해서 고칠 수 없는 중병에 들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아무도 그 마음이 그렇게 타락한 것을 모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우리 마음과 생각을 모두 살피십니다. 그리고, 우리가 행한대로, 우리를 심판하십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말씀이 진리를 기준이 되어야 합니다. 최근에 청년부 성경공부에서 성경이 ‘정경화(canonization)’ 되는 역사에 대해서 공부했습니다. 예수님에 대해 기록된 많은 문서들을 추려서 지금 우리가 가지고 있는 성경을 만들게 된 과정을 ‘정경화’ 과정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정경(canon)’이라는 말에는 ‘기준(standard)’ ‘근본적인 원칙(a fundamental rule)’ ‘교회의 룰(an ecclesiastical rule)’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가 가지고 있는 성경은 크리스천의 삶의 기준이 됩니다. 우리는 옳고 그른 것을 성경의 기준을 가지고 판단합니다. 내 생각도 아니고, 내 양심도 아닙니다.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이 우리의 삶의 기준이 됩니다. 크리스천들의 신앙고백 가운데 이런 고백이 있습니다. “우리는 구약과 신약에 있는 하나님의 말씀이 신앙과 실행의 충분한 표준이 됨을 믿습니다.”
또 성경에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 “그대는 어려서부터 성경을 알았는데, 이 성경은 그대를 지혜롭게 하여 그리스도 예수를 믿는 믿음을 통해 구원을 얻게 하였습니다. 모든 성경 말씀은 하나님께서 감동을 주셔서 기록되었기 때문에 진리를 가르쳐 주며, 삶 가운데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알게 해 줍니다. 또한 그 잘못을 바르게 잡아 주고 의롭게 사는 법을 가르쳐 줍니다. 말씀을 통해 하나님을 바르게 섬기는 자로 준비하게 되고, 모든 좋은 일을 할 수 있는 사람으로 자라게 됩니다.” (디모데후서 3:15-17) 진리를 위해 산다는 말이 무슨 말이냐고 묻는 사람들에게, 어떻게 해야 진리를 위해 몸을 바칠 수 있느냐고 묻는 사람들에게 꼭 필요한 말씀 아닙니까? 이 말씀은 바울이 제자 디모데에게 개인적으로 쓴 편지입니다. 바울 역시 디모데가 시대 조류에 휩싸이지 않고 진리를 위해 헌신하는 사람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이 편지를 쓴 것입니다. 성경은 우리에게 진리를 가르쳐 준다고 하지 않습니까? 성경은 우리에게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가르쳐 준다고 하지 않습니까?
이기적이고, 속이는 사람들은 주변에 차고 넘칩니다. 회사에도, 비즈니스 현장에도 그런 사람들은 차고 넘칩니다. 그런데, 진실한 사람은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에이브러햄 링컨(Abraham Lincoln, 1809-1865)이 왜 남북전쟁(American Civil War, 1861-1865)을 했습니까? 링컨도 다른 대통령들처럼 무난하게 대통령을 마치고 평범한 일상생활로 돌아갈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왜 그는 노예해방을 추진하게 되었을까요? 그는 가난했기 때문에 정규 교육은 받을 수 없었지만, 어렸을 때 어머니로부터 배운 대로 모든 인간은 하나님 앞에서 평등하다는 성경 말씀이 그의 삶의 기준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런 링컨의 마음에 노예해방에 대한 신념을 심어준 책이 하나 있었다고 합니다. 그 책은 스토우(Harriet Beecher Stowe, 1811-1896) 부인이 쓴 ‘톰 아저씨의 오두막(Uncle Tom’s Cabin, 1852)’이라는 책이었습니다. 진리를 위해 몸을 바치는 사람들은 외롭고 힘든 삶을 삽니다. 하지만, 이런 사람들이 세상을 바꿉니다.
