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1/2021 | 그러면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4)

선한 영향력을 끼치는 사람으로(2) To Live As Influential People For Good

마태복음 5:13-16

“그러면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우리는 계속해서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야 합니다. 그만큼 지금 우리는 엄청난 시대적인 책임과 사명 앞에 서 있습니다. 바울이 말한대로 지금은 밤이 깊고 ‘새 시대’의 새벽이 동터오는 때입니다. 그러므로 지금은 어둠의 행실을 벗어 버리고, 빛의 갑옷을 입어야 하는 때입니다(로마서 13:12). 바울은 빛의 갑옷을 입으라는 말 대신 주 예수 그리스도를 옷 입으라는 말을 사용하기도 했습니다(로마서 13:14). 그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이 전파된 세상을 ‘새 시대’라고 보았습니다. 이 ‘새 시대’를 살아야 할 사람들은 ‘새 시대’에 걸맞은 삶을 살아야 하는데, 그것은 빛의 갑옷을 입는 삶이고, 예수 그리스도를 옷 입는 삶이라고 했습니다. 그리고 구체적으로는 어둠의 행실을 벗어 버리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지금까지 살아왔던 잘못된 삶의 방식을 버리고 마치 헌 옷을 벗고 새 옷으로 갈아 입듯이, ‘새 시대’를 살아갈 사람들은 예수 그리스도를 옷 입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이것은 부끄러운 어둠의 생활을 청산하고 빛으로 걸어 나오는 삶이고, 질서 없고 문란했던 생활을 청산하고 단정하고 규모 있는 새로운 방식의 삶을 선택하는 용기와 결단이 요구되는 삶이라고 했습니다.  

오늘 마태복음 5장 본문 말씀에서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너희는 이 세상의 소금이다. 너희는 이 세상의 빛이다” 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소금과 빛이 제자의 삶과 무슨 관계가 있을까요? 직접적인 관계는 없습니다. 예수님은 소금과 빛을 일종의 ‘수사적(修辭的)인 표현(a figure of speech)’으로 사용하셨습니다. 예수님께서 소금과 빛이 가지고 있는 의미와 상징성을 제자들의 삶에 비유해서 말씀하신 것입니다. 알려진 대로 예수님은 언어의 천재라고 할 만큼 뛰어난 수사법을 구사하셨습니다. 특히 예수님께서 자주 사용하신 ‘비유(比喩, parables)’는 다른 곳에서는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장르로 알려져 있습니다.

존 스토트(John Stott, 1921-2011, 영국)라는 목사님이 이런 말을 했습니다. “We should not ask ‘What is wrong with the world?’ for that diagnosis has already given. Rather we should ask, ‘What has happened to salt and light(우리는 이미 진단이 내려진 ‘이 세상이 어디가 잘못되었습니까?’ 하는 질문을 하지 않아야 합니다. 그대신 우리는 ‘소금과 빛에 무슨 일이 생겼습니까?’ 하고 물어야 합니다).’” 문제의 본질을 꿰뚫는 말씀입니다. 지금까지 마태복음 5장에 나오는 ‘소금과 빛’에 대한 말씀을 한 번도 이런 식으로 해석하지 않았습니다. 마치 유체이탈식(幽體離脫式) 화법을 사용해서, 나는 쏙 빼놓고 세상이 어디가, 어떻게 잘못되었는지 분석하기에 바빴습니다. 그리고 예수님의 제자들이 세상에 들어가 세상을 고쳐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존 스토트 목사님의 말은 그것이 아니잖습니까? 세상에 대한 분석은 더 이상 할 것이 없다는 것입니다. 이 세상은 하나님을 거부하는 세상이 되었고,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방향으로 가고 있지 않다는 진단이 이미 내려진 마당에, 더 이상 세상에 대해서 분석할 것이 없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분석해야 할 것은 왜 크리스천들이, 왜 예수님의 제자들이 세상에서 소금과 빛으로 살지 못하는지, 도대체 크리스천들에게 무슨 일이 생겼는지 분석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여러분들도 그렇게 생각하십니까? 도대체 크리스천들에게, 예수님의 제자들에게 무슨 일이 생겼길래 소금으로서, 빛으로서 기능을 상실하게 된 것일까요? 이 엄청난 질문에 대한 답을 한 두마디로 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하지만, 이 질문은 우리 자신들에 대한 질문이기 때문에 우리 스스로를 반성해 보면 그 이유를 잘 알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가장 큰 문제는 우리에게 이 시대 속에서 끊임없이 자기 정체성을 파악하는 노력과 반성이 부족했습니다. 많은 경우에 교회를 나가는 크리스천들은 자기들은 구원받은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교회 밖에 있는 사람들은 구원받지 못한 사람들이라고 생각합니다. 교회의 사명은 교회 밖의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파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 한국에서 문제가 된 교회와 선교 단체들을 보십시오. 코로나바이러스가 퍼지기 시작할 때 그 중심에 신천지 교회들이 있었습니다. 이 사람들이 중국에서 감염균을 가지고 들어온 것입니다. 그리고 그들은 방역에 협조하지 않았습니다. 불행하게도 한국의 방역 시스템을 무너뜨린 중심에 교회들이 있었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의 감염에 대한 경고가 내려진 상태에서도 광화문 광장에 수십만이 모여 정부를 규탄하는 집회를 했습니다. 이해할 수 없는 것은 이런 집회를 법원에서 허가를 내준 것입니다. 많은 감염자가 나오고 방역 당국의 지시를 거부했던 사랑제일교회는 교회가 폐쇄되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BTJ’라는 선교 센터가 당국의 권고를 무시하고 몰래 대규모 모임을 했습니다. 그들의 말에 의하면 1,000명이 모여 1박 2일동안 선교 강의를 들었다고 합니다. 도시락도 나누어 먹고요. 하지만 여기서 감염자가 무더기로 나와 방역 시스템을 무너뜨리더니, 또 다시 ‘TCS 국제학교’ ‘IEM 국제학교’ 등에서 무더기로 감염자들이 나왔습니다. 모두 개신교 선교 단체들이 운영하는 비인가 학교들이라고 합니다. 

이 사람들이 모여서 한 일이 무엇입니까? 선교 훈련을 받았다고 하잖아요? 왜 이런 시국에 선교 훈련을 받습니까? 복음을 듣지 못한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하기 위해서 훈련을 받은 것 입니다. 이 사람들이 하는 주장에 아무 문제가 없어 보입니다. 하지만 잘 생각해 보세요. 이 사람들의 생각 속에는 구원받은 우리가 구원받지 못한 죄인들에게 복음을 전해야 한다는 생각이 종교적인 도그마(religious dogma)로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그 자신들이 죄인들이라는 사실은 쉽게 간과하고 있습니다. 그들의 삶이 소금과 빛으로서의 정체성을 상실하고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들의 그런 행위로 말미암아 감염자들이 속출하는데도 행선지를 감추고, 전화를 받지 않고, 방역 당국과 연락을 끊고, 방역을 혼란에 빠뜨리면서, 그들은 지금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요? 정부가 교회를 핍박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지 않을까요? 그들의 그런 행위 때문에 수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생각하지 않는 것일까요? 교회에 대한 사회의 비난이 거세지자 기독교 단체들이 사과 성명을 냈습니다. “이웃 생명의 안전을 외면한 채 자신들의 신앙 양태만 고집하는 교회를 어떻게 예수를 따르는 제자 공동체라고 말할 수 없다.” “세상으로부터 외면당한 채 섬처럼 떠도는 교회는 선교적 존재 가치를 상실한 교회로 더는 세상의 소금과 빛의 역할을 할 수 없다.” 과연 기독교 단체들이 낸 사과 성명서 하나로 일부 잘못된 교회들의 행동을 바로잡을 수 있을까요?

이 도표를 한번 보십시오. 왼쪽 파란 원에는 ‘소금’이라는 크리스천의 정체성에 대한 내용이 적혀 있습니다. 오른쪽 갈색으로 칠한 원에는 ‘빛’이라는 크리스천의 정체성에 대한 내용이 적혀 있습니다. 그리고 가운데 두 원이 겹쳐지는 곳에 “이와 같이 사람들이 너희의 선한 행동을 보고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여라(16절)”는 말씀이 적혀 있습니다. 크리스천이 세상에서 소금의 정체성을 가지고 살고, 세상에서 빛으로 살아야 하는 이유는, 세상 사람들이 그리스도의 제자들의 선한 삶을 보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하려는 것입니다. 빌리 그래함(Billy Graham, 1918-2018) 목사님이 이런 말을 했습니다. “Salt and light speak of the influence Christians can exercise for good in society(소금과 빛은 크리스천이 사회에서 선한 활동을 해야 한다는 영향력을 말합니다).”

