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2021 | 부활주일 메시지

한 알의 밀이 땅에 떨어져 죽으면 If A Grain of Wheat Falls Into The Ground And Dies

요한복음 12:20-26

방역 수칙을 지키면서 띄엄띄엄 앉아 있습니다만, 서로를 보시면서 “해피 이스터(Happy Easter)!” 하면서 인사하시지요? 부활하신 예수님은 한 곳에 모여 문을 잠그고, 불안에 떨고 있던 제자들에게 “Peace be with you (너희에게 평강이 있을지어다! 요한복음 20:19)”하시면서 인사를 하셨습니다. 히브리 말로는 “샬롬(Shalom)”입니다. 이 인사가 이 시간 부활절 예배를 드리는 우리에게 특별한 의미로 다가옵니다. 아직도 상황이 종료되지 않았지만, 지난 일년 동안 참 애 많이 쓰셨습니다. 갈 곳을 마음대로 가지 못하고, 만날 사람들을 마음대로 만나지 못하고, 생활에 제약을 받으면서 참 애들 많이 쓰셨습니다. 여러분 모두에게 담임 목사로서 하나님의 평안을 전합니다. “샬롬!”

예수님의 부활의 의미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성경 말씀이 무엇일까 하고 여러 날 생각하다가 결정한 말씀이 요한복음 12:24절 말씀입니다. “밀알 하나가 땅에 떨어져 죽지 않으면 한 알 그대로 있고, 죽으면 많은 열매를 맺느니라” 이 말씀입니다. 이 말씀이 New Living Translation 성경에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I tell you the truth, unless a kernel of wheat is planted in the soil and dies, it remains alone. But its death will produce many new kernels-a plentiful harvest of new lives.” 이 말씀을 잘 보면 “If a kernel of wheat dies(밀알 하나가 죽으면)”이라는 말과 “If a kernel of wheat doesn’t die(밀알 하나가 그대로 죽지 않으면)”이라는 말이 서로 대조되어 있습니다. 땅에 떨어져 죽는 밀알과 죽지 않은 밀알, 별로 차이가 없어 보입니다. 그런데, 그 결과는 엄청나게 다릅니다. 밀알 하나가 땅에 떨어져 죽으면 많은 새로운 생명들을 만들어 내게 되지만, 죽지 않으면 한 알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여러분, 예수님께서 이 말씀을 하신 배경을 아시지요? 그 때는 유월절 명절이었습니다. 이스라엘 사람들이 지키는 제일 큰 명절입니다. 과거 이집트에서 노예로 살던 조상들이 하나님의 은혜로 살아남은 것을 기념하는 명절입니다. 하나님이 보낸 죽음의 사자가 연기처럼 모든 사람들의 집으로 스며 들어가서 처음 난 것들을 모두 죽였습니다. 사람도 처음 난 아이는 죽었고, 가축들도 처음 난 것들은 모두 죽었습니다. 그런데, 이스라엘 사람들의 집에는 죽음의 사자가 들어가지 않고 그냥 넘어갔습니다. 그래서 이스라엘 집에는 아무 피해가 없었습니다. 모세의 지시대로 문설주에 어린 양의 피를 발랐거든요. 그런 집들은 피해가 없었습니다. 그 하나님의 은혜를 잊어버리지 않고 기억하는 명절이 유월절입니다. 유월절이 되면 성전이 있는 예루살렘 도시는 수많은 순례자들로 차고 넘쳤을 것입니다. 해외에 나가 살고 있는 디아스포라 유대인들도 유월절을 지키러 왔고, 외국인들도 구경 삼아 왔을 것입니다. 

그 외국인들 가운데 그리스 사람 몇 명이 예수님을 찾아왔습니다. 이 사람들은 아마도 이스라엘에 현자(賢者)가 있다는 말을 듣고 그를 만나러 왔을 것입니다. 그리스 사람들은 고대로부터 철학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이었습니다, 소크라테스(Socrates, BC 470년경-399)와 그의 제자 플라톤(Plato)이 있습니다. 플라톤은 아테네 출신인데요. 출생 연도도 알려지지 않았고, 사망 년도도 나와 있지 않습니다. 대충 BC 430년경에 났고, 348년경에 죽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또 한 사람 빼 놓을 수 없는 사람이 플라톤의 제자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 BC 384-322)입니다. 이 세 사람은 모두 그리스 철학자로서 지금까지 인류의 역사와 사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들이 살았던 시대를 우리나라 역사에서 찾아보면 고조선 때입니다. 이렇게 우리나라 역사와 서양 역사를 비교해 보면 정말 엄청난 사실에 놀라게 됩니다. 우리나라 역사에 고조선 때 문헌이 제대로 남아 있는 것이 없을 것입니다. 그런데 이들 그리스 철학자들의 사상은 고스란히 남아 있어서 서양 사상사의 근간을 이루고 있습니다. 플라톤의 ‘국가론’ ‘소크라테스의 변명’ ‘향연’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형이상학’ ‘니코마코스 윤리학’ ‘정치학’ ‘수사학’ ‘논리학’ 등 실로 엄청납니다. 이들의 책은 한국말로도 번역되어 읽히고 있습니다.

사도 바울이 2차 전도여행 중에 ‘아테네(Athens)’를 방문했던 때는 서기 50년경이었습니다. 바울이 아테네 도시를 둘러보면서 수많은 신상들이 도시에 널려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뿐만 아니라 ‘아레오바고(Areopagus)’라는 광장에 수많은 철학자들이 모여 매일 토론을 벌이고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바울은 아테네 도시에 대한 인상을 이렇게 기록했습니다. “아테네 사람과 그 곳에 사는 외국 사람들은 새로운 것이라면 무엇이든지 말하거나 듣는 것으로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이었습니다.” (사도행전 17:21)

이것이 서기 50년경의 아테네의 모습입니다. 그렇다면, 서기 30년경 예수님 당시에도 아테네의 모습은 크게 다르지 않았을 것입니다. 이들은 날마다 모여서 토론했고, 새로운 사상에 대해 목이 말라 있었습니다. 이들 중 몇 사람이 유대나라에 현자가 있다는 소문을 듣고 예수님을 찾아온 것입니다. 이 그리스 사람들은 예수님을 대면했습니다. 하지만, 성경에는 이 사람들이 예수님께 무슨 질문을 했다는 말씀이 없습니다. 이 사람들을 대면하자마자 예수님은 이들이 의도를 단번에 아셨습니다. 그리고 말씀하셨습니다. “내가 진리를 말한다” 예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셨을 때 이 사람들은 이 사람의 입에서 무슨 새로운 말이 나올까 하고 기대했을 것입니다. 이 때 예수님의 입에서 나온 말씀이 바로 ‘밀알의 비유’입니다.

여러분들은 예수님의 이 말씀을 들으면서 무슨 생각을 하셨습니까? 당연한 말씀이라는 생각을 하신 분이 계십니까? 농사를 짓는 분들에게는 새로울 것이 없는 말씀입니다. 씨앗을 뿌려서 그보다 몇 십 배, 몇 백 배의 수확을 거두어들이는 것이 농사입니다. 하지만, 이 예수님의 이 말씀은 비유 말씀이거든요? 일상적이고 쉬운 이야기 같지만 이 이야기 속에 예수님께서 전달하고자 하는 진리가 들어있습니다. 예수님의 이 말씀은 단순히 씨를 뿌리고 거두고 하는 이야기가 아니라 바로 우리들의 삶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이렇게 말씀드려도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밀알의 비유’가 평범한 이야기로 들립니까?

저는 오늘 예수님의 말씀을 들으면서 이 말씀은 예수님 자신의 삶에 대한 비유 말씀이라는 생각이 제일 먼저 들었습니다. 예수님의 생애가 꼭 그렇습니다. 한 알의 밀알이 땅에 떨어져 죽는 것처럼, 예수님의 생명은 땅에 떨어져 죽었습니다. 땅에 떨어진 씨가 썩어 죽고, 그 죽은 씨앗의 양분을 먹고 새로운 싹이 돋아나는 것처럼, 땅에 묻힌 예수님의 생명을 통해서 수많은 생명들이 살아났습니다. 

우리가 사도신경에서 우리 믿음을 고백할 때 “본디오 빌라도에게 고난을 받으사 십자가에 못박혀 죽으시고 장사한 지 사흘만에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나시며” 이렇게 고백합니다. 바울은 예수님의 부활에 대하여 예수님은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the firstfruits of those who have fallen asleep, 고린도전서 15:20)’가 되셨다고 했습니다. 잠자는 사람들은 죽은 사람들을 말합니다. 예수님은 죽은 사람들 가운데 부활하신 ‘첫 열매’입니다. 여러분, ‘첫 열매’라는 말은 제2, 제3, 제4의 열매들을 기대하게 합니다. 바울은 우리 죄를 대신 지시고, 십자가에서 죽으시고,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들이 예수님을 따라 부활의 열매들이 된다고 했습니다(고린도전서 15:23).

여러분, 이 말씀을 한번 보세요. “하나님께서는 전부터 아셨던 사람들을 그분의 아들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미리 정하시고, 하나님의 아들을 많은 형제들 중에서 맏아들이 되게 하셨습니다.” (로마서 8:29) 원래 하나님께 아들이 하나였거든요? 그래서 우리가 예수님을 ‘독생자(獨生子)’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 말씀을 보면 예수님에게 많은 형제들이 생긴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하나님께 많은 아들들이 생긴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자기 생명을 우리를 위해서 내 주셨더니, 그 결과 수많은 하나님의 아들들이 생긴 것입니다. 비유적으로 말하면 한 알의 밀알이 땅에 떨어져 죽어서 많은 열매들을 거둔 것입니다.