디트리히 본회퍼(Dietrich Bonhoeffer, 1906-1945, 독일) 목사는 이런 말을 했습니다. “Silence in the face of evil is itself evil: God will not hold us guiltless. Not to speak is to speak. Not to act is to act(악 앞에서 침묵하는 것 자체가 악입니다. 하나님은 그런 우리를 죄가 없다고 하지 않을 것입니다. 말하지 않는 것도 말하는 것입니다. 행동하지 않는 것도 행동하는 것입니다).” 진리가 위협을 당할 때 아무 말도 하지 않고 침묵하고, 진실이 왜곡되는 상황을 보면서도 침묵하는 것은 진리를 위해 사는 삶이 아닙니다. 강도를 만나 죽어가는 사람 곁을 지나가면서도 자기 일이 아니니까 그냥 지나가는 이기적인 사람들이 얼마나 많습니까? 이런 사람들은 그리스도의 제자들이 아닙니다. 그런 때는 말해야 합니다. 행동해야 합니다. 기도해야 합니다. 그런 때 최소한 괴로워할 줄 알아야 합니다. 여러분 때문에 이 세상이 더 좋은 세상으로 바뀌어야 합니다. 그것이 자식들이 잘 되기를 바라고, 잘 살기를 바라는 부모에게 효도하는 길입니다.
5/2/2021 |
부활절이 지나고(4) After Jesus’ Resurrection
누가복음 24:28-35
오늘 말씀은 유명한 ‘엠마오로 가는 두 나그네’ 이야기입니다. 누가는 이 이야기를 통해서 예수님의 부활이 분명한 사실이었다는 것을 다시 한번 독자들에게 말하고 있습니다. 정말 그렇습니다. 부활하신 예수님은 막달라에게 보이셨고, 여자들에게 보이셨고, 게바에게 보이셨고, 열 두 제자에게 보이셨고, ‘오 백명이나 되는 사람들’에게 보이셨고, 바울에게 보이셨습니다(고린도전서 15:4-8). 바울은 이 말씀을 하면서 사도 중에서 가장 작은 사람, 하나님의 교회를 박해했던 사람, 나 같은 사람에게도 나타내 보이셨다고 감격합니다. 아마도 이런 감격이 바울로 하여금 사도로서 책임과 사명을 감당할 수 있게 한 힘이 아니었나 생각합니다.
그리고, 또 한가지 우리가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예수님의 부활이 처음부터 하나님의 구원의 계획 속에서 예정된 것이었다는 사실입니다. 바울은 이 사실을 ‘성경에 기록된 대로(just as the Scriptures said)’ 혹은 ‘성경 대로’라는 말로 표현했습니다. 복음서와 바울 서신에 수차례 이 말이 등장합니다.
하바드 법대를 창립한 사람 중에 한 사람인 사이몬 그린리프(Simon Greenleaf, 1783- 1853, 미국, lawyer and jurist)라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 사람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지 않는 사람이었지만, 나중에는 강력한 기독교 변증론자(Christian Apologist)가 되었습니다. 그가 이렇게 말했습니다. “A person who rejects Christ may choose to say that I do not accept it, he may not choose to say there is not enough evidence(어떤 사람이 그리스도를 거절한다면 그것은 그 사람이 그리스도를 받아들이지 않기로 한 것입니다. 결코 충분한 증거가 없기 때문에 거절한 것은 아닙니다).” “Either the men of Galilee were men of superlative wisdom, and extensive knowledge and experience, and of deeper skill in the arts of deception than any and all others, before them or after them, or they have truly stated astonishing things which they saw and heard(갈릴리 사람들은 다른 모든 사람들보다 최고의 지혜와 지식과 경험, 그리고 속임수의 전문가들이거나 아니면 그들이 보고 들은 놀라운 것들을 정직하게 진술한 사람들입니다).”
이제 ‘엠마오’로 가던 두 사람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이 두 사람은 예수님의 제자들이었습니다. 물론 12제자 중에 속했던 사람들은 아니지만, 바로 며칠 전까지 예수님을 따랐던 사람들이었습니다. 두 사람 중에 한 사람의 이름은 글로바(Cleopas)였습니다. 다른 한 사람은 누구인지 알 수 없습니다. 이 두 사람의 얼굴에는 ‘슬픈 기색(17절)’이 역력했습니다. 이 두 사람은 서로 이야기를 주고받으면서 터벅터벅 ‘엠마오’가 가고 있었습니다. ‘엠마오’는 예루살렘에서 약 11km 떨어진 작은 마을입니다. 걸어서 3시간이면 갈 수 있는 거리에 있습니다. 아마도 두 사람의 고향이 ‘엠마오’였을 것입니다.