세상에 선한 영향력을 끼치는 일은 우리의 의도와 생각대로 되는 일이 아닙니다. 우리가 먼저 소금의 역할을 제대로 해야만 되는 일입니다. 그렇다면 예수님은 무슨 생각으로 그의 제자들을 소금에 비유했을까요? 아마도 예수님은 이런 생각을 하시면서 제자들을 소금에 비유하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마가복음 9:50 말씀을 한번 보세요. “소금은 좋은 것이다. 그러나 만일 소금이 짠맛을 잃으면 무엇으로 다시 짜게 하겠느냐? 서로가 소금을 지니고 화목하게 지내라.” New Living Translation에 이 말씀이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Salt is good for seasoning. But if it loses its flavor, how do you make it salty again? You must have the qualities of salt among yourselves and live in peace with each other(소금은 맛을 내는데 중요한 것이다. 그런데 소금이 그 맛을 잃으면 어떻게 그 소금을 다시 짜게 할 수 있겠느냐? 너희들은 서로 소금의 질을 유지하고 서로 평화롭게 살아야 한다).” 또 다른 번역성경을 보면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Salt is good and useful; but if salt has lost its saltiness (purpose), how will you make it salty? Have salt within yourselves continually, and be at peace with one another(소금은 좋은 것이다. 하지만, 만약 소금이 그의 짠맛, 목적을 잃어버린다면 어떻게 다시 짜게 할 수 있겠느냐? 계속해서 소금을 가지고 다른 사람들과 평화롭게 지내야 한다).” (Amplified Bible) 예수님께서 말씀하시는 것은 제자들이 계속해서 소금의 질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어느 한 순간이라도 소금의 질을 유지하지 않으면 제자의 삶을 온전하게 살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와 함께 소금에 대한 구약성경의 배경을 알아보는 것도 예수님의 말씀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배경을 구약성경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민수기 18:19에 있는 말씀을 보십시오. “이스라엘 백성이 거룩한 예물로 드리는 것을 나 여호와가 너와 네 아들들과 딸들에게 주리니, 그것은 영원히 너희의 몫이다. 이것은 너와 네 자손을 위해 여호와 앞에서 대대로 지켜야 할 변치 않는 소금 언약이니라(It is a covenant of salt forever before the LORD with you).” ‘소금 언약(covenant of salt)’이라는 것은 소금이 변질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과 같이 변하지 않는 약속이라는 뜻입니다. 하나님께서 레위 지파에게 하신 약속은 영원히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말씀하신 것입니다.

그렇다면, 예수님께서 자기 제자들에게 “너희는 이 세상의 소금이다” 이렇게 말씀하셨을 때  그 의미가 무엇이겠습니까? “너희는 세상 속에서 나의 제자로서 영원히 변하지 않는 나에 대한 충성심(allegiance)을 계속 가지고 살아야 한다. 이것이 너희들의 정체성이다.” 이런 뜻입니다. 예수님은 이렇게 말씀하심으로써 소금을 제자직과 연결시켜 말씀하고 계십니다. “이와 같이 너희 가운데 누구든지 가지고 있는 모든 것을 버리지 않으면, 내 제자가 될 수 없다. 소금은 좋은 것이지만 만일 그 맛을 잃어버리면 무엇으로 다시 짠맛을 내겠느냐?” (누가복음 13:34-35) 이 말씀에서 예수님은 그리스도의 제자로서 모든 것을 버리지 않는 것은 곧 소금으로서 맛을 잃어버린 것과 같다고 하셨습니다. 좀 전에 보았던 도표 왼쪽에 이렇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Covenant obedience to the whole law as Jesus preached it(예수님께서 말씀하신 대로 전체 율법에 대한 언약적인 순종)’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언약적인 순종. 이것이 크리스천의 정체성입니다. 많은 교회들이 실패하고, 많은 크리스천들이 실패한 것은 내가 세상에서 이렇게 살아야 한다는 정체성에 대한 생각과 반성은 하지 않고, 다른 사람들을 구원해야 한다는 생각에만 사로잡혀 있었던 것입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사태에서도 ‘BTJ’라는 선교 단체를 통해 선교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 모두 그런 생각을 하고 있지 않았을까요? 

“너희는 세상의 빛이라”고 말씀하신 예수님의 말씀은 어떻습니까? 어둠 속에서는 사물을 제대로 분간할 수 없습니다. 어둠에 대한 영적인 의미는 무엇이 옳고 그른지, 선과 악을 제대로 분별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어둠 속에 있는 사람은 본능적으로 빛을 찾게 되어 있습니다. 좀 전에 보았던 도표 오른쪽 원에 ‘The personal character of the beatitudes shaped in the light of the cross(십자가의 빛에서 형성된 축복에 대한 개인적인 성격)’ 이렇게 적혀 있습니다. 이 말은 크리스천으로서 올바른 가치관을 가지고 세상을 어떻게 살고 있는지 그 축복된 삶을 크리스천 각자 각자가 세상 사람들에게 보여주라는 것입니다. 우리는 이 일에 실패한 것입니다. 우리 자신들이 세상에 동화(同化)되어 맛을 잃은 소금이 되고 말았는데 이에 대한 반성 없이 다른 사람들을 구원하는 일에 매달린 것입니다. 지금까지 교회가 해 온 선교사역을 보면 모두 그렇습니다. 물론 이렇게 해서 일부 성과를 거둔 것도 있습니다. 예수님은 맛을 잃은 소금은 밖에 버려지게 되고, 사람들이 밟고 다닌다(13절)고 하셨는데, 지금의 상황이 꼭 그렇습니다.

문제는 지금 우리 앞에 놓여 있는 이 시대는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는, 문명사적 대전환을 가져오는 시대라는 것입니다. 이 때 우리 크리스천들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겠습니까? 이제는 큰 교회, 많은 교인수가 중요한 시대가 아닙니다. 우리 교회가 얼마나 많은 선교를 하고 있는지, 교회의 예산이 얼마나 많은지가 중요한 시대가 아닙니다. 교회들이 정말 정신을 차려서 세상에서 소금으로 살아갈 사람들을 양육해야 하고, 세상에서 빛으로 살아갈 사람들을 길러내야 합니다. 그래서 크리스천들이 세상에 선한 영향력을 끼쳐야 합니다. 

성급하게 크리스천들이 세상을 썩지 않도록, 타락하지 않도록, 부패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고 말해서는 안 됩니다. 지금까지 그렇게 말해왔습니다. 이제는 우리가 먼저 소금으로서 맛을 내는 사람이 되는 일에 집중해야 합니다. 성급하게 크리스천이 어두운 세상을 밝혀야 한다고 말해서는 안 됩니다. 지금까지 그렇게 말해왔습니다. 이제는 우리 자신들을 성찰해야 하는 때입니다. “나는 그리스도의 복음을 제대로 알고 있는가?” “나는 복음에 충실한 삶을 살고 있는가?” “나는 세상에 크리스천의 삶의 가치를 올바로 보여주고 있는가?” 이 질문에 대하여 우리는 대답해야 합니다. 누군가가 이렇게 말했습니다. “We are not called to shine our own light, we are called to reflect His(우리는 우리 자신들의 빛을 비추라고 부름 받은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빛을 반사하라고 부름을 받은 것이다).” 


1/24/2021 | 그러면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3)

선한 영향력을 끼치는 사람으로(1) To Live As Influential People For Good

로마서 12:1-2

여러분, 이런 노래 가사를 아시는지 모르겠습니다. “흐르는 강물을 거꾸로 거슬러 오르는 연어들의 도무지 알 수 없는 그들만의 신비한 이유처럼 그 언제서부터인가 걸어 걸어 걸어오는 이 길 앞으로 얼마나 더 많이 가야만 하는지” 강산에라는 가수가 부른 ‘거꾸로 강을 거슬러 오르는 저 힘찬 연어들처럼’의 가사입니다.

연어는 신기하게도 자기가 태어난 고향에서 산란하기 위해 강을 거슬러 올라간다고 합니다. 이를 ‘회귀본능(回歸本能)’이라고 합니다. 연어를 양식장에서 양식하는 사람들의 말을 들으면 연어는 다른 물고기들과는 달리 평소에도 하루에 몇 번씩이나 물 위를 뛰어오른다고 합니다. 그래서 왜 저 연어가 저렇게 물 위를 뛰어오르는지 알아봤더니 연어의 몸에 ‘sea lice(바다 이)’가 기생하고 있는데, 이게 연어를 고통스럽게 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 ‘바다 이’를 몸에서 떼어내려고 물 위를 뛰어오른답니다. 저는 그 기사를 읽으면서 “아니, 그 말도 일리는 있지만, 연어가 저렇게 평소에도 물 위를 뛰어오르는 연습을 하는 것은 고향으로 돌아갈 때를 기다리면서 폭포를 거슬러올라갈 수 있을 만큼 꼬리의 힘을 기르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연어는 강에서 태어나 약 6개월 정도를 자기가 태어난 곳에서 자란다고 합니다, 그 때 고향의 물맛과 냄새를 기억한다고 합니다. 산란기가 되어 고향을 찾아올 때 자기가 태어난 고향의 물맛과 냄새의 기억을 되살려 돌아온다고 합니다. 물론 다른 학설도 있습니다. 지구의 미세한 자기장(磁氣場)을 감지하여 되돌아온다는 학설이 있습니다. 이 학설은 연어의 몸 속에 자기를 띤 물질이 발견되기 때문에 나온 학설이라고 합니다. 연어들이 이동한 경로 주변의 자기장의 세기가 연어들이 태어난 강의 자기장 세기와 정확하게 일치한다는 것입니다. 연어들이 고향의 자기장 세기에 대한 기억을 더듬어 이와 유사한 곳을 찾아 거슬러 간다는 것입니다. 

암컷 연어는 산란 시기인 9-11월이 되면 더 이상 먹이를 먹지 않고 자기가 태어난 고향의 강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여정(旅程)을 시작한다고 합니다. 가는 도중에 온갖 장애물들을 만나게 되고, 때로는 폭포를 거슬러 올라가기도 하면서 온갖 위험을 만난다고 합니다. 이렇게 고향의 강물로 돌아온 연어들은 오느라고 너무 힘들어서 살도 빠지고, 몸에는 상처투성이가 된다고 합니다. 한번 이 사진을 보시지요. 이런 위험을 뚫고 자기가 태어난 고향의 강으로 돌아온 암컷 연어는 알을 낳고, 수컷 연어는 수정을 합니다. 이렇게 산란을 마치면 연어는 일생을 마치고 죽는다고 합니다. 

연어에 대한 이런 생각을 하게 된 이유는 오늘 본문 말씀에 ‘너희는 이 세상을 본받지 말고(2절)’라는 말씀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세상을 ‘흐름’이라는 말로 표현할 때가 많습니다. 거리를 달리는 자동차도 트래픽 ‘흐름’이 있습니다. 이 ‘흐름’을 따라 운전을 해야 안전합니다. 세상도 ‘흐름’을 따라 살면 안전합니다. 영어로 ‘flow’ ‘stream’ ‘current’라는 단어들이 모두 강물의 ‘흐름’과 관계된 단어들입니다. New Living Translation에는 ‘customs(풍습)’이라는 말을 썼습니다. ‘유행(fashion)’이라는 말입니다. 그 때 그 때마다 유행의 트렌드가 있습니다. 이 트렌드를 따라하면 안전합니다. 