예수님은 “사람이 자기 친구를 위해 자기 목숨을 내놓는 것보다 더 큰 사랑은 없다. 내가 너희에게 명하는 것을 행하면, 너희는 내 친구다(요한복음 15:13-14)”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우리가 예수님께서 명한 것을 행하면(if we do what Jesus commands)’ 우리는 예수님의 친구가 된다고 하셨습니다. 예수님의 친구가 되는 길이 멀고도 멀어 보입니까? 그럴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예수님의 이 말씀을 이렇게 읽어 보십시오. “너희도 내가 행한 것처럼 너희의 생명을 한 알의 밀알처럼 땅에 심으면 나의 친구가 된다” 이렇게 말입니다. 이렇게 이 말씀을 해석하니까 예수님의 친구가 되는 일이 그리 멀어만 보이지 않습니다.

제가 대학 다닐 때 읽은 감동적인 이야기가 있습니다. ‘콜베 신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이 분의 본명은 ‘막스밀리언 마리아 콜베’(Maximilian Maria Kolbe, 1894-1941, 폴란드)입니다. 세계 제2차 대전 때,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합니다. 콜베 신부는 동료 수도사들과 함께 유대인 2,000명과 폴란드 난민 3,000명에게 그들의 수도원을 은신처로 제공합니다. 나치는 그 수도원을 폐쇄하고 콜베 신부와 네 명의 동료들을 ‘아우슈비츠’라는 죽음의 수용소로 이송시켰습니다. 그들은 거기서 다른 수감자들과 함께 강제 노역을 했습니다. 그러다가 한 사람의 수감자가 탈옥한 일이 생겼습니다. 그 수용소에는 탈옥 사고가 있을 때는 그 탈옥자와 같은 막사를 쓰는 수감자 중에 본보기로 열 명의 수감자를 무작위로 지명해서 아사형(餓死刑)에 처한다는 룰이 있었습니다. 수용소 지휘관이 죄수들을 모아 놓고 열 명을 지명합니다. “너!” “너!” 이렇게 한 사람 한 사람 지명을 합니다. 그런데, 지명 당한 사람 중에 프란치세크 가조우니체(Franciszek Gajowniczek)라는 사람이 “내 아내, 내 아이들, 나는 죽기 싫습니다!” 하면서 처절하게 울부짖기 시작했습니다. 이 때, 콜베 신부가 모자를 벗고 조용히 앞으로 나가 지휘관 앞에 서서 이렇게 말합니다. “저는 폴란드의 가톨릭 사제입니다. 그 사람 대신 제가 죽게 해주십시오. 저는 늙었습니다. 저 사람은 아내와 자녀들이 있습니다.” 콜베 신부는 아사형을 선고받은 프란치세크 가조우니체를 손가락으로 가리키면서 “저는 폴란드에서 온 가톨릭 사제입니다. 제가 저 사람을 대신해서 죽겠습니다. 저 사람은 아내와 자녀들이 있습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그의 청원이 받아들여졌습니다. 그래서, 콜베 신부가 그 사람을 대신해서 아사형을 받게 되었습니다. 수용소 지휘관은 이들을 즉시 처형하지 않고, 물과 음식을 일체 주지 않고 굶겨 죽도록 했습니다. 수용소 간수들의 말에 의하면, 콜베 신부는 감옥 안에 같이 갇힌 사람들에게 용기를 주었다고 합니다. 그 후 3주가 지났지만 콜베 신부와 다른 세 사람이 기적처럼 살아있었습니다. 결국 나치는 독극물을 주사하여 그들을 모두 살해했다고 합니다.

콜베 신부에 대해 더 알고 싶어서 알아보았더니, 콜베 신부는 공부를 많이 한 사람이었습니다. 1912년 로마 대학에 유학을 가서 철학과 신학, 수학, 물리학 등을 공부하였고, 1915년 그레고리오 대학교에서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1919년에는 성 보나벤투라 대학교에서 신학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콜베 자신은 자기는 나이가 많아 쓸모가 없는 사람이라고, 그러니 내가 저 사람 대신 죽겠다고 했지만, 그 때 그는 겨우 47살이었습니다. 그는 결코 쓸모 없는 사람이 아니었습니다.

예수님은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나를 통하지 않고서는 아버지에게 갈 자가 없다(요한복음 14:6).” 콜베 신부의 아사 감방에 지금도 ‘콜베 신부의 십자가’가 있다고 합니다. 그 십자가는 예수님께서 세상을 구원하기 위해 통과했던 십자가입니다. 콜베 신부 역시 예수님처럼 다른 사람을 대신해서 죽음으로써 예수님의 십자가를 통과했습니다.

한 알의 밀알이 땅에 떨어져 죽으면 많은 열매를 맺는다고 했습니다. 역사를 보면, 제2, 제3의 콜베 신부가 계속 나왔습니다. 우리가 사는 세상이 이기적이고 각박한 것만은 아닙니다. 예수님을 따라 자신의 생명을 땅에 심는 사람들이 계속 나왔습니다. 독일인으로 우리나라에 들어와 자신의 삶을 바친 서서평(Elisabeth Shepping, 1880-1934) 선교사, 나에게 천개의 생명이 있다면 모두 조선에게 주겠다고 했던 캐나다의 루비 켄드릭(Lubye Rachael Kendrick, 1883-1908) 선교사, 소록도에서 나병환자를 위해 43년을 바친 오스트리아의 수녀 마리안느(Marianne Stöeger, 1934-)와 마가렛(Margreth Pissarel, 1935-) 수녀, 아프리카의 남수단에 가서 자신의 생명을 심은 이태석 신부(1962-2010), 이런 분들이 있어서 세상은 여전히 아름답다는 생각이 듭니다. 

예수님은 내가 부활의 ‘첫 열매’이고 나를 믿는 너희는 부활의 ‘나중 열매들’이라고 하셨습니다. 우리는 이 말씀에서 우리는 단순히 영원한 생명을 얻게 된다는 의미뿐만 아니라, 너희도 예수님처럼 너희의 생명을 땅에 심어 많은 열매를 거두는 삶을 살아야 한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들을 수 있어야 합니다. 

 


4/4/2021 | 부활주일 메시지

한 알의 밀이 땅에 떨어져 죽으면 If A Grain of Wheat Falls Into The Ground And Dies

요한복음 12:20-26

방역 수칙을 지키면서 띄엄띄엄 앉아 있습니다만, 서로를 보시면서 “해피 이스터(Happy Easter)!” 하면서 인사하시지요? 부활하신 예수님은 한 곳에 모여 문을 잠그고, 불안에 떨고 있던 제자들에게 “Peace be with you (너희에게 평강이 있을지어다! 요한복음 20:19)”하시면서 인사를 하셨습니다. 히브리 말로는 “샬롬(Shalom)”입니다. 이 인사가 이 시간 부활절 예배를 드리는 우리에게 특별한 의미로 다가옵니다. 아직도 상황이 종료되지 않았지만, 지난 일년 동안 참 애 많이 쓰셨습니다. 갈 곳을 마음대로 가지 못하고, 만날 사람들을 마음대로 만나지 못하고, 생활에 제약을 받으면서 참 애들 많이 쓰셨습니다. 여러분 모두에게 담임 목사로서 하나님의 평안을 전합니다. “샬롬!”

예수님의 부활의 의미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성경 말씀이 무엇일까 하고 여러 날 생각하다가 결정한 말씀이 요한복음 12:24절 말씀입니다. “밀알 하나가 땅에 떨어져 죽지 않으면 한 알 그대로 있고, 죽으면 많은 열매를 맺느니라” 이 말씀입니다. 이 말씀이 New Living Translation 성경에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I tell you the truth, unless a kernel of wheat is planted in the soil and dies, it remains alone. But its death will produce many new kernels-a plentiful harvest of new lives.” 이 말씀을 잘 보면 “If a kernel of wheat dies(밀알 하나가 죽으면)”이라는 말과 “If a kernel of wheat doesn’t die(밀알 하나가 그대로 죽지 않으면)”이라는 말이 서로 대조되어 있습니다. 땅에 떨어져 죽는 밀알과 죽지 않은 밀알, 별로 차이가 없어 보입니다. 그런데, 그 결과는 엄청나게 다릅니다. 밀알 하나가 땅에 떨어져 죽으면 많은 새로운 생명들을 만들어 내게 되지만, 죽지 않으면 한 알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여러분, 예수님께서 이 말씀을 하신 배경을 아시지요? 그 때는 유월절 명절이었습니다. 이스라엘 사람들이 지키는 제일 큰 명절입니다. 과거 이집트에서 노예로 살던 조상들이 하나님의 은혜로 살아남은 것을 기념하는 명절입니다. 하나님이 보낸 죽음의 사자가 연기처럼 모든 사람들의 집으로 스며 들어가서 처음 난 것들을 모두 죽였습니다. 사람도 처음 난 아이는 죽었고, 가축들도 처음 난 것들은 모두 죽었습니다. 그런데, 이스라엘 사람들의 집에는 죽음의 사자가 들어가지 않고 그냥 넘어갔습니다. 그래서 이스라엘 집에는 아무 피해가 없었습니다. 모세의 지시대로 문설주에 어린 양의 피를 발랐거든요. 그런 집들은 피해가 없었습니다. 그 하나님의 은혜를 잊어버리지 않고 기억하는 명절이 유월절입니다. 유월절이 되면 성전이 있는 예루살렘 도시는 수많은 순례자들로 차고 넘쳤을 것입니다. 해외에 나가 살고 있는 디아스포라 유대인들도 유월절을 지키러 왔고, 외국인들도 구경 삼아 왔을 것입니다. 