그런데 언제부터인지 예수님께서 이 두 사람과 함께 길을 걸으셨습니다. 하지만, 두 사람은 예수님을 전혀 알아보지 못했습니다. 누가는 그의 복음서에 “이 두 사람의 눈이 가리워서 예수님을 알아보지 못했다(16절)”라고 썼습니다. 지난 주 설교에서 제가 이런 말씀을 드렸습니다. 우리의 슬픔과 절망이 예수님을 알아보지 못하게 한다고요. 하지만, New Living Translation에는 “But God kept them from recognizing him(하나님께서 그들의 눈을 가리워서 예수님을 알아보지 못했다)”라고 나와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두 사람이 보다 극적으로(dramatically) 부활하신 주님을 만나도록 해서 이 두 사람을 부활의 증인으로 사용하고자 하시는 하나님의 의도가 들어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여러분, 이 그림을 한번 보십시오. 이 그림은 귀스타브 도레(Gustave Doré, 1832-1883)가 그린 ‘The Walk to Emmaus(엠마오로 가는 길)’라는 제목의 그림(목판화)입니다. 저 멀리 그들의 목적지인 엠마오가 보입니다. 예수님은 뭔가 열심히 말씀을 하시고, 두 제자가 예수님의 말씀을 경청하는 장면입니다. 해는 뉘엿뉘엿 저물어 가고 있습니다. 세 사람의 뒤로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는 것이 쓸쓸한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습니다. 귀스타브 도레는 정규 교육은 받지 못했지만, 어렸을 때부터 그림에 천재적인 소질을 보였다고 합니다. 도레는 15살 때 이미 출판사와 계약을 맺고 책에 삽화를 그리는 일을 했다고 합니다. 그가 한창 유명했을 때는, 웬만큼 사는 집에서는 모두 귀스타브 도레의 그림을 하나씩 집에 걸어 놓았다고 합니다. 고흐나 피카소 같은 화가들도 귀스타브 도레의 그림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를 정작 유명하게 만든 것은 241점의 삽화를 그려 넣어 만든 ‘귀스타브 도레의 판화성경’이었습니다. 영화 ‘십계(1962)’의 제작자는 도레의 그림를 참고했다는 일화가 있을 정도로 도레의 판화 성경은 유명했습니다.
예루살렘을 떠나 자기들의 고향 엠마오로 가는 두 제자의 모습을 보면서, 헨리크 샌케비치 (Henryk Sienkiewicz, 1846-1916, 폴란드)가 쓴 ‘쿼바디스 (Quovadis)’라는 소설이 생각났습니다. 샌케비치는 이 책으로 노벨 문학상을 받았습니다. 이 책은 1951년에 영화로 만들어졌는데, 다시 2001년에 ‘쿼바디스 도미네 (Quo Vadis Domine)’라는 이름으로 리메이크 되어 나왔습니다. 이 영화의 가장 감동적인 장면은 박해를 피해 로마를 떠나는 베드로가 십자가를 지고 로마로 들어가는 예수님을 만나는 장면입니다. 그 때 당황한 베드로가 묻습니다. “주님, 어디로 가십니까?” 그 때 예수님이 이렇게 대답합니다. “나는 네가 내 양을 버리고 온 로마로 가서 다시 십자가에 못박히려고 한다.” 이 말에 충격을 받은 베드로는 다시 가던 길을 돌이켜 로마로 들어갑니다. 그리고, 그는 로마에서 순교합니다. 성경에는 없는, 외경(外經, Apocrypha) ‘베드로행전’에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왜 이 두 제자는 예루살렘을 떠나 고향 엠마오로 가고 있었을까요? 이 두 제자에게 예수님은 ‘행동과 말씀에 능력이 있는 하나님이 보낸 예언자’였습니다. 두 사람은 예수님께서 이스라엘을 구원할 메시아라고 믿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런 기대와 꿈이 산산조각이 난 것입니다. 그러니, 더 이상 예루살렘에 머물 이유가 없었습니다. 어찌 예루살렘을 떠난 제자들이 이 두 사람뿐이겠습니까? 예수님의 죽음으로 절망한 다른 제자들도 예루살렘을 떠나 자기들의 고향으로 돌아가고 있었을 것입니다. 이 두 제자들도 부활하신 예수님을 보았다는 여자들의 말을 들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 말을 믿지 않고, 모든 것을 체념한 채 고향으로 내려가고 있었던 것입니다.