그런데, 오늘 로마서 본문 말씀을 보면, 시대의 ‘흐름’을 따라 살지 말고 시대를 거슬러 살라고 합니다. “이 시대를 본받지 말라”는 말씀이 그 말씀입니다. 연어가 자기가 태어난 고향의 강을 찾아 거슬러올라가듯이, 크리스천의 삶은 때로는 시대를 거슬러올라가는 용기 있는 삶이라는 것이지요. 왜냐하면 시대의 흐름이 항상 하나님께 원하시는 방향과 일치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팬데믹 이후의 시대에, 과학과 테크놀로지의 발달은 거부할 수 없는 ‘흐름’이 될 것입니다. ‘호모 데우스(Homo Deus)’가 된 인간이 잘못하면 ‘악마적인 힘’을 가질 가능성이 많습니다. 이미 전문가들은 수많은 문제들이 나올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실직(失職) 문제가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될 것입니다. 어떤 전문가는 걱정할 것 없다고 하더라고요. 앞으로 없어질 직업도 있겠지만 새로 생기는 직업도 있을 테니 걱정할 것 없다고 하는데요. 과연 걱정할 필요가 없을까요? 그리고, AI가 생활 속에 깊이 들어오게 되면 필연적으로 인간관계가 파괴될 것이 분명합니다. 사람을 상대라는 대신 AI를 상대하는 시간이 더 많아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올 비인간화(非人間化) 문제와 윤리적인 문제들이 심각한 문제가 될 것입니다. 이런 문제들은 누가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요?

예수님께서 “좁은 문으로 들어가거라. 멸망으로 가는 문은 넓고 그 길이 쉬워, 많은 사람들이 그 곳으로 들어간다. 그러나 생명으로 가는 문은 작고 그 길이 매우 좁아, 그 곳을 찾는 사람이 적다(마태복음 7:13-14)”고 말씀하셨을 때, 많은 사람이 다니는 넓고 쉬운 길이 무슨 길이겠습니까? 시대의 흐름 속에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의 방식을 말씀하신 것 아니겠습니까? 그러면, 사람들이 다니지 않는 좁은 길로 들어가라는 말씀은 무슨 말씀입니까? 생각 없이 살지 말고, 시대에 대한 비판적인 안목을 가지고 살라는 말씀 아닙니까? 시대가 흘러가는 대로 살지 말고 시대가 잘못된 방향으로 나가고 있다고 생각할 때는 그 시대를 거슬러올라갈 수 있는 용기를 가지고 살라는 말씀 아닙니까?

제가 신학대학를 졸업하고, 앞으로의 생각도 정리할 겸 강원도 황지에 있는 예수원에 들어가서 20일 정도 생활한 적이 있었습니다. 거기에 머물고 있는 사람들과 공동체 생활을 하면서, 낮에는 밭에 나가서 일을 하고, 같이 모여 중보기도를 하고, 남는 시간에는 성경을 읽었습니다. 그 때 제가 공동번역 성경을 들고 들어갔었거든요? 그 때 읽었던 성경 말씀 중에 예레미야 15:19 말씀이 생각납니다. 사람들의 비난을 받고 낙심해 있는 예레미야에게 하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네가 다시 나에게 돌아온다면 나는 너를 나의 대변자로 세우겠다. 백성이 너에게 돌아와야지 네가 백성에게 돌아가서는 안 된다(If you return to me, I will restore you so you can continue to serve me. If you speak good words rather than worthless ones, you will be my spokesman. You must influence them; do not let them influence you!).” 저는 그 때 이 말씀을 읽으면서 개역성경에서는 느낄 수 없었던 말씀의 명료함에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이 말씀 속에서 앞으로 목회자로 살아갈 저의 삶에 대한 생각도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다가오는 시대를 살아가는 크리스천들에게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큰 책임이 주어집니다. 그 책임은 세상에 선한 영향력을 끼치는 삶을 살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세상의 ‘흐름’에 몸을 맡기고 사는 크리스천이 아니라, 세상을 거슬러올라가는 크리스천의 삶을 살아야 한다는 책임이 주어집니다. 다른 말로 하면, 우리가 세상으로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세상이 우리에게 돌아오도록 해야 하는 책임이 주어집니다.  

이런 시대적인 크리스천의 책임에 대하여 오늘 읽은 로마서 본문 말씀이 영감(靈感)을 줍니다. 이것이 시대를 초월하는 하나님의 말씀이 가지고 있는 능력입니다. 성경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우리가 세상에서 선한 영향력을 가지고 살기 위해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마음을 새롭게 하여 변화를 받는 것입니다. 공동번역 성경에는 “마음을 새롭게 하여 새 사람이 되라”고 되어 있습니다. 지난 주 설교에서 말씀드렸습니다. 사람은 자기 힘으로 새 사람이 되는 것이 아니라, 위에서부터 받는 하나님의 은혜가 있어야 한다고요. New Living Translation에 이 말씀이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Let God transform you into a new person by changing the way you think(하나님께서 당신의 생각하는 방식을 바꿔서 당신을 새로운 사람으로 변화 키시도록 하십시오).”

하나님께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사람을 새 사람으로 변화시키는 것은, 하나님의 창조의 능력 때문입니다. ‘새 사람’이 되는 것은 마치 하나님께서 세상을 창조하시는 것과 같은 창조입니다. 시편 51편에 있는 다윗의 고백을 들어보십시오. “하나님이여, 내 속에 정한 마음을 창조하시고 내 안에 정직한 영을 새롭게 하소서.” (시편 51:10) “Create in me a pure heart, O God, and renew a steadfast spirit within me.”(NIV) 이 말씀에 ‘그리스도 안에서’ 이런 말씀은 나오지 않습니다. 그대신 “하나님께서 세상을 창조하듯이 내 안에 깨끗하고 순순한 마음을 창조해 주십시오” 이렇게 되어 있습니다. 다윗은 자기 자신이 아무리 새롭게 되려고 해도 새로워질 수 없는 자신의 한계를 잘 알고 있었습니다. 오직 하나님만이 나를 새 사람으로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여러분, 시편 51편은 다윗이 우리야의 아내 밧세바를 범한 후에 하나님 앞에서 회개의 고백을 한 시편 아닙니까?

여기서 이런 질문을 할 수 있습니다. “왜 우리가 꼭 새 사람으로 변화되어야 합니까?” 바울은 이 질문에 이렇게 대답하고 있습니다. “새 사람이 되어야 비로소 우리는 무엇이 하느님의 뜻인지, 무엇이 선하고, 무엇이 그분 마음에 들며, 무엇이 완전한 하나님의 뜻인지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2절) 구약 예레미야에 있는 말씀입니다. “만물보다 악하고 부패한 것이 사람의 마음이다. 아무도 그 속을 알 수가 없다(The human heart is the most deceitful of all things, and desperately wicked. Who really knows how bad it is?).”(예레미야 17:9) 네 속에 있는 네 마음은 다른 무엇들보다 더 썩었다는 것 아닙니까? 예수를 믿고, 교회를 다니는 사람들도 크게 다른 것 같지 않습니다. 여전히 ‘옛 사람(the old sinful nature)’이 우리를 지배하고 있습니다. 성경에는 “옛 사람을 벗어버리고 새 사람을 입으라(에베소서 4:22-24)”고 나와 있지만, 여전히 우리는 ‘옛 사람’을 벗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런 우리가 어떻게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뜻을 온전히 분별할 수 있겠습니까?

그러므로, 우리는 다른 무엇보다 먼저 ‘새 사람’이 되는 일에 전심을 기울여야 합니다. 거듭나게 하시는 하나님의 은혜를 간절하게 구해야 합니다. 신기한 것은 성경을 알아가면 알아갈수록 인간의 선함을 믿을 수가 없기 됩니다. 인간의 선함 속에는 항상 악한 모습들이 감춰 있고, 이기적인 모습들이 숨겨 있는 것을 알게 되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세상에 선한 영향력을 끼치는 문제도 그렇습니다. 우리의 마음만 가지고 되는 일이 아닙니다. 하나님의 뜻을 올바로 분별해야 세상에 선한 영향력을 끼질 수 있습니다. 

끝으로, 바울은 ‘영적 예배’에 대한 말씀을 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새 사람’이 사는 방식이 곧 ‘영적 예배’이기 때문입니다. 한마디로 ‘영적인 예배’는 ‘새 사람’이 드리는 예배입니다. 동물을 잡아 피를 하나님께 바치거나, 동물을 불에 태워 그 연기를 하나님께 바치는 종교적인 행위는 진정한 예배가 될 수 없습니다. 예배자가 자기의 진심을 드리지 않고 형식적으로 드리는 예배는 진정한 예배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진정한 예배는 예배자 자신을 하나님께 드리는(offer) 예배입니다. 바울은 이것을 하나님께서 받으시는 ‘살아 있는 거룩한 제물(a living and holy sacrifice)’이라고 했습니다. 우리가 이런 말을 합니다. “주님, 이 모습 이대로 저를 받아주십시오!” 하지만, 하나님은 절대로 지금 있는 모습 그래도 우리를 받아 주지 않습니다. 이 모습 이대로가 아니라 변화된 우리를 하나님께 드려야 합니다. 우리가 회개를 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하나님께 변화된 우리를 드리기 위해서입니다.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예수님을 믿어서 흠 없는 우리를 하나님께 드리기 위해서입니다. 이 말씀을 한번 보십시오. “하나님께서 나를 이방인을 위한 그리스도 예수의 일꾼이 되게 하셨습니다. 나는 이방인들이 성령으로 거룩하여져서, 하나님께서 받으실 만한 제물이 되도록 하기 위해, 하나님의 복음을 전하는 제사장의 직무를 담당하였습니다. 나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님을 섬긴 일을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로마서 15:16-17) NLT 성경에 이 말씀이 “I bring you the Good News so that I might present you as an acceptable offering to God, made holy by the Holy Spirit”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이 설교를 듣는 분들 중에 그렇다면 ‘새 사람’이 되는 일이 쉽지 않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이 말씀을 한번 보세요. 우리 속에는 이미 하나님을 생각하는 DNA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God has made everything beautiful for its own time. He has planted eternity in the human heart(하나님은 모든 것이 그의 시간에 아름다워지도록 만드셨습니다. 하나님은 인간의 마음 속에 영원을 심어 놓았습니다).”(전도서 3:11) ‘영원을 심어 놓았다(has planted or has set eternity)’는 말씀이 재미있지 않습니까? 마치 연어가 때가 되면 자기가 태어난 강의 물맛과 냄새를 기억하고 강을 거슬러 올라오듯이, 인간의 마음 속에는 하나님에 대한 기억이 있습니다. 지금은 죄 때문에 하나님께 대한 기억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는 것뿐입니다.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은혜로 ‘새 사람’이 되면 우리는 잊어버렸던 하나님에 대한 기억을 되찾게 될 것입니다.