그 외국인들 가운데 그리스 사람 몇 명이 예수님을 찾아왔습니다. 이 사람들은 아마도 이스라엘에 현자(賢者)가 있다는 말을 듣고 그를 만나러 왔을 것입니다. 그리스 사람들은 고대로부터 철학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이었습니다, 소크라테스(Socrates, BC 470년경-399)와 그의 제자 플라톤(Plato)이 있습니다. 플라톤은 아테네 출신인데요. 출생 연도도 알려지지 않았고, 사망 년도도 나와 있지 않습니다. 대충 BC 430년경에 났고, 348년경에 죽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또 한 사람 빼 놓을 수 없는 사람이 플라톤의 제자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 BC 384-322)입니다. 이 세 사람은 모두 그리스 철학자로서 지금까지 인류의 역사와 사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들이 살았던 시대를 우리나라 역사에서 찾아보면 고조선 때입니다. 이렇게 우리나라 역사와 서양 역사를 비교해 보면 정말 엄청난 사실에 놀라게 됩니다. 우리나라 역사에 고조선 때 문헌이 제대로 남아 있는 것이 없을 것입니다. 그런데 이들 그리스 철학자들의 사상은 고스란히 남아 있어서 서양 사상사의 근간을 이루고 있습니다. 플라톤의 ‘국가론’ ‘소크라테스의 변명’ ‘향연’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 ‘형이상학’ ‘니코마코스 윤리학’ ‘정치학’ ‘수사학’ ‘논리학’ 등 실로 엄청납니다. 이들의 책은 한국말로도 번역되어 읽히고 있습니다.

사도 바울이 2차 전도여행 중에 ‘아테네(Athens)’를 방문했던 때는 서기 50년경이었습니다. 바울이 아테네 도시를 둘러보면서 수많은 신상들이 도시에 널려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뿐만 아니라 ‘아레오바고(Areopagus)’라는 광장에 수많은 철학자들이 모여 매일 토론을 벌이고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바울은 아테네 도시에 대한 인상을 이렇게 기록했습니다. “아테네 사람과 그 곳에 사는 외국 사람들은 새로운 것이라면 무엇이든지 말하거나 듣는 것으로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이었습니다.” (사도행전 17:21)

이것이 서기 50년경의 아테네의 모습입니다. 그렇다면, 서기 30년경 예수님 당시에도 아테네의 모습은 크게 다르지 않았을 것입니다. 이들은 날마다 모여서 토론했고, 새로운 사상에 대해 목이 말라 있었습니다. 이들 중 몇 사람이 유대나라에 현자가 있다는 소문을 듣고 예수님을 찾아온 것입니다. 이 그리스 사람들은 예수님을 대면했습니다. 하지만, 성경에는 이 사람들이 예수님께 무슨 질문을 했다는 말씀이 없습니다. 이 사람들을 대면하자마자 예수님은 이들이 의도를 단번에 아셨습니다. 그리고 말씀하셨습니다. “내가 진리를 말한다” 예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셨을 때 이 사람들은 이 사람의 입에서 무슨 새로운 말이 나올까 하고 기대했을 것입니다. 이 때 예수님의 입에서 나온 말씀이 바로 ‘밀알의 비유’입니다.

여러분들은 예수님의 이 말씀을 들으면서 무슨 생각을 하셨습니까? 당연한 말씀이라는 생각을 하신 분이 계십니까? 농사를 짓는 분들에게는 새로울 것이 없는 말씀입니다. 씨앗을 뿌려서 그보다 몇 십 배, 몇 백 배의 수확을 거두어들이는 것이 농사입니다. 하지만, 이 예수님의 이 말씀은 비유 말씀이거든요? 일상적이고 쉬운 이야기 같지만 이 이야기 속에 예수님께서 전달하고자 하는 진리가 들어있습니다. 예수님의 이 말씀은 단순히 씨를 뿌리고 거두고 하는 이야기가 아니라 바로 우리들의 삶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이렇게 말씀드려도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밀알의 비유’가 평범한 이야기로 들립니까?

저는 오늘 예수님의 말씀을 들으면서 이 말씀은 예수님 자신의 삶에 대한 비유 말씀이라는 생각이 제일 먼저 들었습니다. 예수님의 생애가 꼭 그렇습니다. 한 알의 밀알이 땅에 떨어져 죽는 것처럼, 예수님의 생명은 땅에 떨어져 죽었습니다. 땅에 떨어진 씨가 썩어 죽고, 그 죽은 씨앗의 양분을 먹고 새로운 싹이 돋아나는 것처럼, 땅에 묻힌 예수님의 생명을 통해서 수많은 생명들이 살아났습니다. 

우리가 사도신경에서 우리 믿음을 고백할 때 “본디오 빌라도에게 고난을 받으사 십자가에 못박혀 죽으시고 장사한 지 사흘만에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나시며” 이렇게 고백합니다. 바울은 예수님의 부활에 대하여 예수님은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the firstfruits of those who have fallen asleep, 고린도전서 15:20)’가 되셨다고 했습니다. 잠자는 사람들은 죽은 사람들을 말합니다. 예수님은 죽은 사람들 가운데 부활하신 ‘첫 열매’입니다. 여러분, ‘첫 열매’라는 말은 제2, 제3, 제4의 열매들을 기대하게 합니다. 바울은 우리 죄를 대신 지시고, 십자가에서 죽으시고,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들이 예수님을 따라 부활의 열매들이 된다고 했습니다(고린도전서 15:23).

여러분, 이 말씀을 한번 보세요. “하나님께서는 전부터 아셨던 사람들을 그분의 아들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미리 정하시고, 하나님의 아들을 많은 형제들 중에서 맏아들이 되게 하셨습니다.” (로마서 8:29) 원래 하나님께 아들이 하나였거든요? 그래서 우리가 예수님을 ‘독생자(獨生子)’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 말씀을 보면 예수님에게 많은 형제들이 생긴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하나님께 많은 아들들이 생긴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자기 생명을 우리를 위해서 내 주셨더니, 그 결과 수많은 하나님의 아들들이 생긴 것입니다. 비유적으로 말하면 한 알의 밀알이 땅에 떨어져 죽어서 많은 열매들을 거둔 것입니다.

예수님은 “사람이 자기 친구를 위해 자기 목숨을 내놓는 것보다 더 큰 사랑은 없다. 내가 너희에게 명하는 것을 행하면, 너희는 내 친구다(요한복음 15:13-14)”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우리가 예수님께서 명한 것을 행하면(if we do what Jesus commands)’ 우리는 예수님의 친구가 된다고 하셨습니다. 예수님의 친구가 되는 길이 멀고도 멀어 보입니까? 그럴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예수님의 이 말씀을 이렇게 읽어 보십시오. “너희도 내가 행한 것처럼 너희의 생명을 한 알의 밀알처럼 땅에 심으면 나의 친구가 된다” 이렇게 말입니다. 이렇게 이 말씀을 해석하니까 예수님의 친구가 되는 일이 그리 멀어만 보이지 않습니다.

제가 대학 다닐 때 읽은 감동적인 이야기가 있습니다. ‘콜베 신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이 분의 본명은 ‘막스밀리언 마리아 콜베’(Maximilian Maria Kolbe, 1894-1941, 폴란드)입니다. 세계 제2차 대전 때,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합니다. 콜베 신부는 동료 수도사들과 함께 유대인 2,000명과 폴란드 난민 3,000명에게 그들의 수도원을 은신처로 제공합니다. 나치는 그 수도원을 폐쇄하고 콜베 신부와 네 명의 동료들을 ‘아우슈비츠’라는 죽음의 수용소로 이송시켰습니다. 그들은 거기서 다른 수감자들과 함께 강제 노역을 했습니다. 그러다가 한 사람의 수감자가 탈옥한 일이 생겼습니다. 그 수용소에는 탈옥 사고가 있을 때는 그 탈옥자와 같은 막사를 쓰는 수감자 중에 본보기로 열 명의 수감자를 무작위로 지명해서 아사형(餓死刑)에 처한다는 룰이 있었습니다. 수용소 지휘관이 죄수들을 모아 놓고 열 명을 지명합니다. “너!” “너!” 이렇게 한 사람 한 사람 지명을 합니다. 그런데, 지명 당한 사람 중에 프란치세크 가조우니체(Franciszek Gajowniczek)라는 사람이 “내 아내, 내 아이들, 나는 죽기 싫습니다!” 하면서 처절하게 울부짖기 시작했습니다. 이 때, 콜베 신부가 모자를 벗고 조용히 앞으로 나가 지휘관 앞에 서서 이렇게 말합니다. “저는 폴란드의 가톨릭 사제입니다. 그 사람 대신 제가 죽게 해주십시오. 저는 늙었습니다. 저 사람은 아내와 자녀들이 있습니다.” 콜베 신부는 아사형을 선고받은 프란치세크 가조우니체를 손가락으로 가리키면서 “저는 폴란드에서 온 가톨릭 사제입니다. 제가 저 사람을 대신해서 죽겠습니다. 저 사람은 아내와 자녀들이 있습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그의 청원이 받아들여졌습니다. 그래서, 콜베 신부가 그 사람을 대신해서 아사형을 받게 되었습니다. 수용소 지휘관은 이들을 즉시 처형하지 않고, 물과 음식을 일체 주지 않고 굶겨 죽도록 했습니다. 수용소 간수들의 말에 의하면, 콜베 신부는 감옥 안에 같이 갇힌 사람들에게 용기를 주었다고 합니다. 그 후 3주가 지났지만 콜베 신부와 다른 세 사람이 기적처럼 살아있었습니다. 결국 나치는 독극물을 주사하여 그들을 모두 살해했다고 합니다.