두 사람과 함께 동행하시던 예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참 답답하십니다. 어찌 두 분은 예언자들의 글을 믿지 않으십니까? 예언자들의 글에 그리스도가 고난을 받고 그의 영광에 들어가야 한다고 나와 있지 않습니까?” (25-26절) 예수님은 두 사람에게 모세로부터 시작하여 모든 예언자들을 들어 가면서 예수님에 관한 성경 말씀을 설명해 주셨습니다. 귀스타브 도레의 그림은 바로 이 장면을 포착해서 그린 것입니다.
이미 날이 많이 저물었습니다. 두 사람의 권유로 예수님은 인근 여관에 이들과 같이 묵게 됩니다. 그리고, 함께 저녁 식사를 하게 되었습니다. 예수님은 식사 자리에서 빵을 들고 감사 기도를 하신 후, 제자들에게 나누어 주셨습니다. 그 모습은 마지막 만찬 자리에서 예수님께서 하셨던 것과 똑 같은 모습이었습니다. 그때 두 사람의 눈이 밝아져서 그분이 예수님이신 것을 알아보았습니다. 그런데, 그 순간 예수님은 그들의 시야에서 사라졌습니다. New Living Translation에 보면 이 말씀이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Suddenly, their eyes were opened, and they recognized him. And at that moment he disappeared!” (31절)
이 그림을 한번 보세요. 렘브란트(Rembrandt, 1606-1669, 네델란드)가 그린 ‘The Supper at Emmaus(엠마오에서의 저녁 식사)’라는 그림입니다. 렘브란트의 그림이 늘 그렇듯이 이 그림에서도 빛과 어두움을 적절하게 사용하여 독자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여관 주인으로 보이는 부부가 식탁에 잔을 내려 놓고 있는 것을 보아 본격적으로 식사가 시작되기 전인 것 같습니다. 예수님은 손에 빵을 쥐고 빵을 떼고 있습니다. 그리고 예수님의 얼굴 반쪽은 빛으로, 반쪽은 그늘져 있습니다. 앞에 앉아 떡을 떼시는 분이 점점 예수님으로 인식이 되고 있는 바로 그 순간인 것 같습니다. 왼쪽 어둠 속에 앉아 있는 제자는 뒷모습만 보입니다. 나머지 한 제자는 예수님의 얼굴을 보고 흠칫 놀라면서 뒤로 물러나는 듯한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이 식탁에서 부활하신 예수님을 발견한 경험이 두 제자의 삶의 방향을 바꾸어 놓았습니다. 두 사람의 고향이 바로 코 앞인데, 두 사람은 그 밤으로 예루살렘으로 달려갔습니다. 이 말씀이 New Living Translation에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And within the hour they were on their way back to Jerusalem.” (33절) 한 시간이 못되어 그들은 다시 예루살렘으로 돌아가고 있었던 것입니다. 두 사람이 서로 얘기를 주고받습니다. “길에서 예수님께서 성경을 풀어주실 때에 마음이 뜨거워지는 것을 느끼지 않았습니까?”(32절) 슬픔과 절망으로 상처투성이가 된 두 사람을 예수님께서 말씀으로 만져 주시고, 깨닫게 해 주시고, 치유하여 주셨던 것입니다.