세상을 본받지 않고, 변화를 받아 ‘새 사람’이 되어서 세상 속에서 하나님의 뜻을 올바로 분별하고, 세상에 선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사람, 때로는 세상을 거슬러올라갈 수 있는 용기 있는 사람, 이 사람이 하나님께서 받으실 만한 ‘영적 예배자’입니다. 특히 팬데믹 이후를 살아갈 크리스천은 ‘영적 예배자’로 살아야 합니다. 매일의 삶이 곧 예배가 되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이런 사람이 살아가는 삶의 현장이 영적인 예배의 장소입니다. 앞으로의 시대는 우리에게 이렇게 살아야 한다는 많은 책임을 요구합니다. 우리는 이 책임을 감당해야 합니다.

 

 


1/17/2021 | 그러면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2)

새로운 사람으로 To Live As A New Person

고린도후서 5: 14-20

성경에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 “너희가 서쪽에서부터 구름이 이는 것을 볼 때, 비가 곧 오겠다고 말하면 그대로 된다. 너희가 남풍이 부는 것을 보고 날이 덥겠다고 말하면, 그대로 된다. 위선자들아! 너희가 땅과 하늘의 날씨는 분별할 줄 알면서 왜 이 시대는 분별할 줄 모르느냐?” 누가복음 12:54-56에 있는 말씀입니다. 저는 이 말씀을 읽으면서 “왜 예수님께서 자기 시대 사람들에게 ‘위선자’라고 말씀하셨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본래 ‘위선자’라는 말은 가면을 쓰고 연기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무대에 올라간 연극 배우들이 자기가 맡은 역할대로 연기합니다. 그렇다면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것은 너희가 날씨를 분별하는 것처럼 너희가 원한다면 얼마든지 이 시대를 분별할 수 있을 텐데, 마치 시대를 분별할 줄 모르는 사람들처럼 연기를 하면서 살아간다는 뜻이 아닐까 하고 생각해 보았습니다. 

2000년 전 예수님이 사시던 시대는 위기(危機)의 시대였습니다. 그냥 아무 생각 없이 살아도 괜찮은 때가 아니었습니다. 하나님께서 세상을 구원하기 위해 그 아들을 보내주셨습니다. 그 아들을 영접하는 사람은 구원을 얻고 영접하지 않는 사람은 구원을 받지 못하는 위기의 때였습니다. 그리고 멀지 않아 조국이 멸망하는, 조국의 운명이 풍전등화와 같은 위기에 놓여 있는 때였습니다. 이런 위기의 시대를 몸으로 느끼신 예수님은 사람들에게 왜 날씨는 잘 분별하면서 위기 속에 빠져 있는 이 시대는 보지 못하느냐고 책망하신 것입니다.

그로부터 2,000년이 지난 지금, 우리는 다시 이 시대를 올바로 분별해야 한다는 요청을 받고있습니다. 유발 하라리가 그의 책 ‘21세기를 위한 21가지 제언’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팬데믹 이후의 교육은 지식을 전달하는 교육이 아니라 우리가 사는 시대를 올바로 이해하고 그 속에서 사는 나는 누구인지 올바로 파악하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이렇게 교육을 받은 사람은 아무리 AI와 테크놀로지가 발달해도 그것들의 지배를 받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그렇지 않은 사람은 AI와 테크놀로지가 시키는 대로 따라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정말 AI와 테크놀로지가 사람을 지배하는 세상이 되는 것이다.”

교육을 담당하는 사람들이 이런 말을 귀담아 들어야 합니다. 그리고 앞으로 새로운 시대를 살아갈 사람들이 이 말을 들어야 합니다. 시대가 이렇게 바뀌고 있습니다. “너희가 날씨는 분별할 줄 알면서 왜 이 시대는 분별할 줄 모르느냐?” 하고 책망하시는 예수님의 말씀을 들을 수 있어야 합니다. 유발 하라리 같은 무신론자의 말에 일리가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여기서 한걸음 더 나가야 합니다. 우리는 크리스천으로서 이 변화의 시대에 일하시는 하나님을 알고, 그 하나님의 일에 동참하는 삶을 살아야 하지 않겠습니까? 코로나 이후의 시대는 결코 간단하지 않습니다. 우리 각자가, 그리고 교회들이 구습(舊習)을 좇아서는 안 됩니다. 새 시대에 일하시는 하나님의 일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모두 시대를 책임질 수 없는 낙오자들이 되고 말 것입니다.

이제 이런 생각을 하면서 오늘 고린도후서 5장 본문 말씀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말씀에서 중요한 키워드는 ‘새로운 사람’이라는 말입니다. 이 말은 ‘새로운 인간’ ‘새로운 창조’ 혹은 ‘새로운 피조물’이라는 말로 다양하게 번역할 수 있습니다. 저는 이 말씀을 묵상하면서 바울이 왜 여기서 ‘새로운 사람’의 필요성을 말하고 있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어쩌면 바울이 살던 시대나, 지금 우리가 사는 시대나 마주하고 있는 상황이 똑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바울은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 이후의 시대를 사는 사람들은 ‘새로운 사람’으로 변화되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하나님께서 그 아들을 통하여 그 시대를 구원하시고자 하는 엄청난 계획을 수행하셨습니다. 이제 역사는 예수님 이전의 역사와 예수님 이후의 역사로 구분될 것입니다. 예수님 이후의 시대는 새로운 시대입니다. 이 시대를 책임 있게 살아갈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인가 하는 중대한 질문 앞에서 바울은 ‘새로운 사람’이라고 대답한 것입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지금 우리는 똑 같은 상황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팬데믹 이후의 시대는 문명사적(文明史的)인 전환(轉換)을 가져오는 시대가 될 것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런 시대의 흐름을 깨닫지 못하고 대비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시대의 낙오자가 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이 시대의 흐름을 잘 파악하고, 이 변화의 시대를 잘 이해한 사람은 이 시대를 책임 있게, 능동적으로 살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어른들도 그렇지만, 청년들은 시대를 진단하는 전문가들의 책들을 사서 읽고, 그들이 분석하는 말들을 들어야 합니다. 그리고, 시대적인 변화에 적극적으로 준비하고 대처해야 합니다. 특히 우리는 크리스천으로서 우리에게 주어진 시대적인 책임과 사명이 무엇인지 깊이 생각해야 합니다,

저는 오늘 고린도후서 5장 본문 말씀을 읽으면서 이런 생각을 했습니다. 이 말씀은 바울이 2,000년 전에 그 시대를 생각하면서 쓴 말씀입니다. 그런데 그 말씀이 오늘 우리에게도 많은 영감(inspiration)을 주고 있습니다. 이것이 하나님의 말씀이 다른 말씀과 다른 이유입니다. 여러분, 히브리서 말씀에 이런 말씀이 있는 것을 아시지요? “예수 그리스도는 어제나 오늘이나 영원토록 동일하시니라(Jesus Christ is the same yesterday and today and forever).” (히브리서 13:8) 세상은 바뀌어도 하나님(예수님)은 과거나 현재나 앞으로 올 미래에도 똑 같은 분이라는 것입니다. 여기서 놓치지 않아야 하는 것은 동일하신 하나님이 하신 말씀도 변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변화된 세상에 어떻게 동일한 하나님의 말씀을 해석하고 적용하느냐 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가 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설교를 들을 때나 성경공부를 할 때나 말씀을 묵상할 때 하나님의 말씀을 현재의 상황에 적용하는 훈련을 꾸준하게 해 나가야 합니다.