콜베 신부에 대해 더 알고 싶어서 알아보았더니, 콜베 신부는 공부를 많이 한 사람이었습니다. 1912년 로마 대학에 유학을 가서 철학과 신학, 수학, 물리학 등을 공부하였고, 1915년 그레고리오 대학교에서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1919년에는 성 보나벤투라 대학교에서 신학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콜베 자신은 자기는 나이가 많아 쓸모가 없는 사람이라고, 그러니 내가 저 사람 대신 죽겠다고 했지만, 그 때 그는 겨우 47살이었습니다. 그는 결코 쓸모 없는 사람이 아니었습니다.

예수님은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나를 통하지 않고서는 아버지에게 갈 자가 없다(요한복음 14:6).” 콜베 신부의 아사 감방에 지금도 ‘콜베 신부의 십자가’가 있다고 합니다. 그 십자가는 예수님께서 세상을 구원하기 위해 통과했던 십자가입니다. 콜베 신부 역시 예수님처럼 다른 사람을 대신해서 죽음으로써 예수님의 십자가를 통과했습니다.

한 알의 밀알이 땅에 떨어져 죽으면 많은 열매를 맺는다고 했습니다. 역사를 보면, 제2, 제3의 콜베 신부가 계속 나왔습니다. 우리가 사는 세상이 이기적이고 각박한 것만은 아닙니다. 예수님을 따라 자신의 생명을 땅에 심는 사람들이 계속 나왔습니다. 독일인으로 우리나라에 들어와 자신의 삶을 바친 서서평(Elisabeth Shepping, 1880-1934) 선교사, 나에게 천개의 생명이 있다면 모두 조선에게 주겠다고 했던 캐나다의 루비 켄드릭(Lubye Rachael Kendrick, 1883-1908) 선교사, 소록도에서 나병환자를 위해 43년을 바친 오스트리아의 수녀 마리안느(Marianne Stoeger, 1934-)와 마가렛(Margreth Pissarel, 1935-) 수녀, 아프리카의 남수단에 가서 자신의 생명을 심은 이태석 신부(1962-2010), 이런 분들이 있어서 세상은 여전히 아름답다는 생각이 듭니다. 

예수님은 내가 부활의 ‘첫 열매’이고 나를 믿는 너희는 부활의 ‘나중 열매들’이라고 하셨습니다. 우리는 이 말씀에서 우리는 단순히 영원한 생명을 얻게 된다는 의미뿐만 아니라, 너희도 예수님처럼 너희의 생명을 땅에 심어 많은 열매를 거두는 삶을 살아야 한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들을 수 있어야 합니다. 


3/28/2021 | 고난주간 메시지

그리스도의 발자취를 따라 Following In His Steps

베드로전서 2:21-25

팬데믹으로 모두가 힘든 시간들을 보냈습니다. 하루 이틀도 아니고 무려 일년이 넘도록 어떻게 지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래도 하루하루 지내오다 보니, 어느 새 고난주일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이제 다음 주일이면 부활주일을 맞이하게 되네요. 힘든 시간을 지내고 있어서 그런지 주님이 받으신 고난의 의미가 더 새롭게 느껴지는 시간입니다.

성서학자들은 베드로가 이 편지를 기록한 때를 서기 64-68년경으로 보고 있습니다. 네로가 로마에 화재를 일으키고 그 책임을 크리스천들에게 돌려 크리스천들을 박해했던 때가 서기 64년 7월이었거든요? 크리스천들은 고난과 박해 속에 있었습니다. 언제 로마의 군인들이 들이닥칠지 알 수 없는 때였습니다. 베드로는 이런 상황 속에 놓여 있는 디아스포라 크리스천들에게 편지를 써서 위로하고 희망을 주려고 했던 것입니다.

베드로는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을 몇 가지로 정리했습니다. 첫째로, 예수 그리스도는 죄가 없으시면서도 고난을 받으셨다고 했습니다. 둘째로, 예수 그리스도는 거짓말을 한 적이 없는데도 고난을 받으셨다고 했습니다. 셋째로, 예수 그리스도는 모욕과 수치를 당하면서도 욕하지 않으셨다고 했습니다. 넷째로, 예수 그리스도는 고난을 받으면서도 위협하지 않으셨다고 했습니다. 다섯째로, 예수 그리스도는 공정하게 심판하시는 하나님의 손에 자신을 맡기셨다고 했습니다. 여섯째로, 예수 그리스도는 우리의 죄를 대신 짊어지고 십자가에 달려 돌아가셨다고 했습니다. 일곱째로, 예수 그리스도 덕분에 우리는 더 이상 죄를 위해 살지 않고 의를 위해 살게 되었다고 했습니다. 여덟째로, 예수 그리스도는 길을 읽어버린 양들을 보살피는 영혼의 목자가 되셨다고 했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이런 질문을 할 수 있습니다. “왜 죄가 없는 사람이 십자가에서 죽었을까?” 이 질문에서부터 시작해야 예수님이 받으신 고난의 의미가 밝혀집니다. 하나님의 아들로서 이 세상에 오신 예수님은 이 세상에 오신 이유를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인자가 이 세상에 온 것은 섬김을 받으려고 온 것이 아니라 섬기려고 온 것이다. 인자는 자기 생명을 많은 사람을 살리는 대속물로 주려고 왔다.”(마가복음 10:45) 이 말씀에 나오는 ‘대속물’이라는 말은 ‘램섬(ransom)’이라는 말입니다. 일반적으로 이 말은 ‘몸값’이라는 뜻입니다. 인질범들이 아이를 납치하고 ‘몸값’을 요구합니다. 아이의 ‘몸값’이 얼마인데, 그 돈을 가져오면 아이를 살려주겠다는 것입니다. 이 말의 성경적인 의미는 다른 사람 대신 목숨 값을 치른다는 뜻입니다. 예수님은 모든 사람들이 지은 죄 값을 대신 치르기 위해서 이 세상에 오셨다고 말씀하신 것입니다.

이 말씀을 듣는 사람들은 또 이런 질문을 할 수 있습니다. “어떻게 예수님 한 사람의 생명으로 모든 사람의 죄값을 치룰 수 있는가?” 예수님의 생명은 단순한 생명이 아니라 하나님의 아들의 생명이거든요? 하나님의 아들이라면 모든 사람들의 죄의 값을 충분히 치를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예수님은 죄가 없으신 분이거든요? 죄가 없으신 분이 죄인들의 죄값을 대신 치른 것입니다. 이 말씀을 한번 보십시오. “하지만 이제 여러분은 그러한 무가치한 삶에서 구원받았습니다. 금이나 은같이 없어지고 말 어떠한 것으로 대가를 지불한 것이 아니라, 한 점의 죄도 흠도 없으신 어린양 예수 그리스도의 보배로운 피로 말미암아 구원받은 것입니다.” (베드로전서 1:19)” “And the ransom he paid was not mere gold or silver. It was the precious blood of Christ, the sinless, spotless Lamb of God.” (New Living Translation)

여러분, 이 말을 오해하지 말고 들으십시오. 하나님의 구원의 계획은 모두 하나님 스스로 계획하고 행동으로 옮긴 자작극(自作劇)입니다. 하나님께 딜레마가 있었습니다. 하나님께서 가지고 계시는 속성(屬性, attributions) 중에 사랑과 용서가 있습니다. 그리고, 정의와 심판이 있습니다. 이 두 속성이 하나님 안에서 서로 충돌하는 것입니다. 하나님께 죄로 말미암아 고통스럽게 살아가는 인간들을 용서해 주고 싶은 마음이 있습니다. 그런데, 하나님은 동시에 불의를 미워하고, 죄를 미워하는 정의의 하나님이시거든요? 인간의 죄를 용서해 주고 싶어도 그게 안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하나님의 딜레마입니다. 우리가 이런 말씀을 읽습니다.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구원의 능력이요 하나님의 지혜입니다 (고린도전서 1:24). 여기서 바울은 왜 십자가를 하나님의 지혜라고 했을까요? 하나님은 십자가에서 죄 없는 자기 아들을 모든 사람의 죄를 대신 지고 죽게 함으로써 죄인을 불쌍히 여기시고 구원하시려는 하나님의 자비와 사랑도 충족되고, 죄인을 심판하시는 하나님의 정의도 충족되었습니다. 하나님의 딜레마가 십자가 위에서 모두 해결된 것입니다. 보세요. 요한은 예수님께서 십자가 위에서 마지막으로 “다 이루었다(요한복음 19:30)”는 말씀을 하시고 숨을 거두셨다고 그의 복음서에 기록했습니다. 이 말의 그리스어 원문은 ‘테텔레스타이(Τετέλεσται)’입니다. 영어로 번역하면 “It is finished.” 혹은 “Paid in full(값을 모두 지불했다)”입니다. 하나님은 자기 아들의 생명을 우리를 구원하시기 위한 ‘랜섬’ ‘대속물’ ‘몸값’으로 모두 지불하신 것입니다. 하나님은 자기 아들을 희생시키고 죄인들을 구원하신 것입니다. 하나님의 사랑과 정의가 모두 실현되었습니다. 십자가 위에서 하나님의 딜레마가 단번에 해결된 것입니다.