빌 게이더(William James Gaither)라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 분은 본래 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치는 교사였는데요. 작사, 작곡에 재능이 있는 분이었습니다. 이 분이 주님을 영접한 후에 영어 교사를 그만두고 찬양 사역자가 되었습니다. 놀랍게도 모두 6번(1973, 1975, 1991, 1999, 2001, 2008)의 Grammy Award를 받습니다. 전설적인 인물입니다. 그가 쓴 대표 곡 중에 우리가 많이 부르는 ‘살아 계신 주(Because He Lives)’가 있습니다. 이 곡 외에도 800여곡 이상의 찬양곡을 썼는데요. 그 중에 1964년에 쓴 ‘He Touched Me(그가 나를 만지셨네)’라는 찬양 곡이 있습니다. 엘비스 프레슬리(Elvis Presley)가 이 곡을 부르면서 이 곡은 대중들에게 유명하게 되었습니다. 엘비스 프레슬리는 이 곡으로 1972년에 Grammy Award Artist 상을 받습니다. 엘비스 프레슬리는 한 때 교회에서 찬양대원으로 섬겼다고 합니다. 빌 게이더가 이런 고백을 했습니다. “당신의 꿈이 산산조각 났을 때, 희망이 다 사라졌을 때, 아무 데도 갈 곳 없을 때, 당신은 어떻게 하겠습니까? 그때에는 언제나 변함없이 당신을 사랑하시는 분께 달려가십시오. 하나님의 계획은 나의 계획보다 더 크고 위대하십니다!”
험한 나그네 세상 길 나의 맘이 곤할 때/사랑스런 주의 손길 오 나의 맘을 두드리네
주 붙드네 오 날 붙드네 넘치는 기쁨 내 맘에/근심 걱정 나 없겠네 날 언제나 붙드네
(Oh, He touched me He touched me And all the joy that floods my soul
Something happened and now I know He touched me and made me whole)
험한 나그네 세상 길 나의 맘이 곤할 때/사랑스런 주의 손길 오 나의 맘을 두드리네
주 붙드네 오 날 붙드네 넘치는 기쁨 내 맘에/근심 걱정 나 없겠네 날 언제나 붙드네
여러분, 오늘 말씀의 메시지는 예수님께서 슬픔과 절망 중에 있는 제자들에게 찾아오셔서 그들을 만나주시고, 그들의 삶의 방향을 바꿔 주셨다는 것입니다. 이 말씀이 오늘 우리에게 얼마나 힘이 되고 위로가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우리는 슬픔 중에 예수님을 만나고, 절망 중에 예수님을 만날 수 있습니다. 예수님께서 그런 사람들을 찾아오시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여러분, 인생의 끝에서 극적으로 예수님을 만나는 것도 은혜이지만, 나와 늘 동행하시는 예수님을 매일매일 경험하면서 사는 것은 더 큰 은혜입니다.
제가 ‘동행(同行)’이라는 말을 생각할 때 늘 생각나는 말씀이 있습니다. 아모스 3:3에 있는 말씀인데요. “Can two people walk together without agreeing on the direction (두 사람이 방향에 대한 동의가 없이 어떻게 같이 걸을 수가 있겠느냐)?” 예수님과 동행하기 위해서는 예수님과 우리가 바라보는 방향이 같아야 합니다. 이 말은 예수님과 같은 삶의 목적과 가치를 공유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예수님과 우리가 같은 방향을 바라보지 않으면 어떻게 동행할 수가 있겠습니까? 성경에 보면 노아가 하나님과 동행했다고 합니다. 성경에 이렇게 나옵니다. “노아는 하나님과 동행했으며(창세기 6:9)” New Living Translation에 보면 이 말씀이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and he walked in close fellowship with God.” 노아가 하나님과 친밀한 교제를 나누었다는 것입니다. 노아가 하나님과 동행할 수 있었던 비결은 하나님과 나누는 ‘친밀한 교제’에 있었습니다. 노아는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것을 같이 기뻐하고, 하나님께서 원하시지 않는 일은 그도 하지 않습니다. 이런 사람이 하나님과 같은 방향을 바라보는 사람 아닙니까?
여러분, 어떤 삶을 선택하겠습니까? 인생의 끝에서 극적으로 나를 찾아오시는 주님을 만나는 삶을 선택하겠습니까? 아니면, 매일매일 주님과 동행하는 삶을 선택하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