그러면, 바울이 제시하고 있는 ‘새로운 사람’은 어떤 사람입니까? 말씀의 순서와 관계없이 몇 가지 중요한 점들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첫째로, ‘새로운 사람’은 새로운 관점(point of view)을 가진 사람입니다(16절). 지금까지 우리가 가지고 살아온 관점이 있습니다. 이 관점을 가지고 우리는 사물을 보고 해석하고 나름대로 거기에 대처해 왔습니다. 그런데, 새로운 관점을 갖는다는 것은 예전에 가지고 있던 관점을 버리고 다른 관점을 갖는 것을 말합니다. 그 이유는 지금까지 가지고 있던 관점을 가지고는 새로운 시대를 해석할 수 없고 이해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좀 더 전문적인 말로 하면 새 시대를 살아가기 위해서는 ‘paradigm shift(패러다임 전환)’가 필요합니다. 지금까지 가지고 있던 ‘해석의 틀(a frame of reference)’을 가지고는 새로운 시대를 이해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예수님께서도 같은 말씀을 하셨습니다. “새 포도주를 낡은 가죽 부대에 담는 사람은 없다. 그렇지 않고 새 포도주를 낡은 부대에 담으면 부대가 터져 포도주가 쏟아지고, 가죽 부대도 못 쓰게 된다. 새 포도주는 새 가죽 부대에 넣어야 한다.” (마태복음 9:17) 예수님께서 사시던 시대를 새 포도주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그 시대에 살던 사람들은 엄청난 변화와 팽창력을 가진 시대를 마주 대하고 있었습니다. 이런 시대를 어떻게 낡은 주머니에 담을 수가 있겠습니까? 당연히 새 주머니에 담아야 합니다. 지금 우리도 새 부대를 준비해야 하는 시대적인 요구를 받고 있습니다. 아무 것도 하지 않고 그냥 그 자리에 앉아 있는 사람들이 있고, 변화의 시대를 준비를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우리 앞에 놓인 새로운 시대를 생각하면서 기도하고, 말씀을 읽고, 전문가들의 책을 읽고, 그들의 말에 귀를 기울이면서 새 시대를 준비하는 사람이 있고, 아무 것도 하지 않으면서 시대를 방관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 둘의 차이가 별 것 아닌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약간의 차이가 큰 결과의 차이를 만들어낸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둘째로, ‘새로운 사람’은 이전의 것들을 완전히 버리는 사람입니다(17절). 우리는 ‘새로운 사람’이라는 말은 알지만 실제로 ‘새로운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는 잘 모릅니다. ‘새로운 사람’은 그 사람 속에서 이전의 것들이 지나가고 새로운 것이 시작된 사람입니다. ‘A new person is in him the old life has gone and a new life has begun(새로운 사람은 그의 안에서 예전의 것이 지나가고 새로운 것이 시작된 사람이다)’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Easy-to-Read Version은 이 말씀을 이렇게 번역했습니다. “When anyone is in Christ, it is a whole new world. The old things are gone; suddenly, everything is new(누구든지 그리스도 안에 있을 때 그것은 완전히 새로운 세상입니다. 갑자기 이전의 것들이 지나가고 모든 것이 새로워집니다)!” 아주 멋진 번역입니다.

생각해 보면, 지금까지 우리는 ‘새로운 사람’이 되려고 많은 시도를 했습니다. 그런데, 정작 새로워진 사람들은 많지 않습니다. 얼마 안 가서 우리의 노력은 실패로 끝나고 예전에 살던 방식대로 살아갑니다. 옛날 중국 은(殷)나라의 탕이라는 왕이 있었습니다. 그는 세수 대야에 ‘일일신우일신(日日新又日新)’이라고 새겨 놓고 아침에 세수할 때마다 새로워져야 한다는 생각을 했다고 합니다. 다행히 탕 임금은 그렇게 해서 30년 재위 기간 동안 나라를 잘 다스렸다고 합니다. 사서오경(四書五經)의 대학(大學)에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이런 이야기가 우리에게 감동을 줍니다만, 그렇게 해서 정말 얼마나 인간이 새로워질 수 있는지 의문이 듭니다. 목욕을 하고 세수를 하면 몸은 깨끗해집니다. 하지만, 마음이 새로워지는 것은 몸이 깨끗해지는 것과 전혀 다른 문제이거든요.

성경은 새로워지려는 사람의 노력에 대하여 말하지 않고 “사람은 그리스도 안에서 새로워진다(17절)”고 합니다. 우리 속에는 새롭게 할 힘이 없다는 것입니다. 새로워지는 힘은 우리 안에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밖에 있다는 것입니다. 보세요. “내가 진실을 말한다. 네가 거듭나지 않으면 하나님의 나라를 볼 수 없다(I tell you the truth, unless you are born again①, you cannot see the Kingdom of God/①Or born from above).” (요한복음 3:3) 누가 누구에게 한 말입니까? 새로운 인간이 되고 싶어서 예수님을 찾아온 니고데모라는 사람에게 예수님께서 하신 말씀입니다. 그런데, ‘born again’이라는 말에 ‘born from above’라는 주(footnote)가 붙어 있습니다. ‘다시 태어난다’는 말은 ‘위로부터 태어난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새 사람’이 되는 것은 ‘위로부터’ 하나님의 은혜와 능력을 입어야 되는 일입니다. 그렇다고 새로워지는 일에 인간의 노력이 전혀 필요가 없다는 뜻은 아닙니다. 인간의 노력만으로는 안 되고 하나님의 은혜가 있어야 사람이 변화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면, ‘그리스도 안에’ 있다는 말은 무슨 뜻일까요? 그리스도를 믿는 것(believe in Jesus)입니다. 그리스도에게 속하는 것(belong to Jesus)입니다. 그리스도의 통치를 받는 것(under the reign of Jesus)입니다. 그리스도의 말씀을 배우고, 그리스도의 교훈과 그리스도의 인격을 배우고, 실천하고, 닮아가는 것입니다. 이것이 ‘그리스도 안에’ 있다는 뜻입니다. 우리가 알면서도 이렇게 살지 않는 이유는 그리스도 안에 있는 것이 얼마나 좋은지, 얼마나 행복한지, 얼마나 안전한지, 얼마나 만족한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그렇게 사는 것이 옳은 줄 알면서도 그렇게 살지 않습니다. 

지난 주 설교에서 말씀드렸던 본회퍼의 말을 한번 들어볼까요? “나를 따르라는 말은 부름을 받았으니 지금까지의 삶에서 떠나라는 말이다. 이 말은 낡은 것과 관계를 끊으라는 말이다. 상대적으로 안정된 생활에서 떠나 불안정한 생활로(사실은 절대적으로 안정된 삶으로) 들어오라는 말이다. 전망할 수 있고 예측 가능한 생활(실제로는 전혀 예측할 수 없는)에서 떠나 전혀 예측할 수 없는(사실은 유일하게 예측이 가능한) 생활로 들어오라는 말이다.” 성경 말씀이 사실인지 아닌지, 또 본회퍼의 이 말이 사실인지 아닌지는 우리가 그 말씀을 따라 살아봐야 증명할 수 있습니다. 영어 표현에 ‘take a risk’라는 말이 있습니다. ‘위험을 감수한다’는 뜻이지요? 믿음생활은 위험을 감수하고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것입니다. 믿음생활에 용기와 결단이 필요하다고 말하는 이유입니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사람’은 삶의 메시지가 있는 사람입니다(18-20절). 누구를 만나든지 그 사람에게 할 말이 있는 사람입니다. 바울은 하나님께서 ‘새 사람’이 된 사람에게 ‘wonderful message’를 주셨다고 했습니다. 그 메시지는 “하나님께 돌아오라(Come back to God)(20절)”는 화목의 메시지입니다. ‘화목(和睦))’이라는 말은 ‘reconciliation’이란 말입니다. ‘conciliation’이라는 말에 이미 ‘화목’이라는 뜻이거든요? 앞에 ‘re-‘가 붙으면 ‘다시 화목하라(to make friendly again)’는 말입니다. 하나님과 원래 관계로 돌아가라는 뜻입니다. 그렇다면 이 화목의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서 먼저 우리가 하나님과 화목한 삶을 살아야 합니다. 그리고 나서, 하나님과 화목한 삶이 어떤 것인지 우리의 말과 행동으로 보여줘야 합니다. 하나님과 화목한다는 것은 외형적인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철저한 삶의 변화를 말하는 것입니다. 새 포도주를 담는 새 부대가 되는 것입니다. 과학과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호모 데우스(Homo Deus)’의 자리에 앉아 있는 사람들에게 ‘화목의 메시지’를 전하는 것이 새 시대를 살아가는 크리스천의 사명(使命)입니다.


1/10/2021 | 그러면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1)

고백이 있는 크리스천 Christians Confessing The Lord Before Others

로마서 10:8-10

성경에 “또한 너희가 이 시기를 알거니와 자다가 깰 때가 벌써 되었습니다”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 로마서 13:11에 있는 말씀입니다. 또 하나 생각나는 말씀이 있습니다. “너희는 유혹의 욕심을 따라 썩어져 가는 구습을 따르는 옛 사람을 벗어 버리고 오직 너희의 심령이 새롭게 되어 하나님을 따라 의와 진리의 거룩함으로 지으심을 받은 새 사람을 입으라.” 에베소서 4:22-24 말씀입니다.

제가 ‘In Times Of Trouble’이란 주제를 가지고 설교를 시작한 것인 지난 해 3월 29일 주일이었습니다. 그 이후 매 주일마다 코로나바이러스로 힘들어하는 교우들에게 힘이 되고 위로가 되는 말씀을 설교했습니다. 지난 주일까지 40번을 설교했네요. 저는 하나님의 말씀을 설교하는 중에 코로나바이러스를 통해서 이 세상을 바꾸어 나가시는 하나님의 손길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한 해 마지막 주일 송년예배와 송구영신예배, 그리고 새해 첫 주일 예배에서 코로나바이러스를 통해서 일하시는 하나님에 대하여 설교했습니다.