여러분, 성경을 잘 읽어 보세요. 성경에 이런 딱딱한 교리적인 말씀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바울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우리가 아직 죄인이었을 때에 우리를 위해 죽으셨습니다. 이것으로써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향한 그분의 사랑을 나타내셨습니다.” (로마서 5:8) 뿐만 아니라 바울은 “하나님의 사랑이 우리 마음에 부어졌다(God has poured out his love into our hearts by the Holy Spirit, 로마서 5:5)”고도 했습니다. 또한 제자 요한은 하나님의 사랑에 대하여 “예수님께서 우리를 위하여 그의 생명을 주심으로써 우리는 진실한 사랑이 어떠한 것인지 알게 되었습니다(요한일서 3:16)” 라고 썼습니다.

‘찬송가의 왕’이라는 칭호를 가지고 있는 작곡가 아이작 와츠(Isaac Watts, 1674-1748, 영국)는 십자가에 대한 이런 찬송시를 썼습니다. 그 찬송시로 만든 찬송가가 151장입니다. “만 왕의 왕 내 주께서 왜 고초 당했나 이 벌레 같은 날 위해 그 보혈 흘렸네 주 십자가 못박힘은 속죄함 아닌가 그 긍휼함과 큰 은혜 말할 수 없도다 늘 울어도 그 큰 은혜 다 갚을 수 없네 나 주님께 몸 바쳐서 주의 일 힘쓰리 십자가 십자가 내가 처음 볼 때에 나의 맘에 큰 고통 사라져 오늘 믿고서 내 눈 밝았네 참 내 기쁨 영원하도다.” 그의 찬송시 한 구절 한 구절에 십자가에 대한 그의 믿음이 배어 있습니다. 

우리는 십자가에 나타난 하나님의 은혜에 큰 빚을 졌습니다. 어떻게 그 은혜를 갚을 수 있을까요? 베드로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남기신 발자취를 따라 살아야 한다고 했습니다. 우리보다 먼저 믿음의 길을 걸어가신 예수님의 발자취를 따라가자고 한 것입니다. 제가 이스라엘 성지여행을 하면서 갈릴리 해변을 혼자서 많이 걸었습니다. 그 때 그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예수님께서 갈릴리 해변을 많이 걸으셨을 텐데, 어딘가 예수님의 발자국이 남아 있을지도 몰라!” 여러분이 듣기에는 유치하게 들릴지 모르지만, 그 때 저는 매우 진지했습니다. 

그러면, 예수님께서 구체적으로 어떤 ‘발자취(steps)’를 이 땅에 남겼을까요? 오늘 베드로전서 본문 말씀을 중심으로 두 가지만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첫째로, 예수님은 다른 사람을 대신해서 고난 받는 삶의 발자취를 남기셨습니다. 영어에 ‘on behalf of’라는 말이 있고 ‘vicarious’라는 단어가 있잖아요? ‘누구를 대신하여’ 또 ‘누구를 대신하여 받는’이라는 뜻이 있는 말입니다. 예수님은 우리가 받아야 할 고난을 대신 받으셨습니다. 그런데 참 신기한 것은, 예수님의 때로부터 500여년 전에 벌써 이런 사람이 나타날 것이라는 예언의 말씀이 있었다는 것입니다. “그는 실로 우리의 질고를 지고 우리의 슬픔을 당하였거늘 우리는 생각하기를 그는 징벌을 받아 하나님께 맞으며 고난을 당한다 하였노라. 그가 찔림은 우리의 허물 때문이요 그가 상함은 우리의 죄악 때문이라 그가 징계를 받으므로 우리는 평화를 누리고 그가 채찍에 맞으므로 우리는 나음을 받았도다. 우리는 다 양 같아서 그릇 행하여 각기 제 길로 갔거늘 여호와께서는 우리 모두의 죄악을 그에게 담당시키셨도다.” (이사야 53:4-6) 신학자들은 이 사람에 대하여 ‘고난 받는 종(the suffering servant)’이라는 이름을 붙여줬습니다. 유대인들은 이 예언의 말씀을 읽고 이 사람은 고난 받는 자기 민족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우리 크리스천들은 이 ‘고난 받는 종’이 우리가 믿은 예수 그리스도라고 생각합니다. 이 ‘고난 받는 종’에 대하여 이미 500여전 전에 이렇게 예언되어 있었습니다 “그가 그렇게 우리를 대신해서 고난을 받은 덕분에 우리가 나음을 받았다(By his wounds we are healed).”

우리가 예수님을 믿는다는 것은 예수님께서 남기신 이 발자취를 따라가는 것입니다. 복음서의 말씀 중에 예수님께서 어느 중풍병자 한 사람을 고쳐 주신 일이 있었습니다. 성경에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예수님께서 이 사람들의 믿음을 보시고, 중풍병 환자에게 말씀하셨습니다. ‘아들아, 네 죄가 용서되었다.’” (마가복음 2:5) 아주 특별한 말씀입니다. 보통은 병자의 믿음을 보시고 병을 치료를 해 주시는데, 이 경우는 병자가 아니라 ‘이 사람들의 믿음을 보시고(Jesus seeing their faith)’ 병을 낫게 해 주셨습니다. 이 사람들은 중풍병에 걸려 고생하는 병자의 친구들이었습니다. 이 친구들은 포기를 모르는 사람들이었습니다. 사람들이 많아 그 집으로 들어갈 수 없다는 것을 알고 그 집의 지붕을 뜯고 친구를 예수님 앞에 달아 내린 사람들입니다. 친구의 고통을 대신 짊어진 이 친구들의 믿음을 예수님께서 높이 평가하신 것입니다. 오늘 우리도 그렇습니다. 우리가 누구의 문제, 누구의 고통을 대신 짊어질 때, 하나님은 이런 믿음을 높게 평가하십니다.

이 말씀은 동시에 예수님의 발자취를 따라 살려고 하는 사람들에게 주신 말씀입니다. 지금 우리 믿음생활의 최대의 적은 ‘이기주의’입니다. 생각하는 것들이 다 자기만 아는 이기적인 것들입니다. 너도 나도 다 그렇습니다. 나만 잘되면 되고, 우리 집만 잘되면 되고, 우리 교회만 잘되면 된다는 생각들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예수님의 발자취를 따르는 삶이 아닙니다. 예수님은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누구든지 나를 따라오려면 자기를 부인하고 매일 자기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르라(If any of you wants to be my follower, you must turn from your selfish ways, take up your cross daily, and follow me).” (누가복음 9:23) 누구든지 자기만 생각하는 이기심에서 돌아서야 내 제자가 될 수 있고 나의 십자가를 질 수 있다고 말씀하신 것입니다. 

둘째로, 예수님은 의를 위한 삶의 발자취를 남기셨습니다(베드로전서 2:24). 그러므로, 예수님의 발자취를 놓치지 않고 잘 따라가면 우리는 의를 위하여 살 수 있습니다. 사도 바울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여러분의 몸을 불의를 행하는 도구로 죄에게 내어 주지 말고, 죽은 자들 가운데에서 살아난 사람들답게 여러분의 몸을 의를 행하는 도구로 여러분 자신을 하나님께 드리십시오.” (로마서 6:13) 여러분, 이 말씀을 형식적인 말씀으로 듣지 말고, 여러분의 삶을 돌아보는 말씀으로 받아들이시기 바랍니다. 우리는 예수님께서 남겨 놓으신 발자취를 따라 우리의 삶을 의를 행하는 도구로 사용해야 합니다. 

여러분은 간혹이라도 올바로 살아야 하겠다고 자신의 삶을 반성하는 기회를 갖고 있습니까? 뉴스에 나오는 흉악한 사고나 비인간적인 기사들을 보면서 “나는 올바로 살아야지!” 이런 반성을 하고 계신가요? 오늘 본문 말씀 21절을 보십시오. “For God called you to do good, even if it means suffering, just as Christ suffered for you.” 하나님께서 선을 행하도록 우리를 부르셨다고 합니다.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고난을 받으신 것처럼, 비록 고난을 받을지라도 선한 삶을 살도록 하기 위해 우리를 부르셨다는 것입니다. 내 인생, 나의 삶이 죄의 도구가 되지 않게 하고, 의를 행하는 도구로 사용하겠다는 결심만으로는 결코 부족하다는 것을 알고 계시지요? 세상을 착하게 살고, 선한 일을 위해 산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그 때마다 우리는 포기하지 말고 우리 앞에 선명하게 남아 있는 예수님의 발자취를 따라 살아야 합니다.