이렇게 설교를 하는 동안 연일 쏟아지는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뉴스와 말씀 묵상, 그리고 이스라엘의 역사학자 유발 하라리(Yuval Noah Harari) 같은 사람의 책과 강연을 통해서 생각을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유발 하라리는 예루살렘 히브리대학교의 역사학과 교수로 있는데요. 1978년생으로 불과 43살인데, 세계적인 석학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그가 쓴 책들이 베스트 셀러가 되고 있고요. 뉴욕 타임지에서 선정한 베스트 셀러 1위를 차지했습니다. 한국의 대학들과 방송국에서 이미 여러 차례 강연을 했더라고요. 역사학자이기 때문에 탁월한 분석 능력이 있는 데다가 달변(達辯)입니다. 그의 대표작 ‘사피엔스 (Sapience, 2014)’와 ‘호모 데우스(Homo Deus, 2016)’는 인류는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지를 쓴 책입니다. 그리고 한 책이 더 있습니다. ‘21세기를 위한 21가지 제언(2018)’이라는 책입니다. 그렇다고 제가 유발 하라리의 말에 모두 찬성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는 유대인이지만 특이하게도 무신론자이기 때문에 그가 내 놓는 대안 중에 받아들일 수 없는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의 인류의 역사에 대한 분석 능력이 탁월한 것은 인정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이제 저의 관심은 “그러면, 팬데믹 이후에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하는 질문에 모아지고 있습니다. 우리는 잠에서 깨어나서 이 시대가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지 주의 깊게 살펴야 합니다. 그리고 그 속에서 일하시는 하나님을 볼 수 있어야 합니다. 역사학자나 인류학자, 미래학자들은 이구동성으로 코로나 이후의 세계는 문명사적인 전환(轉換)이 있을 것이라고 합니다. 인간의 삶의 모든 분야에서 전과는 비교할 수 없는 대변화가 일어난다는 것입니다. 이 말은 이제 우리는 과거의 삶으로 돌아갈 수 없다는 말입니다. 과학과 테크놀로지의 발달은 그 변화의 속도를 더욱 가속시킬 것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인류가 당면하고 있는 많은 이슈들이 수면(水面) 위로 올라오게 될 것이라고 합니다. 그러므로, 이 전환기를 앞두고 인류가 당면한 문제들에 대해 어떤 결정을 하느냐가 인류의 운명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합니다. 저는 이 변화의 과정 속에 하나님께서 분명히 개입하고 계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런데 세상 사람들은 이것을 깨달을 수가 없습니다. “세상이 자기의 지혜를 통해서는 하나님을 알지 못하게 하신 것이 하나님의 지혜입니다. 그래서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전하는 어리석어 보이는 말씀 선포로 믿는 사람들을 구원하기를 기뻐하셨습니다 (Since God in his wisdom saw to it that the world would never know him through human wisdom, he has used our foolish preaching to save those who believe).” (고린도전서 1:21) 그렇다면, 우리 시대에도 세상으로 하여금 하나님을 깨닫도록 해야 할 책임이 우리 크리스천들에게 있습입니다. 과학과 테크놀로지는 눈부시게 발전하는데 사람들이 그 속에서 하나님을 발견하지 못한다면 그 과학과 기술을 얼마든지 나쁜 쪽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인류가 ‘demonic power(악마적인 힘)’를 갖게 되는 것입니다. 유발 하라리가 ‘Homo Deus(호모 데우스)’에서 전달하고 있는 메시지입니다. ‘호모(homo)’라는 말은 ‘인간’이란 말이고, ‘데우스(deus)’라는 말은 ‘신’이라는 말입니다. ‘호모 데우스’는 ‘신이 된 인간’이란 말입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이런 전문가들의 말을 귀담아듣지 않습니다. 나라의 정책을 결정하는 사람들은 5년 후에, 10년 후에 인류가 멸망한다고 해도 그 말에 관심이 없습니다. 지금 당장 기후의 변화에 대처하지 않으면 10년 후, 20년 후 인류에게 재앙이 올 수 있다고 경고해도 트럼프 같은 사람을 보세요. 2015년에 각국 정상들이 합의한 ‘파리 기후 변화 협정’에서 우리 미국은 탈퇴한다고 선언하면서 미국의 이익이 먼저라고 했습니다. 이런 정책이 트럼프 지지자들을 열광시켰습니다. 전문가들은 오래 전부터 ‘인공지능(AI)’의 발달은 수많은 사람들의 일자리를 빼앗을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가의 정책을 결정하는 사람들은 이 문제에 대하여 입을 열지 않습니다. 지금 당장 급한 일은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팬데믹 이후의 세계에서 인간의 힘은 더욱 강하게 될 것입니다. 인공지능(AI)의 발달과 빅데이터, 그리고 ‘알고리즘(algorithm)’은 인류를 ‘Homo Deus’의 자리에 앉게 할 것입니다. 만일 인류가 이 힘을 ‘demonic power(악마적인 힘)’로 사용한다면 인류에게 돌이길 수 없는 재앙이 될 것입니다. 역사는 인간 중심의 역사로 재편되고, 하나님을 완전히 떠날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본다면, 크리스천의 시대적인 책임은 역사를 움직이는 주체가 사람이 아니라 하나님이시라는 것을 깨닫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런 생각을 하면서 오늘 로마서 본문 말씀을 보십시오. “여러분이 만일 여러분의 입으로 ‘예수님은 주님이시다’ 라고 고백하고, 또 마음으로 하나님께서 그리스도를 죽은 자들 가운데서 다시 살리신 것을 믿으면, 여러분은 구원을 얻을 것입니다. 여러분은 마음으로 믿어 의롭다 함을 얻으며, 입으로 고백하여 구원을 얻습니다.” (9-10절)

바울이 이 말씀을 쓴 것은 1세기 중간 때입니다. 3차 전도 여행 때 고린도에서 쓴 것으로 보고 있으니까 서기 55-56년쯤 되겠네요. 예수님이 돌아가신 지 불과 20년이 지난 때에 이 말씀을 썼습니다. 제가 이 말씀을 읽고 충격을 받은 이유는 예수 그리스도가 주님인 것을 마음으로 인정하고 입으로 시인하는 것이 처음부터 하나님의 구원의 계획 속에 들어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이 바울의 개인적인 의견이 아니라 하나님의 계획이라는 것입니다. 이 사실은 복음서에 나오는 예수님의 말씀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누구든지 사람들 앞에서 나를 인정하는 사람은, 나도 하늘에 계신 나의 아버지 앞에서 그를 인정할 것이다. 그러나 누구든지 사람들 앞에서 나를 모른다고 하면, 나도 하늘에 계신 나의 아버지 앞에서 그를 모른다고 할 것이다.” (마태복음 10:32-33) 우리가 어떤 것을 사람들 앞에서 인정한다는 것은 그 일에 책임을 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사람들 앞에서 예수님을 주님이라고 인정한다는 말은 단순히 그렇게 말을 한다는 의미 외에 예수 그리스도의 주되심을 나의 삶으로, 나의 행동으로 드러내는 것을 말합니다.    

하나님은 지금 이 세상을 바꾸고, 교회를 바꾸고 계십니다. 팬데믹을 통해서요. 그렇다면, 이 하나님의 일에 참여하는 크리스천들은 어떤 사람들이 되어야 할까요? ‘Confessing Christians (고백하는 크리스천들)’이 되어야 합니다. 하나님께서 역사의 주인이시며 세상을 주관하고 계신다는 것을 입으로, 삶으로, 행동으로 드러내는 사람들을 말합니다.

여러분, 독일의 ‘고백교회(The Confessing Church)’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보셨습니까? 세계 제1차 대전에서 패전하고 막대한 배상금을 물어야 했던 독일은 땅에 떨어진 국민들의 사기와 자존심을 살려줄 영웅의 출현을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그 틈을 타고 등장한 사람이 히틀러(Adolf Hitler, 1889-1945)입니다. 독일 국민들은 히틀러를 총통으로 선출하고 히틀러에게 모든 권한을 부여했습니다. 정권을 장악한 히틀러는 권력을 강화하고 국민들의 권리를 제약하는 조치들을 쏟아냈습니다. ‘반유대주의 법(anti-semitism)’을 만들어서 유대인들을 차별하고 추방하기 시작했습니다. 히틀러는 독일의 교회를 하나의 교회(unified church)로 만들어 통치에 이용하기 시작했습니다. 많은 교회들이 히틀러의 정책을 지지하고 찬양했습니다. 하지만 여기에 동조하지 않은 교회들이 있었습니다. 오직 하나님의 말씀인 예수 그리스도만이 복종의 대상이요, 하나님의 계시라는 내용의 ‘바르멘 선언(Barmen Declaration of Faith, 1934)’을 발표합니다. 이 선언을 칼 바르트(Karl Barth)가 초안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이 ‘바르멘 선언’을 따라 히틀러에 대한 불복종을 선언한 교회가 ‘고백교회’입니다. 제가 자주 인용하는 본회퍼가 바로 고백교회 목사입니다. 

본회퍼 목사에 대한 이야기를 좀더 해야 할 것 같습니다. 본회퍼는 ‘Confessing Christian’의좋은 예를 보여주는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1936년에 본회퍼는 교수직을 박탈당하고 나치의 감시를 받기 시작합니다. 신학원은 폐쇄 당했고요. 세계 2차 대전이 시작된 1939년에 본회퍼는 라인홀드 니버(Reinhold Niebuhr, 1892-1971) 교수의 초빙을 받아 뉴욕에 있는 유니온 신학교로 갔지만 고국의 형제들이 겪는 어려움을 외면할 수 없어 다시 독일로 돌아가기로 결심합니다. 그 때 본회퍼는 라인홀드 니버에게 이렇게 편지를 썼습니다. “저는 독일의 크리스천들과 함께 우리 조국의 어려운 시기를 보내기로 결심했습니다. 제가 형제들과 함께 이 시대의 고난을 나누지 않는다면 전쟁 후 독일 교회를 재건하는 일에 참여할 권리가 없을 것입니다.” 지금 유니온 신학교에는 ‘Bonhoeffer Room(본회퍼의 방)’이 따로 있다고 합니다.

1943년 4월에 본회퍼는 체포됩니다. 무슨 일로 조사를 받는 과정에서 히틀러 암살계획에 연루되어 있다는 것이 드러난 것입니다. 그리고, 2년 후, 1945년 4월 9일에 39살의 나이로 옥중에서 교수형에 처해집니다. 그의 묘비에는 그가 남긴 유언대로 “여기 그리스도의 제자 디트리히 본회퍼 잠들다” 이렇게 새겨 있다고 합니다. 그는 평생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로 살기를 원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보여주신 것을 그대로 배우고 따르고 실천하는 제자로서 살기를 소원했습니다. 그는 히틀러 암살 계획에 가담하면서 이런 결심을 했다고 합니다. “많은 사람을 살리기 위해서 한 사람이 죽어야 한다면 내가 그 일을 하겠다. 그리고 내가 선택한 일에 대한 판단은 하나님께 맡기겠다.” 

지난 주일에 ‘선한 능력으로’라는 찬양을 불렀습니다. 이 찬양 가사를 쓴 사람이 본회퍼입니다. 이 노래의 가사는 1944년 12월 19에 자기 약혼자였던 마리아에게 준 성탄 시였습니다. 이 시의 단어 하나하나에 표현하기 힘든 무게감이 느껴집니다. 그런데 한국 말로 번역된 가사에서는 그 긴장감과 무게감이 전혀 느껴지지 않아서 아쉬웠습니다. 특히 “믿음으로 일어날 일 기대하네” 이 가사는 정말 잘못된 번역입니다. “우리 앞에 무슨 일이 일어나든지 인내로 견디며 두려움 없이 맞이할 것입니다” 이렇게 번역해야 합니다.

히틀러의 광기(狂氣)를 바로잡기 위해서 독일의 ‘고백교회’가 등장했듯이, 이 시대가 요구하는 크리스천은 자신이 믿는 것을 확실하게 고백하는 ‘고백하는 크리스천들’입니다. 팬데믹 이후에 있을 엄청난 문명사적인 변화를 예상하듯이, 우리 크리스천의 삶에도 변화가 있어야 합니다. 크리스천들이 잠에서 깨어나 이 시대 속에서 일하시는 하나님의 미니스트리에 적극적으로 응답해야 합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나의 주님으로 마음으로 인정하고, 입으로, 행동으로, 삶으로 고백해야 합니다.  

우리가 ‘Confessing Christian’으로 산다는 것은 곧 우리의 삶을 예수님의 삶과 일치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예수님은 ‘Confessing Jesus’로 사셨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도 이 시대 속에서 ‘Confessing Christian’으로 살아야 합니다. 이 말씀을 한번 같이 보실까요? “만물에게 생명을 주시는 하나님 앞과 본디오 빌라도 앞에서 선한 고백을 하신 그리스도 앞에서 그리스도께서 다시 오실 때까지 흠 없이 그대에게 주신 계명(명령)을 실천할 것을 부탁합니다).” (디모데전서 6:13-14) 자신에게 주어진 막강한 힘을 과시하면서 “나에게는 당신을 놓아줄 권한도 있고, 십자가에 못박을 권한도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하오?” 이렇게 말하는 빌라도 앞에서 예수님은 무슨 고백을 하셨습니까? “네가 가진 권세가 하나님께서 주신 것이 아니라면, 네게는 나를 해할 어떤 권한도 없다.” (요한복음 19:11) 요셉은 파라오 앞에서 무슨 말을 했습니까? “It is beyond my power to do this, but God can tell you what it means and set you at ease (왕의 꿈을 해석하는 일은 저의 능력 밖의 일입니다. (내가 믿는) 하나님께서 말씀해 주시고 왕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 주실 것입니다)." (창세기 41:6) 파라오 앞에서 이런 말을 고백을 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습니까? “이 세상을 다스리는 것은 당신 파라오가 아닙니다. 당신보다 더 위대하신 하나님께서 세상을 통치하시는 것입니다. 당신은 한 인간에 불과하지만, 하나님은 만유의 주가 되시는 분입니다.” 이런 의미 아닙니까?

히틀러 앞에서 목숨을 걸고 저항했던 고백교회의 목사들, 본회퍼, 그리고 예수님, 사도 바울, 구약에서는 요셉, 모세, 다니엘, 에스라, 느헤미야, 모두 그 시대에 하나님을 고백하고, 그리스도를 고백하는 삶을 살았습니다. 팬데믹 이후 문명사적으로 대 전환이 이루어지는 시대에, 과연 우리는 크리스천으로서 어떻게 살아야 하겠습니까? 시대에 묻혀 시대의 흐름에 떠내려가는 삶을 살지 않아야 합니다. 이제는 잠에서 깨야 합니다. 구습(舊習)을 좇는 옛 사람을 벗어버리고 우리가 믿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고백하는 크리스천으로 살아야 합니다. 입으로만 아니라 삶으로, 행동으로 책임 있게 살아야 합니다.

 


1/3/2021 | 새해예배/In Times Of Trouble 40

여기에도 계시는 하나님 Surely The LORD Is In This Place

창세기 28:10-19

성경에서 야곱과 에서의 이야기만큼 재미있는 이야기도 없습니다. 이 둘은 쌍둥이로 태어났습니다. 에서와 야곱은 태어날 때부터 경쟁적으로 야곱이 형 에서의 발뒤꿈치를 잡고 나왔다고 합니다. 그리고 에서과 야곱은 성장하면서도 많은 일화들을 남깁니다. 사냥에서 돌아온 에서는 너무 배가 고팠습니다. 마침 야곱은 부엌에서 팥죽을 끓이고 있었습니다. 사냥으로 배가 고팠던 에서는 야곱에게 팥죽을 좀 달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그 때 야곱이 이상한 말을 합니다. “형이 가지고 있는 장자권(the birthright)을 나에게 주면 팥죽을 줄께요.” 보통 가정에서는 일어날 수 없는 이상한 두 형제 사이의 대화입니다. 그 때부터 두 사람에게 이해할 수 없는 일들이 일어납니다. 에서보다 야곱을 더 사랑했던 어머니 리브가는 야곱을 에서로 위장을 시켜 아버지 이삭의 축복을 받게 합니다. 이삭은 그 사실을 모르고 장자 에서에게 줄 축복을 모두 야곱에게 줘 버립니다. 뒤늦게 이 사실을 안 에서는 아버지에게 말씀드리지만 아버지 이삭은 너에게 줄 축복이 없다고 합니다. 화가 날 대로 난 에서는 야곱을 죽이려고 합니다. 하지만 야곱은 이 사실을 알고 하란에 있는 삼촌 라반의 집으로 도망을 갑니다. 

이런 일이 형제 사이에 일어날 수 있는 일인가요? 그것도 이삭과 리브가 같은 경건한 믿음의 집에서 말입니다. 이왕 말이 나왔으니까 말씀을 드립니다만, 야곱이 형의 분노를 피해서 삼촌의 집으로 도망가던 때부터 에서는 하나님의 관심에서 멀어지고 하나님의 시선은 야곱에게 맞춰집니다. 하나님께서 리브가에게 하신 말씀이 있습니다. “두 나라가 네 몸 안에 있다. 두 백성이 네 몸에서 나누어질 것이다. 한 백성이 다른 백성보다 강하고, 형이 동생을 섬길 것이다 (Your older son will serve your younger son).” (창세기 25:23) 또 말라기에 보면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 “에서는 야곱의 형제가 아니냐? 나는 야곱을 사랑했으나, 에서는 미워했다. 내가 에서의 산악지방을 폐허로 만들고, 그의 땅을 광야의 여우들에게 넘겨주었다.” (말라기 1:2-3) 왜 하나님은 에서와 야곱이 태어나기도 전부터 야곱을 사랑하고 에서를 미워했을까요?

이런 말씀을 바울이 그냥 지나갈 리가 없습니다. 바울은 하나님의 선택의 주권에 대해 말하면서 에서와 야곱 이야기를 합니다. 하나님께서 에서에게 무슨 잘못이 있어서 야곱을 선택하고 에서를 버린 것이 아니라 에서와 야곱 두 사람이 태어나기 전부터, 이미 하나님은 에서를 버리고 야곱을 선택하기로 결정하셨다는 것입니다. 그러니, 사람을 선택하시는 주권이 완전히 하나님께 있다는 것입니다. 이 말씀이 우리 자신을 성찰하는데 얼마나 중요한 말씀입니까? 악마는 우리에게 이렇게 속삭입니다. “네 삶의 주인은 너 자신이야. 누구도 너에 대하여 이래라 저래라 할 권리가 없어. 네 마음 가는 대로 행동하면 되는 거야. 네 인생은 너의 것이니까!” 하지만 성경은 정반대로 말하고 있습니다. “네 인생의 주인은 네가 아니야. 너의 삶에 대한 주권이 하나님께 있어. 너의 삶에 대하여 결정권을 가지고 계시는 그분의 뜻에 맞춰 살아야 해!”

오늘 읽은 창세기 28:10-19 말씀은 야곱이 하란으로 도망 가던 중 ‘루스(Luz)’라는 곳에서 잠을 자다가 꿈을 꾼 이야기입니다. 아마도 ‘루스’는 인가(人家)가 없는 황량한 광야였을 것입니다. 길을 가다가 밤이 되었습니다. 지친 야곱은 돌 하나를 주워 그 돌을 베고 잠을 청했습니다. 야곱은 지금 자기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자초지종을 몰랐을 것입니다. “왜 그날 나는 형 에서에게 그런 말을 했을까?” “왜 나는 형이 받을 축복을 가로챘을까?” “왜 나는 지금 형을 피해서 도망을 가고 있을까?” 며칠 전까지만 해도 야곱은 집에서 아버지, 어머니와 도란도란 이야기를 나누면서 행복하게 지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하루 아침에 도망자 되고 말았습니다.

2020년이 시작되었을 때만 해도 지금의 상황을 예측했던 사람은 아무도 없었습니다. 주일에는 교회에 나가 예배를 드리고, 친구들을 만나 서로 반갑게 껴안고 인사를 나누었습니다. 그렇게 주일을 보내는 것이 일상(日常)이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어떻습니까? 많은 사람들이 교회에 가는 대신 온라인으로 컴퓨터 화면 앞에 앉아 예배를 드리고 있습니다. 여러가지 질문이 생깁니다. “이렇게 예배 드려도 괜찮은 것인가?” 왠지 시간이 흐를수록 집중도 잘 안 되는 것 같고 예배 드리는 것 같지 않습니다. 저희 가정이 속해 있는 가족모임에서도 예배에 대한 말들이 많이 나왔습니다. “어서 교회에 가서 예배 드렸으면 좋겠어요.” “예배 드리는 것 같지 않고요. 집중도 안 돼요.” “예배에서 은혜를 못 받으니까 한 주일 내내 힘들어요.” 지금쯤 많은 사람들이 이런 생각들을 하고 있을 것입니다. 