3/21/2021 |

사순절 새벽기도의 의미(5) The Meaning of the Lenten Prayer

누가복음 12:16-21

여러분, 지금 사순절을 잘 지내고 계신가요? 새벽기도에서 매일 듣는 은혜로운 찬양이 있습니다. ‘눈을 주님께 돌려(Turn Your Eyes Onto Jesus)’라는 제목의 찬양입니다. 사순절에 아주 적합한 찬양이라고 생각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사순절을 기도의 시간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말의 의미는, 사순절을 맞이해서 우리 마음과 생각을 예수님께 집중하고, 지금 내가 올바로 살고 있는지 나의 삶을 반성해 본다는 의미입니다.

우리의 삶에 많은 유혹들이 있습니다. 주님보다는 나의 일에 관심을 더 갖게 하고, 영적인 일보다는 물질적인 일에 더 관심을 갖게 하는 많은 유혹들이 있습니다. 이런 문제가 비단 지금 뿐만 아니라 이미 오래 전부터 있었던 문제입니다. 그만큼 인간이라는 존재 자체가 하나님을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을 생각하는 이기적인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한번 이 말씀을 보십시오. “사람들은 모두 자기 일에만 정신이 팔려 예수 그리스도의 일에는 관심이 없습니다. 그런데, 디모데는 그렇지 않습니다(All the others care only for themselves and not for what matters to Jesus Christ. But you know how Timothy has proved himself).” (빌립보서 2:21) 바울이 디모데를 처음 만난 것은 1차 전도여행 때 소아시아의 루스드라(Lystra)에서였습니다. 그리고 디모데를 데리고 2차 전도여행을 했습니다. 디모데의 아버지는 그리스 사람이었고, 어머니는 신앙의 내력이 있는 경건한 분이었습니다. 디모데는 어머니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그러다가 바울을 만나 예수 그리스도를 영접하게 되었습니다. 그 때부터 디모데는 바울에게 가장 소중한 사람이 되었습니다. 바울의 아들이기도 했고, 제자이기도 했고, 함께 하나님의 일을 하는 동역자이기도 했습니다. 디모데의 성격은 다른 사람들을 배려할 줄 알고, 다른 사람들의 사정을 잘 이해해 주는 성격이어서 목회자의 성품을 타고 난 사람이었습니다. 나중에 바울이 로마의 감옥에서 외롭고 힘들 때 가장 보고 싶었던 사람이 디모데였습니다.

이번 사순절에 오스왈드 체임버스 목사님의 ‘주님은 나의 최고봉’ 이 책을 가지고 은혜를 나누고 있습니다. 저도 날마다 말씀을 준비하면서 자연히 그 책을 정성껏 읽게 되었습니다. 무엇보다 저는 그 책을 통해 오스왈드 목사님이 예수 그리스도에게 온전히 자신을 드린 것을 보고 큰 은혜를 받았습니다. 그리고, 제 자신에게 질문했습니다. “나는 오스왈드 목사님처럼 나 자신을 주님께 드리고 있는가?”

크리스천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는 물질적인 가치가 아니라 영적인 가치입니다. 이 영적인 가치들이 지금 이 시대에 와서 큰 도전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과 같은 자본주의 국가에서는 더욱 그렇습니다. 지금은 대부분의 나라들이 자본주의 체제를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동유럽의 공산주의 국가들이 무너지면서, 더욱 더 많은 나라들이 자본주의 체제를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중국이나 러시아의 경제 체제를 말할 때 ‘계획경제’라고 말할 때가 있습니다. 자본주의라는 말을 사용하지는 않지만 자본주의를 자기들 처지에 맞게 받아들인 것입니다. 이 모두가 인간의 이기심과 열심히 능력껏 일해서 벌어들이면 모두 사유재산이 된다는 자본주의 경제 체제가 잘 맞아 떨어진 결과입니다. 

이런 자본주의 체제에서는 돈의 많고 적음이 가치의 기준이 됩니다. 미국을 보세요. 능력이 많은 사람은 돈을 많이 벌고 능력이 적은 사람은 돈을 적게 법니다. 아무도 여기에 불만을 제기하는 사람이 없는 것 같습니다. 사람들의 생각이 모두 자본주의 체제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문제는 이런 자본주의 체제 속에서 영적인 것들의 가치가 점점 축소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을 찾는 사람들이 줄고, 성경을 읽는 사람들이 줄고, 기도하는 사람들이 줄고, 교회를 찾는 사람들이 줄어 교회들이 문을 닫고 있습니다. 교회에 나가는 사람들마저도 모두 자본주의 경제 체제의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바울은 너희는 이 세대를 본받지 말라고 했습니다. 이 말씀이 New Living Translation에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Do not conform any longer to the pattern of this world, but be transformed by the renewing of your mind. Then you will be able to test and approve what God's will is--his good, pleasing and perfect will.” 크리스천은 이 시대의 패턴(유행)을 따라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오히려 마음을 새롭게 해서 변화를 받아야 한다고 합니다. 그러면 하나님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뜻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고 합니다. 이 로마서 12:2에 있는 말씀이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 크리스천들은 물질적인 가치보다 영적인 가치를 더 소중하게 여겨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살아갈 수 있는 비결은 ‘마음을 항상 새롭게 하는 것(to be transformed by the renewing of your mind)’이라고 했습니다. 

여러분, 생각해 보세요. 물질적인 것들에 대한 가치가 팽배한 이 시대의 풍조 속에서 어떻게 마음을 항상 새롭게 할 수가 있겠습니까? 문제는 전적으로 여러분 자신들에게 달려 있습니다. 조금 무책임한 말같이 들릴 수 있겠지만요. 달리 다른 길이 없습니다. 여러분이 스스로 선택을 해야 합니다. 영적인 가치가 물질적인 가치보다 더 중요하다고 인정한다면, 영적인 가치들을 선택해야 합니다. 예배를 소중하게 알고 진심으로 예배를 드려야 합니다. 성경을 규칙적으로 읽어야 합니다. 기도해야 합니다. 이 모든 것이 우리의 선택에 달려 있습니다.

한번 이 말씀을 보세요. “형제 여러분, 선함을 추구하며 가치가 있는 것들에 마음을 쏟기 바랍니다. 참되고, 고상하고, 옳고, 순결하며, 아름답고, 존경할 만한 것들을 생각하십시오. 여러분이 나에게 배운 것과 받은 것들을 행동으로 옮기십시오. 그러면 평화의 하나님께서 여러분과 함께 하실 것입니다.” (빌립보서 4:8-9) “맞아! 인간이 인간 답게 살기 위해서는 이런 것들을 추구해야 해!” 이렇게 생각한다면 이런 가치들을 선택해야 합니다. 지금 이 시대는 자기 스스로 믿고 옳다고 믿는 가치를 따라 선택하고 결단해야 하는 시대입니다. 과거와는 많이 다릅니다. 과거에는 강력한 리더십을 가진 목사님들이 성도들을 앞에서 이끌었습니다. 성도들은 목사님이 하라는 대로 했던 시대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그렇지 않거든요? 이제는 우리가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해야 하는 시대입니다. 

이제 이런 생각을 하면서 오늘 누가복음 12장 본문 말씀을 보시기 바랍니다. 어떻습니까? 이 이야기 속에 나오는 이 부자가 부럽지 않습니까? 성경 시대에는 사람들이 농사를 짓던 때였으니까요. 이 부자는 아주 비옥한 땅과 농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추수 때마다 많은 수확을 거두어들였습니다. 수확이 너무 많아서 저장할 창고가 부족할 정도였습니다. 이 부자는 더 큰 창고를 건축할 계획을 세웠습니다. 설계사가 그려준 설계도를 보면서 꿈에 부풀었습니다. “이제는 아무 걱정이 편하게 쉬고 먹고 마시면서 인생을 즐길 수 있겠구나!” 그런데, 하나님께서 그날 밤에 이 부자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이 어리석은 사람아! 내가 오늘 밤 네 영혼을 가져갈 것이다. 그렇게 되면 네가 모아 놓은 재산은 누구의 것이 되겠느냐?” 예수님은 이 이야기를 마치면서 듣는 사람들에게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자기를 위해 재물을 쌓아 놓고 하나님께 대해서는 부요하지 못한 사람은 모두 이와 같이 될 것이다.” (21절)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이 이야기의 메시지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좀 힌트를 드릴까요? 오늘 본문 말씀 앞에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 “온갖 욕심을 경계하고 주의하여라. 재산이 아무리 많더라도 사람의 생명이 거기에 달려 있지 않다(Beware! Guard against every kind of greed. Life is not measured by how much you own).” (15절) 우리의 인생은 재산이 많고 적음으로 판단해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오늘 본문 말씀 뒤에는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목숨을 위하여 무엇을 먹을까, 몸을 위하여 무엇을 입을까, 염려하지 마라. 목숨이 음식보다 중요하고, 몸이 옷보다 중요하다.” (22-23절) 우리의 목숨, 우리의 생명이 옷이나 음식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우리의 생명이 돈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톨스토이가 평생 자기 소설의 모티브로 삼은 것은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하는 질문이었습니다. 그가 제일 좋아했던 성경 구절이 마태복음 16:26에 있는 “사람이 만일 온 천하를 얻고도 제 목숨을 잃으면 무엇이 유익하리요?” 이 말씀이었습니다. 우리의 생명과 바꿀 수 있는 것은 없습니다. 생명은 천하보다도 귀한 것입니다. 그렇다면, 우리의 생명을 위하는 일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것 아닙니까? 아이러니하게도 우리의 생명을 위해서 투자하는 것이 없습니다. 