‘루스’ 광야에서 돌 베개를 베고 잠을 자던 야곱은 꿈을 꾸었습니다. 꿈에서 사다리 하나를 보았는데, 그 사다리는 꼭대기가 하늘에 닿아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사다리로 하나님의 천사들이 오르락 내리락 하고 있었습니다. 사다리 위에 계시는 하나님께서 야곱에게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나는 네 할아버지 아브라함의 하나님, 이삭의 하나님 여호와다. 내가 너와 네 자손에게 네가 지금 자고 있는 땅을 줄 것이다. 네 자손은 땅의 티끌처럼 많아져서 동서남북 사방으로 퍼지며, 땅 위의 모든 민족들이 너와 네 자손을 통해 복을 받을 것이다. 나는 너와 함께하고 네가 어디로 가든 너를 지켜 줄 것이다. 그리고 너를 다시 이 땅으로 데려올 것이다. 내가 너에게 약속한 것을 다 이루어 주기 전까지 너를 떠나지 않을 것이다.” (13-15절)

야곱은 잠에서 깼지만 달라진 것은 없었습니다. 똑 같은 황량한 들판, 돌과 모래, 달라진 것은 아무 것도 없었습니다. 하지만 꿈 속에서 들은 말씀이 아직도 귓가에 생생합니다. 지금 야곱은 형 에서를 피해 하란으로 도망가는 중입니다. 손에 아무 것도 가진 것이 없습니다. 아무 것도 보장된 것이 없습니다. 이런 야곱에게 꿈 속에서 들은 하나님의 말씀은 터무니없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꿈 속에서 느꼈던 하나님의 숨결이 자기를 감싸고 있다고 느낀 야곱은 이렇게 외칩니다. “난 잘 몰랐지만 하나님께서 이곳에도 계셨구나. 이곳이 천국으로 가는 길이로구나(What an awesome place this is! It is none other than the house of God, the very gateway to heaven)!” 야곱은 베개로 베고 잤던 돌을 가져다가 기둥처럼 세웠습니다. 그리고 그 꼭대기에 기름을 부었습니다. 그리고 그곳의 이름을 ‘하나님의 집(The House Of God)’이라는 뜻으로 ‘벧엘’이라고 불렀습니다. 

여러분, 그 당시에는 아직 성전이 없었습니다. 성전은 없었지만, 사람들은 온 세상이 하나님을 섬기는 제단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 이유에서 아브라함은 가는 곳마다 제단을 세웠습니다. 꿈에서 깬 야곱에게 들었던 생각이 무엇이었습니까? “여기에도 하나님이 계셨는데, 난 그걸 모르고 있었구나!” 하는 생각이었습니다. 저는 이 말씀 묵상하다가 왜 하나님은 야곱을 도망자로 만들었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바로 야곱에게 이런 깨우침을 주시려고, 그리고 오늘 저와 여러분이 그 말씀을 읽게 하시려고 야곱을 도망자로 만들지 않았을까요? 야곱이 꾼 꿈은 누가 만들어낼 수 있는 꿈이 아니었습니다. 오직 하나님만이 주실 수 있는 꿈이었습니다. 야곱이 ‘루스’ 광야에서 돌 베개를 베고 잠이 들었을 때만 해도 야곱은 그곳에 하나님이 계시지 않는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야곱은 더 힘들고 더 외로웠습니다. 야곱은 아버지 야곱의 집을 생각하면서 하나님은 그런 곳에 계신다고 생각했을 것입니다. 나와 같은 사람과 하나님은 함께 하지 않는다고 생각했을 것입니다. 더군다나 이런 황량한 광야에 하나님께서 계실 리가 없다고 생각했을 것입니다.

그러던 것이 솔로몬 때에 성전을 짓습니다. 그 때부터 사람들은 성전에 대하여 특별한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성전을 하나님이 계시는 특별한 장소라고 생각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그런데, 놀라운 것은 지금도 사람들이 그런 생각을 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교회에서 예배를 드리고 걸어 나오면서부터 뭔가 하나님과 멀어지는 느낌이 들기 시작합니다. 집으로 돌아오면 마음이 허전합니다. 비즈니스 현장으로 돌아가면 더 그런 생각이 듭니다. 내가 공부하는 학교, 도서관, 강의실에 하나님께 계신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별로 없습니다. 일주일 내내 나 혼자 치열하게 살다가 주일이 되면 교회에 와서 예배를 드리고, 말씀을 들으면서 영적인 굶주림을 채우고, 다시 삶의 현장으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삶의 현장이란 하나님이 없는 곳이고, 외롭고 힘든 곳이고, 치열한 생존경쟁의 장소일 뿐입니다. 

여러분, 왜 예수님께서 이런 말씀을 하셨을까요? “이 성전을 허물어라. 그러면 내가 삼 일 만에 다시 세우겠다(Destroy this temple, and in three days I will raise it up).” (요한복음 2:19) 사람들은 이 예수님의 말씀을 듣고 어이없어 했습니다. 이 성전을 짓는데 46년이 걸렸는데, 당신이 무슨 재주로 삼 일만에 짓겠느냐고 비웃었습니다. 그러나, 다행하게도 요한이 그의 복음서를 쓰면서 예수님의 말씀을 이렇게 해석해 놓았습니다. “(그 때)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성전은 그분 자신의 몸을 가리킨 것이었다. 예수님께서 죽은 자들 가운데서 부활하신 후에, 제자들은 예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신 것을 기억하고 성경과 예수님께서 하신 말씀을 믿게 되었다.” (요한복음 2:21-22)

예수님께서 그 때 하신 말씀은 눈에 보이는 성전이 아니라, 예수님의 몸이 성전이 되는 그런 시간이 다가오고 있다는 뜻이었습니다. 부활하신 예수님은 시간과 장소의 제한을 받지 않고 제자들이 있는 곳에 나타나셨습니다. “예배하는 사람들이 이 산도 아니고 예루살렘이 아닌 곳에서 신령과 진정의 마음으로 예배하는 때가 오고 있다. 바로 지금이 그 때이다.” (요한복음 4:21, 23) 예수님의 부활이 예배에 대한 인식을 바꾸게 될 것이고 말씀하신 것입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지금 이 시간까지도 예배의 장소를 교회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보세요. 불과 한 10개월 전까지만 해도 생각하지도 못했던 일들이 지금 현실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가정이 하나님을 예배하는 장소가 되고 있습니다. 오피스가, 일터가 하나님을 예배하는 장소가 되고 있습니다. 학교가, 강의실이, 연구실이 하나님을 예배하는 장소가 되고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코로나바이러스를 통해 예배에 대한 우리의 잘못된 생각을 바꾸고 계십니다.

어떤 사람은 “예배를 어디서 드리느냐 하는 것이 그렇게 중요한 문제입니까?” 하고 질문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요. 이 문제가 정말 중요합니다. 사람들은 예배하는 장소에 하나님께서 계신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사마리아 여자는 예배하는 장소가 어디가 맞느냐고 물었지만, 예수님은 “이 산도 아니고 예루살렘도 아닌 예배 장소가 문제가 되지 않는 때가 오고 있다 (The time is coming when it will no longer matter whether you worship the Father on this mountain or in Jerusalem) (요한복음 4:21)”고 말씀하셨습니다. 영(The Spirit)은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이제는 온 세상이 영이신 하나님을 예배하는 곳이 되는 때가 온다는 것입니다. 야곱이 깨달은 것은 바로 이것입니다. ‘루스’의 황량한 광야, 그리고 나와 같은 도망자가 누워 잠을 청하고 있는 이곳은 하나님이 계시지 않는다고 생각했지만, 하나님이 주시는 꿈을 통해서 “난 몰랐는데 여기에도 하나님이 계시는구나!” 하고 깨달은 것입니다. 그랬더니, ‘루스’가 ‘벧엘’이 되고, ‘루스’가 천국으로 들어가는 입구가 되었습니다.

여러분, 제가 성경 구절 하나 인용할 텐데요. 하나님께서 이 말씀을 언제 누구에게 하신 말씀인지 맞춰보십시오. “In all my traveling with the people of Israel I never asked any of the leaders that I appointed why they had not built me a temple made of cedar (내가 내 백성 이스라엘과 동행하면서 난 한번도 왜 나를 위해서 백향목으로 만든 집을 짓지 않느냐고 말한 적이 없다).” (사무엘하 7:7) 이 말씀의 요점은 하나님은 어느 한 곳에 계시는 것을 기뻐하지 않고 그의 백성들과 함께 있기를 원하신다는 것입니다. 내 백성이 광야에 있으면 나도 그 자리에 함께 있는 것이 기쁘고, 내 백성이 힘든 고난의 현장에 있으면 나도 그 자리에 있는 것이 기쁘다고 말씀하신 것입니다.

하나님은 지금 예배에 대한 우리들의 생각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계십니다. 그렇다면 이 하나님이 하시는 일에 우리가 적극적으로 협력해야 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하나님은 우리의 삶의 현장이 하나님을 예배하는 장소가 되고, 하나님의 뜻을 실천하는 곳이 되기를 원하십니다. 지금 온라인 예배 방식이 예배에 대한 생각을 바꾸는 기폭제가 되고 있습니다. 코로나시대에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우리 자신과 교회가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대로 변화되도록 협력하는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 2021년 새해는 하나님이 기뻐하지 않는 것들과 과감하게 결별(訣別)하고, 머리로는 알고 있지만 실천하지 못했던 것들을 과감하게 실행하는 한 해가 되게 하십시오. 이것이 하나님의 일에 참여하는 우리들의 삶의 방식이 되어야 합니다.