여러분, 요한복음 10장에 나오는 이 말씀을 아시지요? “내가 이 세상에 온 목적은 양들이 생명을 더욱 풍성히 얻게 하기 위해 왔다.” (요한복음 10:10) 이 말씀에서 우리의 눈길을 끄는 말씀은 “생명을 더욱 풍성하게 한다”는 말입니다. ‘풍성한생명’이라는 말을대부분의 영어 성경에는 ‘abundant life’라고 번역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풍성한 생명”이라는 말은 무슨 뜻일까요? 이에 대한 다양한 번역들이 있습니다. ‘satisfying life(만족한 삶, NLT)’ ‘life to the full or till it overflows(차고 넘치는 생명, Amplified Bible, NIV)’ ‘life with all its advantages(모든 이점을 가진 생명 혹은 삶, Mace New Testament)’ ‘life in all its fullness(충만한 삶, Berean Study Bible, Good News Translation)’ 이 모든 번역성경들을 종합해 보면 ‘풍성한 생명’이라는 말은 생명의 본래 의미가 완전히 드러나는 생명입니다. 예수님의 제자 요한은, 예수님께서 이 세상에 오신 목적은 우리에게 이 생명을 가르치고, 이 생명을 회복시켜 주는 것이었다고 그의 복음서에 기록했습니다. 그러므로, ‘풍성한 생명’을 얻기 위해서는 예수님을 믿는 외에 다른 길이 없다는 뜻이 이 말씀 속에 들어 있습니다. 

우리는 여기서 다시 한번 예수님께서 하신 말씀의 의미를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사람이 사는 것은 빵으로만 사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으로 사는 것이다.” (마태복음 4:4) 이 말씀은 예수님께서 구약성경 신명기 8:3 말씀을 인용하신 것입니다. 이어령 씨가 예수를 믿고 나서 쓴 책 중에 “빵만으로는 살 수 없다”라는 책이 있습니다. 그가 이렇게 말합니다. “빵만으로는 살 수 없다는 말은 완성된 문장처럼 보이지만 그 뒤가 비어 있습니다. 빵만으로 살 수 없다면 무엇으로 살아야 하는지 그 빈칸을 채워줘야만 합니다.” 옳은 말입니다. 사람이 빵만으로는 살 수 없다면, 무엇이 있어야 할까요? 성경 속에 답이 있습니다. 사람은 빵만으로 살 수 없고 하나님의 말씀이 있어야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기도해야 하는 이유를 잘 모릅니다. 많은 사람들이 왜 성경을 읽어야 하는지 잘 모릅니다. 이유를 모르기 때문에 기도하지 않고, 이유를 모르기 때문에 성경을 읽지 않습니다. 그런데, 오늘 말씀을 통해서 그 이유를 알게 되지 않았습니까? 우리의 생명이 풍성해지기 위해서입니다. 지금보다 더 풍성한 삶을 살기 위해서입니다. 지금 보다 더 가치 있고, 지금보다 더 아름답게 살 수 있기 위해서입니다. 

이번 사순절 기간이 우리의 삶을 돌아볼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우리 스스로에게 물어보십시오. 나는 더 풍성한 삶을 살기 위해서 무엇을 하고 있는가? 나는 지금 더 좋은 빵을 얻기 위해서 달려가고 있지 않은가? 내가 지금 ‘어리석은 부자’처럼, 그런 사람을 성공의 모델로 생각하고 그렇게 살고 있지 않은가? 우리가 지금 이렇게 살고 있습니다. 빵을 위해서는 아낌없이 투자하면서 생명을 위해서는 인색한 삶을 살고 있습니다.

우리의 생명이 만족하지 않으면 우리는 절대로 행복하지 않습니다. 반대로, 우리가 풍성한 생명을 누리게 되면, 비록 빵이 부족하고, 삶의 환경이 열악해도 얼마든지 행복하게 살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명을 위해서 나쁜 것은 버리고, 좋은 것을 선택하는 결단이 있기를 바랍니다. 그것이 여러분이 행복해지는 비결입니다. 


3/14/2021 |

사순절 새벽기도의 의미(4) The Meaning of the Lenten Prayer

누가복음 11:1-4

우리는 지금 사순절을 지내면서 몇 주에 걸쳐 기도에 대한 말씀을 나누고 있습니다. 성경에 있는 기도에 대한 말씀 중에 가장 충격적인 말씀은 로마서 8:26 말씀입니다. “성령께서는 우리의 약함을 도와 주십니다. 우리는 무엇을 기도해야 하는지도 모르지만, 성령께서는 말로 다 표현할 수 없는 간절함으로 우리를 위해 중보 기도를 하십니다(In the same way, the Spirit helps us in our weakness. We do not know what we ought to pray for, but the Spirit himself intercedes for us with groans that words cannot express).” 우리가 무엇을 위해서 기도해야 할지 모른다고 합니다. 여기에 두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하나는, 우리가 하나님의 뜻이 무엇인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기도라는 것이 원래 내 뜻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을 이루는 것인데, 하나님의 뜻이 무엇인지 모르니까 무엇을 위해 기도할지도 모르는 것입니다. 둘째로, 우리가 이기심을 가지고 기도하기 때문입니다. 기도를 한다고 하면서 모두 자기 좋을대로, 자기에게 유리할대로 기도합니다. 이런 기도는 필연적으로 기도의 본질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어떤 사람들은 교회에 안 나오는 것보다는 교회에 와서 졸더라도 교회에 나오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정말 그런지 한번 곰곰히 생각해 보세요. 예배는 하나님께 드리는 것이거든요? 하나님께 예배 드린다고 하면서 예배 중에 졸아요. 그래도 하나님께 괜찮을까요? 전 아무리 생각해 봐도 괜찮지 않을 것 같습니다. 기도는 어떻습니까? 비록 하나님의 뜻이 무엇인지 몰라도, 비록 좀 이기적으로 기도하더라도 안 하는 것보다는 낫다는 말에 동의하십니까? 어떻게 보면 맞는 말 같기도 합니다. 그러나, 한번 곰곰히 생각해 보세요. 기도는 하나님께 드리는 것인데, 그 기도가 하나님의 마음에 맞지 않습니다. 엄밀하게 말하면, 이것은 기도가 아닙니다. 열심히 기도했지만, 사실은 기도하지 않은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올바로 기도하는 법을 배워서 올바른 기도를 해야 합니다. 

오늘 본문 말씀은 세례 요한이 자기 제자들에게 기도를 가르쳐 주었다는 말씀으로 시작합니다. 요한의 제자들이 예수님의 제자들에게 우리 선생님이 기도를 가르쳐 주셨다고 자랑을 한 것 같습니다. 샘이 많은 예수님의 제자들이 예수님께 와서 우리도 기도를 가르쳐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예수님은 “그러면 너희는 이렇게 기도해라”하고 하시면서 기도를 가르쳐 주셨습니다. 이것이 유명한 ‘주기도문(The Lord’s Prayer)’입니다. 이 기도가 2,000년이 지난 지금까지 우리에게 전해오고 있습니다. 

우리는 ‘주기도문’을 생각할 때 이 기도가 예수 그리스도께서 직접 제자들에게 가르쳐 주신 기도라는 사실에 깜짝 놀라게 됩니다. 이 ‘주기도문’ 속에 제자들에 대한 사랑의 마음이 배어 있습니다. ‘주기도문’ 속에 자기 제자들이 하나님 앞에 견고한 믿음의 사람들로 세워지기를 소망하는 예수님의 마음이 들어 있습니다. 그리고, 예수님의 ‘주기도문’은 예수님께서 평소에 하시던 기도라는 생각이 듭니다. 예수님께서 성전에 가셨을 때나 혹은 한적한 곳에서 홀로 기도하셨을 때나, 심지어 그의 생애 마지막 날 저녁에 겟세마네 동산에서 기도하셨을 때, 이 기도를 하신 것입니다. 예수님은 자기가 하고 있던 기도를 제자들에게 가르쳐주신 것입니다. 그러니까 기도를 가르쳐 달라는 요청을 받고 바로 예수님께서 “그러면 이렇게 기도하라”고 하시면서 기도를 가르쳐 주셨습니다. 조금도 망설임이 없이 예수님의 입에서 기도가 줄줄 나왔습니다. 평상시에 이런 식으로 기도를 하신 것이 분명합니다. 

또 하나, 예수님은 “너희는 기도할 때 이렇게 하여라” 하고 말씀하셨는데, 사람들은 이 말씀이 무슨 뜻인지 잘 모르고 기도할 때마다 그냥 ‘주기도문’을 외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예수님께서 이렇게 기도하라고 하셨으니까 이렇게 기도한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것은 그런 뜻이 아니라, “Pray in this way(이같이 기도하라)” “Pray like this(이렇게 기도하라)” “In this manner, pray(이 같은 방식으로 기도하라)” “After this manner, pray(이같은 방식을 따라서 기도하라)” 이런 뜻입니다. 예수님께서 올바른 기도의 형식과 내용을 가르쳐 주신 것입니다. 기도할 때마다 이것과 똑같이 따라서 기도하라는 것이 아니라, 내가 가르쳐 주는 형식과 내용을 잘 보고 너희도 이런 식으로 기도하라고 하신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직접 자기 제자들에게 가르쳐 주신 기도가 어떤 기도인지 궁금하시지요?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예수님의 ‘주기도문’ 속에 우리의 삶의 모든 문제들이 들어 있다고 했습니다. 정말 그런 것 같습니다. 우리가 예수님께서 가르쳐 주신 기도의 형식과 내용을 따라서 기도하면, 우리의 삶의 모든 문제들을 빼놓지 않고 기도할 수 있습니다. 무엇을 기도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말하는 사람들은 ‘주기도문’을 잘 보고 기도를 배우면 됩니다. 그런 의미에서 ‘주기도문’은 기도의 ‘본(example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첫째로, 먼저 하나님을 찬양하는 기도를 하라고 하셨습니다. “아버지, 아버지의 이름이 거룩하게 여김을 받으소서(Father, hallowed be your name).” (2절) ‘주기도문’에 하나님을 찬양하는 기도가 제일 먼저 나옵니다. 아이들이 아빠에게 “아빠, 아빠가 세상에서 최고예요!” 이런 말을 하면 아빠는 기분이 좋습니다. 아이들은 그런 식으로 기도를 하는데, 어른들은 어떤 식으로 기도를 해야 하나요? 성경에서 한번 찾아 볼까요? “하나님 같으신 분은 없습니다.” (사무엘상 2:2, 시편 113:5, 예레미야 10:6, 미가 7:18) “세상에 그 어느 누구도 하나님과 비교할 수 없습니다.” (시편 35:10, 71:19, 이사야 40:18, 46:5) 여러분, 이런 찬양 가사를 아시지요? “당신과 같은 분은 없습니다/ 그 누구도 당신처럼 내 마음을 만져줄 수 없어요/ 나는 오랜 시간 영원한 것을 찾아다녔죠/ 그리고 찾아냈어요. 당신과 같은 분은 없다는 것을요(And I can search for all eternity long. And find, there is none like You).” 하나님께서 이 찬양을 얼마나 좋아하시겠습니까? 기도할 때 제일 먼저 하나님을 찬양하는 기도를 하는 것은 하나님과의 소통을 위해서 필수적인 것입니다.

둘째로, 하나님의 나라가 속히 임하기를 위해서 기도하라고 하셨습니다(2절).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기도는 우리가 잘 하지 않는 기도입니다. 하나님의 나라는 모든 선지자들이 꿈꾸던 것이었습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나라가 임하기를 위해서 기도하는 것은 선지자들의 꿈을 같이 꾸는 것입니다. 앨버트 헤이 말로테(Albert Hay Malotte, 1895-1964, 미국)가 작곡한 ‘주기도문’이라는 찬양은 모든 사람들이 좋아합니다. “하늘에 계신 아버지 이름 거룩하사 주님 나라 임하시고 뜻이 이루어지이다(Our father who art in heaven, hallowed be Thy name, Thy Kingdom come, Thy will be done on earth as it is in heaven).” 마음을 열고 하나님을 향해 이 기도를 올려 보십시오. 

예수님은 자기 제자들에게 하나님의 나라가 임하기를, 그리고 하나님의 뜻이 하늘에서 이루어진 것처럼 이 땅에서도 이루어지기를 위해서 기도하라고 하셨습니다. 이 기도를 하나님을 찬양하는 다음에 하라고 하셨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기도할 때마다 하나님의 나라가 어서 속히 임하기를 위해서 기도해야 합니다. 이사야도 그렇고, 하박국 선지자도 백성들에게 하나님의 나라가 임할 것이라는 비전을 제시했습니다. “물이 바다를 덮음 같이 여호와를 아는 지식이 세상에 충만할 것임이니라.” (이사야 11:9, 하박국 2:14) 어떻게 두 선지자가 똑 같이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비전을 제시할 수 있었을까요? 이사야는 하박국 선지자보다 100년 정도 앞선 선지자니까 하박국 선지자에게 영향을 주었을 것입니다. 우리는 선지자들이 제시한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비전을 품고, 또 예수님께서 이렇게 기도하라고 하신 말씀을 따라서 이 기도를 빼놓치 말고 해야 합니다,

셋째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을 위해서 기도하라고 하셨습니다. 우리는 이 기도를 제일 먼저합니다. 그런데 이 기도는 기도 순서에서 세 번째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놓치지 않아야 하는 것은, 이 ‘주기도문’ 속에 이기적인 욕심으로 기도하지 말라는 장치가 있다는 것입니다. 그것이 ‘날마다(everyday)’ 혹은 ‘일용할(daily)’이라는 말입니다. 구약 잠언에 이런 말이 나옵니다. “거머리에게 두 딸이 있는데, 그들은 만족을 모르고 ‘더 주세요, 더 주세요’ 한다.”(잠언 30:15) 이 말씀은 매우 풍자적인 말씀입니다. 결코 만족을 모르는 인간의 욕심과 욕망을 풍자적으로 표현한 말씀입니다.

하나님은 자기 백성들에게 ‘일용할 양식(daily bread)’으로 만족하라는 교육을 40년 간이나 시켰습니다. 하나님은 그날 자기 식구들이 먹을 만큼만 ‘만나’를 모으라고 하셨습니다. 더 많이 모아도 쓸모 없을 테니 꼭 그날 필요한 만큼만 모으라고 말씀하셨습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필요 이상으로 ‘만나’를 모았습니다. 내일에 대한 불안감에서 필요 이상으로 만나를 모은 것입니다. 하지만, 그렇게 모아들인 ‘만나’는 벌레가 생기고, 썩고, 냄새가 나서 먹을 수가 없었습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오늘 우리는 여전히 ‘일용할 양식’에 불안을 느끼면서 돈과 물질에 대한 욕심을 내려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넷째로, 용서에 대하여 기도하라고 하셨습니다. 그냥 용서를 구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우리에게 빚진 사람을 용서하오니, 우리의 죄를 용서하여 주소서(4절)” 이렇게 기도하라고 하셨습니다. 주님의 이 말씀은 우리 자신들을 돌아보게 합니다. 하나님께 용서를 구하는 사람들은 먼저 나와 관계된 사람들을 용서해야 용서를 구할 자격이 생긴다는 것입니다. 사도 바울은 예수님의 이 말씀을 적용해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하나님이 그리스도 안에서 여러분을 용서하신 것같이 서로를 용서하십시오.”(에베소서 4:32) 

하나님의 용서가 값싼 것이 아닙니다. 프랑스의 철학자 볼테르(Voltaire, 1694-1778, 프랑스)는 “용서는 하나님의 버릇이다”라는 말로 그 당시 교회를 비판했습니다. 잘못을 저지르고 하나님께 용서를 빌면 용서해 주신다는 그 당시의 풍조와 교회의 설교를 비판한 것으로 보입니다. 나를 용서하기 위한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은혜를 아는 사람, 그리고 다른 사람에게 용서의 은혜를 갚을 줄 아는 사람이 하나님께 용서를 받습니다. 예수님께서 가르쳐 주신 이 기도를 당장에 여러분의 삶에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시험에 빠지지 않기를 위해서 기도하라(And pray lead us not into temptation)”고 하셨습니다. 예수님께서 마지막 날 저녁에 제자들에게 부탁하신 말씀이 생각납니다. “시험에 빠지지 않도록 기도하여라.”(Pray that you will not give in to temptation, 누가복음 22:40) 예수님께서 시험에 빠지지 않도록 기도하라고 말씀하신 이유는 이 시험의 문제가 우리에게 너무나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잘못 시험에 빠지면  크리스천으로서 큰 상처를 입을 뿐만 아니라 자칫 우리 인생이 파멸될 수도 있습니다. 

예수님께서 시험에 빠지지 않도록 기도하라고 말씀하신 또 다른 이유는 우리에게 시험을 이길 능력이 없기 때문입니다. “주님은 시험받는 자들도 도와 주실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예수님께서 직접 고난당하고 시험을 받으셨기 때문입니다.” (히브리서 2:18) 이 말씀이 Christian Standard Bible에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For since he himself has suffered when he was tempted, he is able to help those who are tempted.” 예수님은 시험 받는 사람들의 고통이 어떤 것인지 압니다. 시험을 이기신 예수님은(히브리서 4:15), 시험 받는 사람들을 도와 주실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감당하지 못할 시험 당함을 허락하지 아니하시고 시험 당할 때에 또한 피할 길을 내신다(고린도전서 10:13)”고 하셨습니다. 힘든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에게 이 말씀처럼 위로가 되는 말씀이 없습니다. 하지만, 누구에게나 그 ‘피할 길(the way of escape)’이 보이는 것이 아닙니다. 시험에 빠지지 않도록 하나님께 기도하는 사람에게 이 ‘피할 길’이 보입니다. 기도가 그런 것입니다. 기도는 우리 믿음생활을 아름답게 장식해 주는 액세서리가 아닙니다. 이 말씀을 한번 보세요. “Prayer is the vital breath of the Christian; not the thing that makes him alive, but the evidence that he is alive(기도는 크리스천의 생명의 호흡입니다. 크리스천을 살리는 것이 아니라 크리스천이 살아있다는 증거입니다).” 오스왈드 체임버스 목사님의 말입니다. 이번 사순절 새벽기도가 올바른 기도에 눈을 뜨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